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바울의 새관점과 이신칭의 교리: 칭의의 기독론, 인간론, 종말론적 측면에 관하여 (The New Perspective on Paul and the Doctrine of Justification: The Christological, Anthroplogical and Eschatological Aspect)

4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2 최종저작일 2010.10
49P 미리보기
바울의 새관점과 이신칭의 교리: 칭의의 기독론, 인간론, 종말론적 측면에 관하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복음주의신학회
    · 수록지 정보 : 성경과 신학 / 55권 / 41 ~ 89페이지
    · 저자명 : 손기운

    초록

    개혁자들은 이신칭의 교리를 가리켜 교회를 분리하는 중요한 이슈라고 했는데, 그들의 주장대로 이 교리는 로마 가톨릭과 개신교를 분리하는 근본 원인이 되었다. 최근에 칭의 교리에 대한 새로운 관심이 생겨나면서 이 교리는현대 학자들 사이에 가장 뜨거운 논쟁거리 중 하나가 되었다. 이신칭의에 관한 논의는 조직신학적 관점에서뿐만 성경신학자들 사이에서도 활발하게 토론이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바울의 새 관점’의 등장은 종교개혁자들의 이신칭의 교리를 재검토하게 되는 중요한 계기가 되었을 뿐만 아니라 바울 신학의 전반적인 연구에 새로운 논쟁을 던졌다.
    이 논문에서는 현대의 칭의 논쟁에서 다루어지고 있는 핵심적인 이슈가 무엇인지 검토한 후에 칭의 교리를 성경신학적인 관점에서 보다 합리적이고 체계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려고 한다. 우선 로마 가톨릭과 개혁자들의 칭의 교리를 살펴보고 그들이 각자 주장하는 교리의 핵심적인 이슈를살펴본 후에 로마 가톨릭과 개혁자들이 각각의 칭의 교리를 발전시켜 나가게 된 신학적인 원리를 확인하려고 한다. 로마 가톨릭이 그들의 칭의 교리를발전시켜 나간 신학적 원리는 그들의 인간론적인 관심에 근거를 두고 있다.
    반면에 개혁자들은 칭의 교리를 기독론적인 관점에서 전개해 나갔는데 칭의는 신자들이 그리스도를 믿는 믿음에 근거하여 하나님께서 그들을 죄 없다고 선언하는 법정적인 행위로 이해했다.
    논문의 후반부에서는 칭의의 교리와 관련하여 바울의 새 관점에서 주장하는 주된 요점을 살펴본다. 그들의 주장의 장단점을 확인한 후에 내린 결론은바울의 새 관점이 로마 가톨릭의 칭의 교리와 개혁자들의 칭의 교리를 서로결합시키려는 시도를 하고 있음을 알게 되었다. 그러므로 로마 가톨릭과 개혁자 그리고 바울의 새 관점에서 주장하는 각각의 칭의 교리의 논점을 검토한 후에 칭의 교리를 좀 더 포괄적이고 성경적으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독론과 인간론 그리고 종말론이라는 세 관점에서 동시에 칭의 교리를 이해해야 한다는 것이 이 논문에서 주장하는 논지이다.

    영어초록

    The doctrine of justification according to the reformers was a church dividing issue, and truly it was the cause of separation between the Roman Catholic and Protestant. In recent years the discussion on the doctrine of justification has been revived, and in fact it has become one of the most controversial issue in modern scholarship. Not only in the field of systematic theology but also in the biblical scholarship there is a renewed interest in this subject. The rise of the new perspective on Paul was a momentum to review the reformation’s doctrine of justification by faith, and in fact the Pauline studies as a whole.
    This thesis tries to identify, first of all, the central issue of the current discussion on the doctrine of justification, and attempts to suggest a way to understand the issue better. We first carried out a brief survey in order to identify the central argument of the Roman Catholic and Protestant respectively. The theological principle of the Roman Catholic’s development of the doctrine of justification was based on their anthropological interest. Whereas the reformers articulated their doctrine in the christological perspective, and saw justification basically as God’s forensic declaration of not guilty on account of the believers’ faith in Christ.In the second half of the thesis, we briefly looked at the main argument of the New Perspective on Paul especially concerning their doctrine of justification. The pros and cons of their argument are weighted up, and we concluded that The NPP’s doctrine of justification somehow try to integrate the Catholic’s doctrine of justification with that of the reformers. Then after considering the main arguments of Catholic,Protestant and the NPP, we suggest that in order to understanding the doctrine of justification more comprehensively and biblically we should understand the doctrine in the three perspectives of christology, anthropology and eschatolog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성경과 신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4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