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언어에 의한 수행경험의 이론화 ―유식불교『 섭대승론(攝大乘論)』과 후기비트겐슈타인 이론을 중심으로 (Theorizing the Contents experienced through Practices by Language -Focus on the text of Yogācāra(Mahāyānasaṃgraha) and Post-Wittgenstein Theory)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2 최종저작일 2012.12
38P 미리보기
언어에 의한 수행경험의 이론화 ―유식불교『 섭대승론(攝大乘論)』과 후기비트겐슈타인 이론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불교학연구회
    · 수록지 정보 : 불교학연구 / 33권 / 121 ~ 158페이지
    · 저자명 : 안환기

    초록

    유가행파는 수행을 통해 관찰한 내용을 체계적으로 이론화한 것으 알려져 있다. 이것은 개별수행자의 경험내용을 문자로 기록하여 그것을 타인과 공유하며 후대인들에게 계승하는 과정에 의해 형성된 것이다. 본 논문은 주관적으로 보이는 개별 수행자의 경험내용이 언어로 표현되어 유가행파의 이론으로 체계화될 수 있었던 근거를 밝히고자 한다. 이를 위해 후기비트겐슈타인의 이론을 분석하여 이것을 유가행파의 이론에 적용했다. 후기비트겐슈타인 이론은 사적인 대상이 공동체의 규칙에 부합되는 언어에 의해 표현되었을 때 그 언어는 공적인 대상이 된다고 제시한다. 필자는 삼매의 상태에 나타난 마음의 작용 또한 수행공동체에 부합되는 언어로 표현되면 공적인 대상이 될 수 있다고 보았다. 이와 함께 수행을 통해 관찰한 내용을 체계적인 이론으로 정립할 수 있었던 것은 ‘공동의 분별’작용에 의해 수행경험을 공동체의 규칙에 부합되는 언어로 표현했기 때문이라고 제시했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본 논문은 일상인과 수행을 통해 도달한 보살이 각각 언어작용을 일으키기까지 겪게 되는 심리과정을 분석하여 그 유사점과 차이점을 밝혔다. 일상인들의 언어작용은 ‘명언훈습종자’의 현현에 의한 ‘식’의 분화에 의해 형성된다. 보살의 언어작용 또한 ‘식’의 분화에 의해 형성된다. 하지만 보살은 ‘후득지’를 증득하면서 ‘무분별지’의 상태에서 본 내용을 자각하고 그것을 인식한다는 점에서 일상인의 ‘식’의 분화와 질적으로 다르다. 이상의 분석결과 이 논문은 일상인과 보살의 인식과정이 ‘식’의 능동적 분화에 의해서 형성된다는 점에서 유사성을 보인다고 제시했다. 반면 일상인과 보살 사이에 나타나는 결정적인 차이는 언어작용이 자신을 위한 욕망에서 비롯되었는가 아니면 타인을 우선시 했는가에 있다고 주장했다. 이러한 현상은 후기비트겐슈타인의 이론에 나타나지 않는 유식불교의 독특한 점이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attempts to clarify the ground on which the experience of an individual practitioner, which was seemed to be subjective, was expressed by language and became to be a systemic Yogācāra theory. For this, I analyzed post-Wittgenstein theory and applied it to Yogācāra theory. Post-Wittgenstein theory shows that when personal object is expressed by the language that is compatible with the rules of community, it becomes a public one. I concluded that when the contents, which are observed during the state of samadhi , are rendered into the letter which is consistent with the rules of community, they become to be public objects. I also showed that the contents observed through practices became to be systemic theories by the action of common discrimination.
    In such a perspective, I clarified a point of commonness and difference between an ordinary person and bodhisattva by analyzing the change of mind. An ordinary person expresses his thought by language as a result of the division of vijñāna by abhilāpavāsanābīja . Bodhisattva also expresses his experience to other peoples by language. But the division of vijñāna of Bodhisattva is qualitatively different from that of an ordinary person in that acquiring the Hudugji (後得智, meaning wisdom attained later on), Bodhisattva awakes and recognizes the contents observed during the state of Mubunbyeolji (無分別智,meaning wisdom of nondiscrimination).
    Finally I clarified that there is similarity between an ordinary person and bodhisattva in that their cognitive processes are formed by the active division of vijñāna . But there is also a difference between them in that the division of vijñāna of an ordinary person results from his desire whereas that of bod hisattva results from his mercy. This phenomenon is a unique aspect of Yogācāra theory, which does not appear in post-Wittgenstein theor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불교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5월 21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1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