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인도 철학에서 자아 개념의 공유와 차별 : 베단타의 일원론과 상키야의 이원론을 중심으로 (Common and Different Ideas of the Self in Indian Philosophy: Based on the Monism of Vedānta and the Dualism of Sāṃkhya)

4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2 최종저작일 2012.12
44P 미리보기
인도 철학에서 자아 개념의 공유와 차별 : 베단타의 일원론과 상키야의 이원론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인도철학회
    · 수록지 정보 : 인도철학 / 36호 / 5 ~ 48페이지
    · 저자명 : 정승석

    초록

    베다에서 성찰한 인격의 세 층위 중 aja는 베단타의 자아 개념과 더욱 부합하고, tanū는 상키야의 미세신과 더욱 부합한다고 말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베단타의 일원론에서는 영혼 개념에 물질성을 전혀 고려하지 않지만, 상키야의 이원론에서는 여기에 물질성을 고려한다. 그러나 자아에 관한 베단타와 상키야의 인식이 현저하게 다르다고는 말할 수 없다. 양측의 차이는 반영설에 의해 인식론 차원에서 희석될 수 있기 때문이다. 즉 반영설에 의해 베단타의 자아(Ātman)는 개아(영혼)인 양 활동할 수 있으며, 상키야에서 개아에 상당하는 Buddhi는 자아(Puruṣa)인 양 인식할 수 있다.
    결국 베단타와 상키야 사이의 공유 관념으로 확연히 드러나는 것은 Buddhi이다. 이 Buddhi는 양측에서 활동성의 의식인 개체적 사이비 자아를 대변한다. 영혼의 역할을 담당하는 주체도 이것이며, 인식아와 내아와 명아 등도 이것의 별칭으로 간주할 수 있다. 여기서 자아와 영혼은 의식의 비활동성과 활동성으로 차별되므로 윤회(활동)하지 않는 영혼이 자아라면, 윤회(활동)하는 자아는 영혼이다.
    한편 상키야의 미세신은 자아 개념에 관한 한 베단타와 차별할 수 있는 관념을 대변한다. 그러나 베단타 불이일원론을 적용하면, 미세신도 무지의 소산이요 자아의 upādhi일 뿐이다. 베단타에서 해탈은 이 upādhi를 자아로 착각하는 무지에서 벗어남으로써 실현된다. 상키야의 경우에는 Buddhi를 자아로 착각하는 무지에서 벗어남으로써 Puruṣa의 독존이라는 해탈을 실현한다. 베단타든 상키야든 해탈의 논리는 동일하다. 양측의 차별적 관념은 동일한 해탈의 논리로 회귀한다고 말할 수 있다. 그러므로 차별 관념이 아무리 격렬할지라도 그 이면의 공유 관념으로 진화(鎭火)될 수 있는 것이 인도 철학의 자아 개념일 것이다.

    영어초록

    The refection on the ‘I’ from the ancient time in Indian philosophy is just a quest of the self. Speaking in a broad way, it is also a part of reflecting on and investigating human personality. It’s origin may be traced in the Veda as aja, tanū, and śarīra, which are three constituents of human personality connected closely with Upaniṣadic speculations in a later period. Of these we are inclined to attach weight to aja and tanū as the preceding notions corresponding to the self and the soul respectively.
    Aja corresponds to Ātman identified with Brahman. By the way, this aja together with ajā, or the feminine of aja described in Upaniṣads are also regarded as scriptural authorities in support of Sāṃkhya dualism. In this case, Puruṣa is compared to aja, and Prakṛti is compared to ajā. Therefore aja is a constituent of human personality corresponding to the predecessor of the self called Ātman or Puruṣa.
    Meanwhile, according to the Veda, the subtle structural unit which carries the mental faculties of the personality is called tanū. Moreover tanū is characterized as what is restored to man when he has died and his physical body has been burnt and his personality dissolved. Thus it accords with the so-called soul, and also we can consider it as the notion corresponding to the predecessor of jīva, or the individual self. Besides, to the extent that tanū is the subtle structural unit which carries the mental faculties of the personality, it may also be the predecessor of the transporting(ātivāhika) or subtle(sūkṣma) body which is held by Sāṃkhya.
    Lastly, śarīra is what is composed of the five gross elements, and refers to the body which is the visible and tangible physiological organism.
    Of three layers of human personality as above, we may say that aja tallies further with the self of Vedāntic notions and tanū tallies further with the subtle body of Sāṃkhya notions. While in the case of the monism of Vedānta materiality is not in consideration at all about the notion of the soul, in the case of the dualism of Sāṃkhya the notion of the soul which belongs to the categories of materiality is taken into consideration.
    However, we cannot say that the cognition relating to the self between Vedānta and Sāṃkhya is different remarkably. Though the difference of both is caused by each ontology between Vedānta and Sāṃkhya, it also can be weaken by the theory of reflection at the level of epistemology. In other words, the self of Vedānta can acts as if it were an individual self, and Buddhi of Sāṃkhya can cognizes as if it were Puruṣa. This is possible through the theory of reflection.
    After all, what reveals itself definitely as a common idea between Vedānta and Sāṃkhya is just Buddhi. The individual pseudo-self is represented in both sides by that Buddhi which is the consciousness of activity. The Buddhi is not only the knowing subject which serves as the soul, but also can be called as another names, that is to say vijñānātman, antarātman, jīvātman, and so on.
    Meanwhile, as far as the notion of the self is concerned, the subtle body of Sāṃkhya is a typical idea to be differentiated from Vedānta. But based on the advaita of Śaṅkara, the subtle body is nothing but the result of ignorance(avidyā), and it is only upādhi of the self.
    Ātman identified with Brahman, namely a state of liberation in Vedānta, is realized by being free from ignorance mistaking the upādhis for the self. The isolation of Puruṣa, namely a state of liberation in Sāṃkhya, is realized by being free from ignorance mistaking the Buddhi which leads the subtle body for the self. The logic for liberation held in whether Vedānta or Sāṃkhya is the same. We can say that the different ideas between Vedānta and Sāṃkhya revert back into the same logic for liberation.
    Accordingly, however vehemently the different ideas have been discussed, what can be weaken by the common ideas behind them would be the notion of the self in Indian philosoph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인도철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