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아리스토텔레스와 헤겔의 비극론 비교 (The Comparison of Aristotle's and Hegel's Theory of Tragedy)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2 최종저작일 2011.12
25P 미리보기
아리스토텔레스와 헤겔의 비극론 비교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헤겔학회
    · 수록지 정보 : 헤겔연구 / 30호 / 223 ~ 247페이지
    · 저자명 : 서정혁

    초록

    아리스토텔레스는 『시학』에서 비극의 구성요소들을 제시하면서 소포클레스의 『오이디푸스 왕』을 가장 비중있게 다룬다. 왜냐하면 아리스토텔레스에 의하면 소포클레스의 『오이디푸스 왕』이 비극이 갖추어야 할 요소들을 잘 충족하면서 ‘연민’과 ‘공포’라는 두 감정을 유발하기에 적절한 플롯을 갖추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아리스토텔레스의 비극론은 도덕이나 정치와 같은 예술 밖의 기준으로 예술을 평가하지 않고, ‘순수 예술적 가치’의 독립성을 인정하는 관점에 기초해 있다. 이에 비해 헤겔은 ‘미학 강의’에서 일차적으로 소포클레스의 『오이디푸스 왕』보다는 『안티고네』를 최고의 작품이라고 평가한다. 그 이유는 헤겔이 비극의 핵심을 인륜적 위력들 간의 충돌로 보고, 『안티고네』에서 국가와 가족이라는 두 인륜들 사이의 충돌이 가장 잘 표현되고 있다고 보기 때문이다. 더 나아가 헤겔은 『안티고네』에 대한 해석을 통해 인륜적 위력들이 각기 자신의 일면성만을 주장할 때 파멸에 이를 수밖에 없다는 것을 보여줌으로써, 비극적 충돌을 해소하고 화해라는 긍정적 요소를 도출하는 데 비극의 최종 목적이 있다고 주장한다. 이 관점에서 헤겔은 『오이디푸스 왕』도 『콜로노스의 오이디푸스』까지 포함하여 해석함으로써 화해라는 측면을 강조하려 한다. 그리고 헤겔은 『오이디푸스 왕』에서 등장하는 충돌을 행위하는 자의 의식과 그 배후에 있는 무의식적 요소 사이의 갈등으로 보면서, 아리스토텔레스는 강조하지 않는 ‘스핑크스의 수수께끼’ 이야기를 부각시킨다. 그리고 비극에서 결과되는 ‘공포’와 ‘연민’이라는 감정보다 ‘화해의 감정’이 더 고귀하다고 강조한다. 이러한 이유로 아리스토텔레스보다는 헤겔의 비극론이 다분히 그 고유의 철학적 관점에서 비극작품들을 해석했다는 비판을 받을 수는 있으나, 오히려 그렇기 때문에 ‘참으로 비극적인 것’에 천착한 헤겔의 비극론은 그의 철학과의 관련 하에서 여전히 유의미하게 논의될 수 있다.

    영어초록

    Aristotle handles Sophocles' Oedipus Tyrannus most heavily in his Poetics, presenting components of the tragedy. According to him, Sophocles' Oedipus Tyrannus meets conditions which a good tragedy should have, and it has the plot that is adequate to induce pity and fear. His theory of tragedy is based not on the perspective which evaluates art by unartistic criteria, but on the perspective which recognizes the independence of pure artistic value. In contrast, Hegel values Sophocles' Antigone instead of Oedipus Tyrannus as the best work of art in his Lectures on Aesthetics. Hegel thinks the core of tragedy as the collision between ethical powers and thinks that such a collision between family and state is best expressed in Sophocles' Antigone. Furthermore, Hegel shows through the interpretation of Sophocles' Antigone that all ethical powers are bound to go to the ground, when each ethical power holds fast to only its onesidedness. And then he claims that the ultimate end of a tragedy is to resolve collision as a negative element and to attain reconciliation as a positive element. From this viewpoint, Hegel wants to emphasize the aspect of reconciliation by interpreting Sophocles' Oedipus Tyrannus including Oedipus Coloneus, and the story 'Riddle of the Sphinx' which was not highlighted by Aristotle, when Hegel interprets the collision in Oedipus Tyrannus as the conflict between consciousness of those who act and the unconscious element in their rear. He emphasizes the feeling of reconciliation more than pity and fear. Through these points we can know that not Aristotle's but Hegel's theory of tragedy would be criticized, because Hegel interprets tragedies in his own philosophical perspective. This makes us to discuss meaningfully Hegel's theory of tragedy which inquires into 'the truly tragic' in relation to his philosoph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헤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2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