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고석규(高錫珪) 비평의 존재론에 대한 연구 - 마르틴 하이데거(Martin Heidegger) 존재론의 영향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Ontology in Seog-gyu Go’s Criticism - focused on the Influence of Martin Heidegger’s Ontology)

4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2 최종저작일 2016.08
43P 미리보기
고석규(高錫珪) 비평의 존재론에 대한 연구 - 마르틴 하이데거(Martin Heidegger) 존재론의 영향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현대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현대문학연구 / 49호 / 335 ~ 377페이지
    · 저자명 : 오주리

    초록

    이 논문의 목적은 고석규의 존재론에 나타난 마르틴 하이데거의 영향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는 것이다.
    I장 1절에서는 고석규의 연구사 가운데 한국문단에서 1950년대의 실존주의를 관통하면서도 존재론에 대한 보편성을 갖는 맥락을 이어받아 연구를 할 것임을 밝혔다. I장 2절에서는 그가 프울께의 『실존주의』를 번역하는 과정에서 사르트르를 경유한 하이데거의 존재론의 영향을 강력히 받아 고석규만의 독특한 시각이 형성되었음을 밝혔다.
    II장에서는 고석규의 존재론에 나타난 존재 개념에 대하여 논구하였다. 그 가운데, 하이데거의 현존재, 실존, 탈존, 탈자태 등의 개념이 고석규의 「지평선의 전달」에서 핵심적으로 다루어짐으로써 한국 전후의 시대적 맥락에서 전유되고 있는 양상을 밝혔다.
    III장에서는 고석규의 존재론에 나타난 시간 개념에 대하여 논구하였다. 그 가운데 하이데거의 배려의 시간성과 베르그송의 지속의 시간성의 개념이 고석규의 「문체의 방향-일반적 서설」에서 거의 동일한 개념으로 간주되는 등, 고석규에게서 하이데거의 존재론이 독자적인 양상으로 전유되고 있음을 밝혔다.
    IV장에서는 고석규의 존재론에 나타난 무 개념에 대하여 논구하였다. 그 가운데 하이데거의 무, 불안, 자유, 허무, 죽음의 개념이 고석규의 「불안과 실존주의-현대의 특징을 해명하는 시론」과 「시인의 역설」에서 승화의 양상으로 전유되고 있음을 밝혔다.
    V장에서는 결론적으로 고석규의 존재론이 하이데거의 영향에 경도되어 있던 이유로 그 둘 사이에 공통적으로 죽음의식에 대한 사유가 있음을 밝혔다. 마지막으로, 이 장은 고석규의 『실존주의』 번역에 대한 연구를 차후과제로 남겨 두었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Heidegger’s ontology in Go’s ontology in his criticism.
    Chapter I covers the correlation of Go’s ontology with the discourse on the existentialism. In section 1, his ontology has the universality of the history of philosophy. In section 2, his ontology was influenced from Heidegger’s ontology that was appropriated by Sartre when Go translated Foulquié’s L’Existentialisme.
    Chapter II covers the concept of the being in Go’s ontology. Heidegger’s concepts such as Dasein, Existenz, Eksistenz, Ekstase were appropriated in Go’s the Delivery of the Horizon in the contemporary context of the post- Korean War period.
    Chapter III covers the concept of the time in Go’s ontology. Heidegger’s Zeitlichkeit von Besorge and Bergson’s temporality of the duration were appropriated as the almost same concepts in Go’s the Direction of the Style - the General Introduction.
    Chapter VI covers the concept of the nothing in Go’s ontology. Heidegger’s concepts such as Nichts, Angst, Freiheit, Nihil, Tode were appropriated as the aspects of the sublimation in Go’s the Anxiety and the Existentialism - the Introduction Explaining the Modern Characteristics and in Go’s the Paradox of the Poet.
    Chapter V covers the conclusion of this thesis. The reason why Go’s ontology leaned on the influence of Heidegger’s ontology was the fact that they had the great interest on the death-consciousness in common between Go’s ontology and Heidegger’s ontology. And lastly, what remains to be examined by future research is Go’s translation of Foulquié’s L’Existentialism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현대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2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