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설교학적 관점에서 본 신정론 (Theodicy from the perspective of homiletics)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2 최종저작일 2014.05
27P 미리보기
설교학적 관점에서 본 신정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실천신학회
    · 수록지 정보 : 신학과 실천 / 39호 / 225 ~ 251페이지
    · 저자명 : 윤성민

    초록

    한국의 설교자들이 쓰나미와 같은 자연재해나 세월호 참사와 같은 일이 발생하면 근본주의적 성서관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발언을 할 때가 있다. 이것은 스토아학파가 말하는 신정론과 성서가 말하는 신정론을 구분하지 못하고 있다고 있기 때문이다. 이 논문은 성서학자들이 말하는 신정론을 소개하면서 한국 교회와 사회의 적용점을 생각해 보았다. 우선, 구약의 신정론을 살펴보면서 독일어권 구약학자인 만프레드 외밍(Manfred Oeming) 교수와 콘라드 슈미드(Konrad Schmid) 교수의 욥기에 관한 신학을 소개하였다. 그리고 신약의 신정론은 게르트 타이쎈 (Gerd Theiβen) 교수의 이론을 소개하면서 특히, 귀인 이론(歸因 理論)도 함께 생각하였다. 귀인 이론(歸因 理論)으로 세월호 참사를 본다면 선장과 승무원들의 책임윤리 부재와 한국 사회 곳곳에 만연한 도덕적 해이(moral hazard)가 근본 원인이라고 할 수 있다. 설교자가 세월호 참사에 대해 설교를 한다면 어른들의 윤리의식 부재를 반드시 언급해야 한다.
    성서비평학적으로 욥기서를 본다면 새롭게 이해될 수 있다. 욥은 죽는 그 날까지 하나님과 사탄의 내기 때문에 그가 고난을 받았던 사실을 몰랐다. 볼프강 드레셀(Wolfgang Drechsel) 교수는 욥, 그 자신의 통곡과 욥 친구들의 통곡, 그리고 고난의 이유와 아픔에 대한 그들의 대화 등이 통합적으로 작용해서 상담학적으로 욥에게 치유적 역할을 했을 것이라고 말한다. 욥기를 해석할 때 고난에 대한 어떤 말이나 해석보다는 욥의 고통을 보고 칠일 밤낮으로 함께 울었던 친구의 행동에 초점을 맞추어야 한다. 실천신학적으로 신정론은 해석보다는 공감과 행동이 우선되어야 한다. 게르트 타이쎈 교수도 ‘감정이입의 하나님의 신정론’을 말한다. 성서가 증언하는 하나님은 고통받는 자신의 피조물과 함께 고통받는(suffer with) 연민(com-passionate)의 하나님이고, 인간과 온 세상 그리고 피조물의 탄식에 참여하는 감정이입의 하나님을 증언한다. 설교자는 회중들의 마음과 감정에 공감할 뿐만 아니라, 그들의 공감을 이끌어 낼 수 있는 공감력과 정서적 감성적 호소력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신정론에 관한 설교할 때 설교자의 파토스(pathos) 기능이 중요하다. 설교자는 우선 아픔과 고통에 공감할 수 있어야 한다. 특히, 한국의 설교자들은 한민족 안에 흐르고 있는 한(恨)의 역사에 동참해야 한다.

    영어초록

    The majority of preachers in Korea are preaching without knowing what are claimed by Stoic philosophers when they deal with theodicy. Why do natural disasters such tsunami and earthquake occur and are young children with no sin slaughtered during war, if the Almighty God means love? Such a question became an important philosophical and theological subject across the ages and in all countries of the world. To address theodicy,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omnipotence and love of the God as Christian theology says. The omnipotence of the Almighty God takes care of all creations; is an expression to contain the depth and width of the love of the God who joins people's pain; and the love of God who joins the destiny of the created world forever. Moreover, God's love as testified in the Bible should not be interpreted as backing off or silence or wait and see or neglect. With respect to the hardship in reality, God's power should not be understood as physically psychic power or supernatural power to get rid of hardship. Solving theodicy is not in satisfiable and recognizable description of evils but in making the relationship between man and God much fresher and deeper.
    Many preachers in Korea are misunderstanding the Book of Job. According to Konrad Schmid, the introduction part in the Book of Job is not a story to be contained in the body but the introduction part contains important theological meanings. It describes important pastoral theological solutions as well as causes of hardship. But, it's not a book that explains about the reason why they are in torture. The Book of Job is the Wisdom of Solomon. In the Book of Job contains the basic principle of wisdom. It's not a different thing. Seeing the Book of Job from the biblical criticism perspective, it gives a message, “do act of joining the pain" rather than giving works to people in the midst of hardship and pain. Professor Gerd Theiβen tells about the theodicy of empathic God. God participates in the sighs of humans, entire world, and creations (Rome 8:22, 23, 26). In the theodicy understood by the disciples of Jesus Christ, the disciples are understood as successors who participate actively in the hardship of Jesus (Mark 8:35). The vicarious theodicy understood by early churches puts a meaning on the passive hardship for them(Colossians 1:24). The mysticism of hardship makes the community understood with the agony of Christ(Philippians 3:10). Prof. Gerd Theiβen tells the God who is in their agony.
    Being together with the sufferers from the counselling perspective looks like a simple principle, but it's a very important thing. "Being together with" those sufferers that ministers cannot understand so that they can regain their foot gives comfort to laymen. Only the act of joining their pain even if it will bring about no big changes when a miracle occurs suddenly is a root for healing and a power to withstand such a hardship. In particular, Korean people is a nation who had been suppressed historically and sociologically enough to be called as the race of resentment. Prof. Jeong Tae-gi told that venting spite was a main mission in the ministry. Especially, Korea suffered from ‘deferred democracy.’ Under the recovery of democracy and resistance and struggle for a society to make people become real people, people feel absence of God. So the church which can be with them together will be the community which can give a reply to the theodicy rightl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신학과 실천”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0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