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龍洲 趙絅의 문학론 (The Literary Criticism of Jo, Kyoung(趙絅, 1586-1669))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2 최종저작일 2015.01
33P 미리보기
龍洲 趙絅의 문학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우리어문학회
    · 수록지 정보 : 우리어문연구 / 51호 / 205 ~ 237페이지
    · 저자명 : 송혁기

    초록

    본고는 龍洲 趙絅(1586-1669)의 문집 『龍洲遺稿』를 비롯하여 최근에 새로 소개된 『龍洲尺牘』, 『文簡公簡牘』, 『龍洲日記』, 『龍洲趙先生年譜』, 『言行總錄』 등의 자료를 검토하여 趙絅의 문학론을 총괄적으로 재구하고자 하였다.
    趙絅은 『文選』, 『莊子』, 『史記』 등을 문학의 전범으로 강조하였다. 趙絅은 문학 수련의 과정에서 漢代 작가들의 賦를 읽어서 그 융성했던 文氣를 맛봄으로써 賦를 짓는 힘을 길러야 한다고 하였으며, 『문선』에 실린 많은 공용문서들에서 관각문과 상소문의 원형을 찾아 배우고자 했다. 趙絅은 『莊子』를 평생 즐겨 읽었고 자주 用典의 출처로 삼았으며, 이는 그의 문풍에까지 영향을 끼쳐 후대에 장자를 본받았다는 평을 받았다. 趙絅이 윤근수에게 『史記』 공부를 권유받았다는 일화는 이미 선행 연구에서 거론되었는데, 본고에서는 이것이 젊은 날의 일화에 그치지 않고 평생 이어졌음을 확인했다. 趙絅은 『사기』를 반복하여 읽고 외우는 것을 통해 문장을 짓는 힘을 기를 수 있다고 생각했으며, 역사서 서술의 문체를 다양한 산문 체식에 구현함으로써 생동감 있는 작품을 남겼다.
    趙絅의 王世貞 추숭은 각별했는데, 이는 그 당시로서는 흔치 않은 일이었다. 字句만 유사하게 모의했다는 비판과 함께, 程朱學을 무시하고 古學을 추구했다는 것으로 인해 조선에서의 평은 대체로 좋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러나 趙絅은 왕세정의 문학론에 적극 찬동했을 뿐 아니라 그의 문학적 성취도 매우 높게 평가하였고 왕세정의 글을 즐겨 읽고 권장하였다. 이러한 전범 인식 및 왕세정 추숭은 ‘古氣의 체득과 구현’을 지향하는 것으로 이어진다. 趙絅은 제한된 범위의 고문을 반복적으로 읽고 외워서 체화시키는 것을 그 방법으로 제시했으며, 본인도 평생 이를 실천하였다.
    趙絅은 단독의 비평 저서를 남기지는 않았으나 시, 문집 서문, 묘갈명 서, 편지 등의 다양한 형식을 통해 적지 않은 문학비평을 제출하였다. 개별 작가들에 대한 각각의 비평들을 통해서 趙絅이 문학에 있어서 무엇을 중시했으며 어떻게 배우고 어떻게 창작해야 한다고 생각했는지를 더 구체적으로 살필 수 있었다. 이상 본고는 전범 인식과 古氣 지향, 그리고 문학비평 실제를 중심으로 趙絅의 문학론을 살펴보았다.

    영어초록

    This review study is focused on the reinterpretation of Jo, Kyoung(趙絅, 1586-1669)’s philosophies and methodologies in his literature study in a broader way, by taking the recently reported Yong-ju-yu-go(龍洲遺稿), Yong-ju-chuck-tock(龍洲尺牘), Mun-gan-gong-gan-tock(文簡公簡牘), Yong-ju-il-ki(龍洲日記), Young-ju-cho-sun-seang-nyun-bo(龍洲趙先生年譜), and Un-hang-chong-rock(言行總錄).
    Jo, Kyoung advocated that writers should be trained with heavy reading and review of the masterpieces of the gurus in the Hna Dynasty era to develop writing skills. In addition, he made his efforts to learn the original forms of the public documents used at the age. Jo, Kyoung’s favorite was Chuang-tzu(莊子) and he cited Chuang-tzu in many of his notes. Recently, it is generally accepted that Jo, Kyoung’s philosophy and writing were largely influenced by Chuang-tzu.
    In a number of previous works, it was mentioned that Jo, Kyoung was recommended to learn Records of the historian(史記) by Youn, Kun-su. In this study, we demonstrate that it was not just a single event of studying Records of the historian, but Jo, Kyoung continued to investigate Records of the historian for his entire life.
    Jo, Kyoung highly estimated the value of Wang, Shi-zhen(王世貞)’s philosophy and articles, which was an extraordinary point of view to him at the age because Wang, Shi-zhen was criticized to copy phrases from other’s articles to his publications and prefer Ko-hak(古學) than Jung-Ju-Hak(程朱學). Jo, Kyoung, however, strongly agreed to Wang, Shi-zhen’s theories of literature study, loved to read his literatures, and recommended them to others. The impact of Jo, Kyoung’s recognition and admiring to Wang, Shi-zhen was intensive enough to turn over the methodology of literature studies at the time: review and realizations of Ko-ki(古氣).
    The methodology Jo, Kyoung took for the investigation in Wang, Shi-zhen’s publications was to read Ko-mun(古文) exhaustively until the readers can feel the thinkings and hearts of the author deeply. Jo, Kyoung worked this way in his entire life.
    It is quite surprising that Jo, Kyoung left no independent critic notes in his life because he did many of criticisms in wide range of Chinese literature. From Jo, Kyoung’s criticisms, we can deduce not only what he took importantly in literatures but also how he tried to establish the methodology of ‘learning and creating’ literatures, in detail. In this work, we review Jo, Kyoung’s methodology and aims for studying paragon literatures and his realistic literature criticis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우리어문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25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3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