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리쾨르의 정의론: 롤스와의 대화 (Ricoeur’s theory of justice: Dialog with Rawls)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2 최종저작일 2012.11
32P 미리보기
리쾨르의 정의론: 롤스와의 대화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개혁신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개혁신학 / 36권 / 304 ~ 335페이지
    · 저자명 : 정기철

    초록

    리쾨르의 정의론은 ‘소윤리’ 속에서 그 특징이 드러난다. 소윤리란 타자와 더불어 타자를 위해 그리고 바른 제도 속에서 선한 삶을 목표로 하는 것을 뜻한다. 이것은 아리스토텔레스의 목적론적 윤리와 칸트의 의무론적 도덕이 매개되어야 가능한 작업으로, 도덕도 윤리도 ‘정의’를 다루지만, 진정한 정의는 도덕보다 윤리의 이념을 따를 때 드러난다는 것이 리쾨르의 주장이다. 필자도 리쾨르와 같은 생각이다. 리쾨르의 정의론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윤리와 칸트의 도덕을 ‘소윤리’라는 제목으로 다룰 필요가 있다. 그 첫걸음으로 리쾨르의 정의론이 롤스와의 관계 속에서 어떻게 개진되는지 살피고자 한다. 그 작업의 일환으로 롤스의 정의론이 자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그것을 통해 필자는 롤스와의 대화를 통해 리쾨르가 제기하는 몇 가지 문제들이 해석학적 윤리 안에서는 큰 의미를 가진다는 것을 밝힐 것이다. 리쾨르가 정의 문제에 접근하는 방식이 롤스와 아주 다르다는 점이 필자가 지적하고자 한 포인트이다. 롤스는 정의를 제도 절차의 공정성에 국한한 반면, 리쾨르는 인간을 포함하며 무엇보다 도덕보다 윤리적이며 그것도 해석학을 통해서 규정한다. 따라서 당연히 리쾨르의 분석 속에는 롤스의 관심사를 벗어난 정의론의 색깔들이 들어있을 수 있다. 이것을 더욱 도드라지게 하는 이유는 정의론이 롤스의 관심사를 벗어나 영역을 확대해야 한다는 점과 리쾨르의 지적을 보완할 때에야 롤스의 정의론이 견실해 질 수 있음을 말하고 싶었기 때문이다. 필자는 리쾨르처럼, 정의론이 해석학을 통해 정립되거나 확립될 때 그 본래적인 강령이 드러난다는 것을 밝힐 것이다.

    영어초록

    Ricoeur’s theory of justice can be characterized by ‘little ethics’ which aims at a good life with and for others in just institutions. It can be realized only when there is a reciprocity between Aristotle’s teleological ethics and Kant’s deontological moral. Both ethics and moral discuss ‘justice’ but Ricoeur asserts that true justice is revealed when it follows the concept of ethics rather than moral. Because there is evil, the aim of the “good life” has to ve submitted to the test of moral obliga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ut both Aristotle’s ethics and Kant’s moral under one theme - ‘little ethics’ - in order to analyze Ricoeur’s theory of justice. However, as this is already done, I would like to investigate what justice ‘in just institutions’ means by looking at Rawls. The purpose of conversing with Rawls on Ricoeur’s theory of justice does not lie in comparing them or suggesting any alternatives for each of them. Our task is to find out why Ricouer’s theory is a matter of interest and a frame of ‘little ethics’ needs to be set up. However, I will clarify that the questions Ricoeur raises by examining Rawls represents great meaning to the field of hermeneutical ethics. Ricoeur has a distinct way of approaching the matter of justice. Moreover, Rawls’ statement differs from what Ricoeur intends to say through Rawls. Consequently it is no surprise that we find traces of the theory of justice outside the area of Rawls in Riceour’s analysis. According to Ricoeur the Rawlsian theory of justice is a deontology without a transcendental found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개혁신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0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