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교회갱신의 관점에서 전망한 존 웨슬리의 성결론 —선교적 교회론으로 『존 웨슬리의 일기』 읽기 (Reconsideration of the Doctrine of Sanctification in the Theology of John Wesley from the Perspective of the Church Renewal)

3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2 최종저작일 2019.09
37P 미리보기
교회갱신의 관점에서 전망한 존 웨슬리의 성결론 —선교적 교회론으로 『존 웨슬리의 일기』 읽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서울신학대학교 기독교신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신학과 선교 / 56호 / 181 ~ 217페이지
    · 저자명 : 오성욱

    초록

    존 웨슬리의 신학연구는 주로 그의 설교를 중심으로 진행되어 온 경향성이 있다. 여러 이유가 있겠지만, 웨슬리는 정교하고 세밀한 조직신학 저서를 집필하지 않았기 때문에, 그동안 웨슬리 신학을 연구하는 신학자들은 웨슬리의 신학적 사유가 가장 구체적이고 분명하게 드러난 지점을 설교라고 상정하고 그의 설교를 재구성하고 재진술하고 재해석함을 통해서 웨슬리의 신학을 펼쳐 보여주었다. 그러나 설교의 언어와 논리를 신학이라는 형이상학적 언어와 논리로 가공하여 재구성하는 것이 과연 설교를 통해 드러내려는 설교자의 신학적 의도와 신앙의 열정을 온전하게 담아내기에는 무엇인가 미흡한 면이 존재한다고 사료된다. 설교는 교회론적 컨텍스트와 설교자 자신의 신앙적 컨텍스트를 반영하여 본문을 선택하고, 말씀이 해석되는 흐름이 존재하는데, 논리적이고 형이상학적 이론신학은 이러한 컨텍스트에 대한 특이성을 중화시킬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필자는 본 논문에서 웨슬리의 성결론을 전망함에 있어서, 웨슬리의 일기와 저널, 그리고 웨슬리가 체험했던 다양한 교회론적 전이해가 매우 중요한 요소로 고려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물론, 웨슬리의 설교가 그의 성결론을 재구성하는 데 의미가 없다는 말이 아니다. 웨슬리의 설교는 웨슬리의 성결론을 구성하는 중요한 내용이다. 그러나 웨슬리의 성결론 탐구에 있어서 골격과 구조와 방향성에는 웨슬리의 일기와 저널과 그가 체험한 다채로운 교회와 선교적 열망이 응축되어 있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이러한 요소들이 웨슬리 성결론의 외피가 되고 그 외피의 내용으로서 웨슬리의 설교를 주제에 맞게 분류하여 정돈한다면, 복음전도자 웨슬리의 신앙의 열정이 담겨진 웨슬리의 독특한 성결신학이 탄생되리라 사료된다.

    영어초록

    John Wesley's theological studies tended to revolve around his sermons. For his own reasons, Wesley did not write sophisticated and detail-organized theology books. This has made theologians who study Wesley's theology to assume that the most specific and obvious points of his theories were presented through his preaching. Through the reconstruction, re-examination, and reinterpretation of Wesley’s sermons, his theology has spread. However, processing and reordering the language and reasoning of sermons with theology, a metaphysical language and logic is profoundly thought to have a side of insufficiency for being a channel that shows a preacher’s theological purposes and faith-related passion.
    Reconstructing Wesley's theology in this paper, the author argues that Wesley's diaries, journals, and the various Christian metaphors that Wesley has experienced should be used as extremely important elements. Of course, this is not to say that Wesley's sermons are meaningless when reconstructing his theology; they are important. However, the framework and direction of order in the reconstruction of Wesley’s theology must focus on the diaries and journals of Wesley and the diverse church and missionary aspirations he has experienced. These elements will be an exterior for Wesley’s theology. If the contents of this exterior classify and arrange Wesley’s sermons with the right topics, the distinctive theology of the evangelist Wesley is profoundly thought to be filled with his passion for faith.
    By focusing on Wesley’s diverse Christian experiences that are written within the heart of Wesley’s journal, the author tries to understand the construction processes of Wesley’s theology of sanctification. The act of creating coherency to Wesley’s proclamation of the theology of sanctification in his sermons will momentarily be put aside, as the framework for the theology of sanctification will be created with Wesley's journal. The clues are revealed through the process of the intense spreading of the Gospel, outlining, and pursuing the missional church. The author's theological work does not aim to complete Wesley's theology of sanctification. Rather, it merely tries to become a strong bowl that can withhold the precious messages of Wesley which are from his sermons that discuss the theology of sanctific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신학과 선교”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1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