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孟子 心性論의 심성구조에 대한 분석심리학적 이해 - 정신통합론적인 관점을 중심으로 - (Analytic-psychological Understanding of Mental Structure in Mencius' Mind-nature Theory - From the Perspective of Psychological Integration -)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2 최종저작일 2014.09
30P 미리보기
孟子 心性論의 심성구조에 대한 분석심리학적 이해 - 정신통합론적인 관점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범한철학회
    · 수록지 정보 : 범한철학 / 74권 / 3호 / 25 ~ 54페이지
    · 저자명 : 고희선

    초록

    본 논문은 융 분석심리학의 정신통합론적인 관점에서 맹자 심성론의 심성구조를 이해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융 분석심리학은 외부세계로 향하는 서양심리학의 의식과 행동주의적인 한계를 극복하고, 인간 내면에 깊이 내재되어 있는 자기 원형(Self)의 특성과 그 작동원리를 중심으로 한 ‘자기실현’ 과정을 치료의 핵심으로 보고 있다. 이러한 융 심리학의 내면적 특성은 수양론을 통한 자기완성을 학문의 궁극적 목표로 삼았던 동양사상과 많은 부분에 있어 유사하다. 이러한 융 심리학과 동양 수양론의 내재적인 유사성 속에 맹자 심성론에서 인간 본성으로 규정되고 있는 善性의 의미가 융 심리학의 자기원형을 중심으로 한 ‘中의 실현’에 있다고 판단하고, 본 논문에서는 선성과 자기원형을 중심으로 한 양 학문의 주요한 심성구조를 비교 고찰해나가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 목적 아래 양 학문의 비교 고찰은 다음과 같은 네 가지 큰 틀에서 진행되었다.
    첫째, 맹자 심성론의 小體와 융 심리학의 의식은 모두 인간 정신 및 심성의 가장 표면에 위치한다. 이러한 정신지형학적인 구조로 인해 양 심성구조는 자기 내면을 향한 정신역동보다 감각・지각기능에 따른 외부지향적인 정신역동을 그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소체와 의식의 외부지향적인 정신특성은 인간들로 하여금 타자와의 도덕적 관계기능보다 자기중심적이고도 개인적인, 그리고 현실중심적인 정신기능을 발휘하게 한다.
    둘째, 맹자 심성론의 四端之心과 융 심리학의 개인무의식을 비교 고찰함에 있어, 양 심성구조가 동일하다는 차원이 아닌, 심리치료과정에서 인간은 개인무의식 내 자기 문제 및 콤플렉스들을 해결해나가는 과정 속에 타자와 조화롭게 더불어 살아갈 수 있는 도덕적 관계기능 또한 발달시켜나갈 수 있다는 차원에서 양 심성구조를 비교 고찰하였다. 물론 타자에 대한 도덕적 관계기능은 인간에게 있어 의식적으로 주입되거나 교육되어질 수도 있다. 하지만 맹자 심성론의 善한 인간 본성에 대한 기본적인 믿음 아래, 인간은 누구나 개인무의식 내 자기 욕구 및 욕망을 적절히 충족시키고 자기 문제들을 해결해나가다 보면, 선성을 중심으로 한 도덕적 타자관계 및 관계질서 또한 건강하게 발현되어나갈 수 있다는 차원에서 양 학문의 심성구조를 비교 고찰하였다.
    셋째, 인간은 개인무의식 내 자기 문제 및 콤플렉스들을 해결해나가고 나면, 그 다음 정신단계인 집단무의식의 영역으로 진입해 들어가게 된다. 물론 집단무의식의 체험은 개인무의식 내 자기 문제가 해결된 뒤에만 오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본 논문은 인간 마음의 구조 및 기능을 인간 정신의 중심인 자기원형을 중심으로 한 정신통합론적인 차원에서 단계론적이고 발달학적인 차원에서 이해해나가고자 하였다. 그렇다면 인간은 개인무의식 내 자기 문제의 해결과정 뒤 보다 더 깊은 정신영역인 집단무의식의 영역으로 내려가게 되고, 그곳에서 개인중심적인 삶이 아닌, 자신이 속한 집단 및 사회적인 차원에서의 정신역동을 경험하게 된다. 그리고 그 속에서 인간은 개인적인 삶만이 아닌, 인류와 집단의 문제를 같이 해결해 나가고자 하는 과정 속에 仁義禮智를 중심으로 한 보편적 도덕심성을 발달시켜나가게 된다.
    넷째, 맹자 심성론은 소체와 사단지심, 그리고 사덕의 함양과정을 통해 궁극적으로 인간의 선한 본성의 증득과 체득을 수양론의 핵심으로 보고 있다. 반면, 융 심리학에서 바라보는 인간의 본질적 속성은 ‘자기원형’으로, 이는 인간 정신의 중심이자 본체로 이해되고 있다. 즉 융 심리학에서는 자기원형을 중심으로 한 자기실현과정을 정신치료의 핵심으로 보고 있고, 인간은 이를 통해 자기 정신의 전체성을 실현할 수 있다고 하는 것이다. 그렇다면 본고에서는 맹자 심성론에서 주장하는 선한 인간 본성에 대한 善의 의미가 도덕적 가치철학적인 관점에서의 善의 의미가 아닌, 유가 심성론의 이상적 존재방식인 ‘中의 실현’에 있다고 판단하고, 양 학문에 있어 동일하게 인간의 궁극적인 본성으로 이해되고 있는 선성과 자기원형을 상호적으로 이해하고자 하였다.

