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李敭河 論 구성을 위한 試論 (An Essay on Lee Yang-ha's Life & Achievements)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2 최종저작일 2020.02
38P 미리보기
李敭河 論 구성을 위한 試論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한국민족문화 / 74호 / 61 ~ 98페이지
    · 저자명 : 김미영

    초록

    이 글은 이양하 론(論)의 기초 작업으로 그동안 그의 수필 연구들이 간과해온 그의 영문학 논문과 평론, 번역수필, 그가 편찬한 영어교과서와 사전류 등을 일별한 것이다. 특히 그의 삶을 일본 유학기, 연희전문 재직기, 서울대 재직기로 삼분하여, 시기별 성취 및 특징들을 살폈다. 일본 유학기 20대의 그는 월터 페이터와 리처즈의 문예론을 번역ㆍ소개하면서 심미적 미의식과 윤리의식의 중요성, 시적 지향성과 시어의 중요성을 인식했다. 30~40대 초반 연희전문 교수시절 그는 제임스 조이스와 워즈워드 등의 영문학 관련 짧은 평문들을 쓰면서 수필창작에 주력하여 1947년 『이양하 수필집』을 냈다. 이 무렵에 그가 특히 고독했고 염세적이었음은 「신록예찬」에 잘 드러나 있다. 1945년 서울대로 옮긴 후 사망할 때까지 국립대 교수로 재직하면서 그는 영어교과서와 문법서, 영한사전과 한영사전을 편찬했다. 그는 전문가로서 견인주의적 성실성으로 이 일들에 임했다. 이 무렵 쓴 수필들은 『나무』(1964)에 실렸는데, 「무궁화」를 비롯한 많은 작품들이 계몽적 성격을 띤다. 「나무」가 예외적인데, 이 작품에서 그는 윤리의식을 중시한 페이터와 리처즈로부터 받은 영향을 기초로, 삶을 통해 체득한 가치를 새로운 모럴로 제시하였다. 그의 생애는, 그가 번역한 리처즈 책의 제목처럼, 학문(Science)이란 전공영역과 시(Poetry)라는 창작세계의 이중주였다. 그는 전공영역에서 최선을 다한 후 여기(餘技)인 수필창작을 통해 심미적이고 시적 상태에 대한 갈망을 풀어냈다. 그의 대표작 「나무」에 제시된 새로운 모럴은 전문인의 자리에서 직분에 충실한 후, 무엇으로부터도 방해받지 않을 자유로서의 ‘고독’을 희구하는, 현대적 식자층의 탄생을 예고하는 하나의 징후로 볼 수 있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stablish groundwork for a study of Lee Yang-ha's life and work. So far discussions about Lee Yang-ha's essay have focused on some of his masterpiece essays such as “Tree,” and “The Adoration of Early Spring” excluding his articles on English literature, compilations of English textbook for middle schools & high schools, English-Korean Dictionaries, Korean- English Dictionary, and unknown essays. The goal of this article is to do research on those are influenced by his life & foreign literature.
    In his twenties, while studying abroad in Japan as a student, Lee translated Poetries & Sciences written by I. A. Richards into Japanese and wrote some articles which introduced Walter H. Pater's novel, Marius the Epicurean & Essays. In those times, he realized how important appreciation of the beauties, poetical order as the truth, and morality as norm of life were. From the thirties to early forties, Lee served as professor in Yonhee College. In those times he wrote some essays and some short reviews on Wordsworth, T. S. Eliot, and James Joyce to introduce English literature to Korean people. His essays focused on loneliness and sentiments were published in Lee Yang-ha's Essays (1947). From the middle of forties till death, he served as professor in Seoul National University. He made a number of English textbooks for middle & high school students, and he also had compiled some English-Korean Dictionaries and a Korean-English Dictionary. Those were so difficult tasks without computers and established the grammar system for Korean in that time. In those days, he wrote some essays on enlightenment for Korean people. “Tree,” his most famous essay was the only exception. In that masterpiece, he had presented us satisfactory & perseverance(安分自足) as a value or morality.
    The conclusion of this article is that Lee Yang-ha's Life was be similar to a duet of sciences that he had achieved as a scholar or a professor and poetries that he had achieved as a poet or essayist, as like as he had translated Poetries & Sciences written by I. A. Richards. Lee insisted on the new morality that someone did his best in job area first, he should be set free to enjoy his solitary second. Lee Yang-ha's world means the new professional person makes his appearance in Korean society not as an intellectual or an ideologu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민족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4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3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