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니체의 아리스토텔레스 비판과 비극론 (Nietzsches Kritik an Aristoteles und seine Trgödientheorie)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2 최종저작일 2011.12
27P 미리보기
니체의 아리스토텔레스 비판과 비극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드라마학회
    · 수록지 정보 : 드라마 연구 / 35호 / 243 ~ 269페이지
    · 저자명 : 심재민

    초록

    니체는 『우상의 황혼』에서 비극 주인공의 파멸에 대한 관객의 정서적 반응과 관련해서 아리스토텔레스를 비판하면서, 포보스(Phobos)1)와 엘레오스(Eleos)에서 나온 격정을 폭발시켜 카타르시스(Katharsis)에 도달한다는 해석의 문제점을 지적한다. 즉 비극 주인공에 대한 공포와 동정을 통해서 나온 위험한 격정을 폭발시키면서 거기서부터 정화하는 것에 대해서 근본적으로 반대한다. 니체는, 아리스토텔레스뿐만 아니라 ‘염세주의자들’이 비극을 ‘염세주의적’으로 오해했으며, 그 결과 삶의 근원적인 생명력을 부정했다고 강조한다. 이와 반대로 니체는 비극을 통해서 ‘삶에의 의지’가 고양된다는 점을 부각시킨다.
    아리스토텔레스의 카타르시스 개념의 윤리적 해석을 비판하면서 니체는 카타르시스가 가진 ‘미학적 유희(ästhetisches Spiel)’와 ‘미학적 사건’으로서의 의미를 높이 평가한다. 여기서는 음악의 파토스(Pathos)가 사티로스합창단에 강제로 들어가서 합창단의 디오니소스적 도취 경험을 가능하게 하며, 그와 더불어 예술적 힘의 강제적 폭발로 인하여 인간의 변신과 자기정체성의 상실이 야기된다. 그 결과 의식의 탈경계화 경험이 가능해진다 다시 말해서 리미널리티(Liminality)의 경험이 이루어진다. 디오니소스적 음악의 열광적 권능에 사로잡힌 인간은 디오니소스 신(神)의 시종으로 변신한다. 그러므로 주신찬가(Dithyrambus) 때에 카타르시스적 변신에 근거하여 디오니소스적 사티로스로의 변신이 이루어지며, 따라서 사티로스 합창단은 ‘무의식적 배우’로 변신할 뿐만 아니라, 장면의 환영(Vision)을 보는 관객이기도 하다. 여기서 합창단은 청중에게 분위기를 자극하게 된다. 왜냐하면 고대 그리스 비극의 청중은 오케스트라석의 주신찬가 합창단이 사티로스 합창단으로 변신했다고 상상하면서 합창단과 자신을 동일시하는 가운데 스스로 변신하게 되기 때문이다.
    니체는 아리스토텔레스의 비극론을 소크라테스주의와의 맥락 속에서 파악하면서 이른바 ‘배후세계론자들’에 대하여 비판을 가하며, 이런 가운데 이성중심주의에 대한 비판이 이루어진다. 이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철학이 실체 개념에서부터 출발하는 데 대한 비판과 맥을 같이 한다. 같은 매락에서 니체는 소크라테스의 영향권 하에 있는 에우리피데스의 비극을 비판하면서 비극에서의 합창단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왜냐하면 에우리피데스의 비극에서는 합창단의 기능이 축소됨으로써 결국 비극이 ‘자살’하고 마는 사태에 이르게 되었기 때문이다.

    영어초록

    Nietzsche kritisiert Aristoteles in Hinsicht auf die Reaktion des Zuschauers angesichts des Untergangs des Helden in der Tragödie. Nietzsche weist auf jene problematische Interpretation der Tragödie durch Aristoteles hin, die behauptet, dass der Zuschauer durch die Entladung aufgrund von Phobos und Eleos endlich zu der Katharsis gelangt.
    Somit spricht sich Nietzsche im Grunde genommen gegen diese Art von Katharsis aus.
    Nietzsche betont, dass die sogenannten ‘Pessimisten’ einschliesslich von Aristoteles die Tragödie pessimistisch missverstanden und damit die gründliche Lebenskraft im menschlichen Leben verneint haben. Dabei bezieht sich diese Zurückweisung der Lebenskraft eben auf Nietzsches Kritik an der zeitgenössischen Moral.
    Aufgrund der Umwertung des Begriffs ‘Katharsis’ schätzt Nietzsche eben den Sinn der Katharsis als ästhetisches Spiel und ästhetisches Ereignis. Hier bricht das Pathos der Musik in den satyrischen Chor ein und ermöglicht die Erfahrung des dionysischen Rausches. Damit wird die künstlerische Kraft zur Entladung gezwungen, so dass die Verwandlung des Menschen und daran anschliessend der Verlust der Identität verursacht werden. Dabei wird die Erfahrung der Entgrenzung des Bewusstseins ermöglicht. Dies bedeutet, dass sich die Erfahrung der Liminalität vollzieht. Der Mensch, der von der enthusiasthischen Macht der dionysischen Musik besessen ist, verändert sich in einen Diener des dionysischen Gottes. Infolgedessen wird er aufgrund katharsischer Verwandlung beim Dithyrambus zum dionysischen Satyr. Satyrischer Chor verwandelt sich dabei in einen unbewussten Schauspieler und zugleich wird zu jenem Zuschauer, der die Vision der Szene sieht. So reizt der Chor die Stimmung der Zuhörer. Denn die Zuhörer der griechischen Tragödie stellen sich vor, dass sich der Chor beim Dithyrambus in der Orchestra in den satyrischen Chor verwandelt hat. Dabei identifizieren sich die Zuhörer mit diesem Chor und verwandeln sich selbst.
    Nietzsche begreift die Tragödientheorie von Aristoteles im Kontext von Sokratismus und kritisiert die sogenannten ‘Hinterweltler’ und somit den Logozentrismus. Dabei geht es um die Kritik an dem Begriff ‘Substanz’, von dem die Philosophie Aristoteles’ausgeht. Vor dieser Folie kritisiert Nietzsche jene Tragödie von Euripides, die unter dem Einfluss von Sokrates steht. Damit pointiert Nietzsche die Bedeutung des Chors in der Tragödie. Denn Euripides hat die Funktion des Chors so stark eingeschränkt, dass die Tragödie eben den ‘Selbstmord’ begeht ha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드라마 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4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