    영어초록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mental structure in Mencius' mind-nature theory from the perspective of psychological integration in Jungian analytic psychology. Jungian analytic psychology views the process of 'self-realization'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self-archetype seated deep inside a human mind and its functional principles as the core of therapy, overcoming the consciousness and behavioral limitations of Western psychology towards the outside world. Such internal characteristics of Jungian psychology are similar in many ways to Eastern ideas set the ultimate goal of learning on self-perfection by cultivation. Determining that based on such internal similarities between Jungian psychology and Oriental self-cultivation, the significance of good nature defined in Mencius' mind-nature theory as human nature lies in 'realization of moderation' centering on self -archetype in Jungian psychology, this study makes a comparative consideration of major mental structures in the two disciplines centering on good nature and self-archetype respectively. With this purpose of research, the comparative consideration of both disciplines has been made focusing on major frameworks below.
    First, both Xiaoti in Mencius' mind-nature theory and consciousness in Jungian psychology are seated on the outermost surface of human mind and mentality. Due to such a topographical structure, both mental structures are characteristic of outwardly oriented psychodynamics with sensory and perceptual functions rather than inwardly oriented psychodynamics. Such outwardly oriented mental characteristics of Xiaoti and consciousness cause human beings to perform egocentric, personal and realistic mental functions rather than moral interpersonal functions with other people.
    Second, both mental structures can develop moral interpersonal functions enabling one to live together other people while resolving his own problems and complex within personal unconsciousness through psychological therapy, not in the sense that both mental structures are the same. Of course, moral interpersonal functions with others can be consciously taught or trained. However, based on a basic belief in the good nature in Mencius' mind-nature theory, one can have moral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relational order in a healthy manner relying on good nature while resolving his own problems, satisfying his needs and desire within personal unconsciousness in a reasonable way.
    Third, one enters the area of collective unconsciousness, the next mental step, after resolving his own problems and complex within personal unconsciousness. Of course, the experience of collective unconsciousness does not take place only after his own problems within personal unconsciousness are resolved. However, this study intends to understand the structure and functions of human mind in terms of psychological integration centering on self-archetype, the center of human spirit, in a stepwise and developmental way. Then, one can enter the area of collective unconsciousness, a higher level, after resolving his own problems within personal unconsciousness, and experience psychodynamics considering his group, community and country, not just his own interests. In this stage, he can develop universal morality centering on benevolence, righteousness, propriety and wisdom while exerting to resolve the problems of the human race and the society, not just his own problems.
    Fourth and finally, Mencius' mind-nature theory ultimately views the growth and experience of good nature as the core of self-cultivation by cultivation of Xiaoti, Sadanjisim (mind of four clues) and the four virtues. Meanwhile, Jungian psychology views the essential properties of human beings as 'self-archetype', the center and noumenon of human nature. In other words, Jungian psychology views self-realization centering on self-archetype as the core of psychotherapy, insisting that one can realize his psychological wholeness by it.
    Determining that the significance of good nature in Mencius' mind-nature theory lies in realization of moderation, an ideal existence type in Confucian ideas on the nature of mind, not moral axiological significance, this study made a comparative consideration of good nature and self-archetype, perceived as the essential properties of human beings in both disciplin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5월 14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0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