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전략의 기표, 응전의 기의-김남천 창작방법론의 비평적 성격과 리얼리즘론의 의미 고찰- (The Signifier of Strategy, the Signified of Accepting a Challenge -A Study on the Meanings of the Critical Nature and Realism of Kim Nam-cheon's Creation Methodology-)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2 최종저작일 2017.04
28P 미리보기
전략의 기표, 응전의 기의-김남천 창작방법론의 비평적 성격과 리얼리즘론의 의미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반교어문학회
    · 수록지 정보 : 반교어문연구 / 45호 / 123 ~ 150페이지
    · 저자명 : 김민정

    초록

    이 글은 김남천 창작방법론의 의미를 재조명한 글이다. 김남천의 창작방법론에 대한 연구는 상당한 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창작방법론은 전향의 논리, 혹은 실패의 서사로 귀결되어 왔다. 여기에는 고발문학론에서 주장한 주체 정립의 문제가 관찰문학론에 이르러 ‘관찰’(묘사)로 수렴되면서 결국 주체 정립에 실패했다고 보는 관점이 자리한다. 또한 비평에 대응한 창작이 일제 말기에는 주춤해지게 된 것도 창작방법론의 전개가 실패했다고 보는 관점의 한 축을 차지한다.
    하지만 창작방법론의 기획 의도와 전개 과정에서 드러나는 양상을 살펴보면 창작방법론은 주체 정립에 실패한 논의가 아님을 알 수 있다. 김남천은 창작방법론 전개 이전부터 ‘관찰’(묘사)을 염두에 두고, 객관현실의 묘사와 작가적 실천의 변증법적 통일을 이뤄내기 위한 방법을 모색해 나간다. 먼저 마르크스주의에 기초한 사회주의 세계관을 유지한 채, 사회주의 리얼리즘을 조선의 현실에 맞게 변용하고자 했다. 이에 리얼리즘의 역사를 소급해 18~19세기 발자크, 고리끼 등이 펼친 리얼리즘을 바탕으로 주체 정립의 근거를 마련함과 동시에 이데올로기에 갇혀 있던 리얼리즘에 대한 인식의 지평을 넓히고자 했다. 또한 창작방법론을 단지 창작을 위한 방법론 마련으로만 활용한 것이 아니었다. 창작방법론 전개에 있어 비평과 창작의 병행이라는 형식 실험 안에서 김남천은 ‘비평’에 무게중심을 둔다. 그는 ‘비평’ 우위의 관점을 통해 작가의 창작과정을 파헤치며 주체 정립의 방법을 모색해 나간다. 이는 창작방법론이라는 기표를 통해 조선적 현실에 맞는 리얼리즘론을 정립하기 위한 방법론으로 활용되었다는 점에서 창작방법론의 수사적 성격을 엿볼 수 있다.
    이렇듯 비평을 우위에 둔 창작방법론 전개의 기저에는 ‘생활’ 반영의 문제가 자리한다. 카프 해산 이후 사회주의 이데올로기의 자리에 ‘생활’이 놓이게 되면서 작가의 세계관(주체)과 이를 반영한 객관세계는 ‘생활’의 문제로 수렴된다. 김남천에게 있어 ‘생활’의 반영이 곧 리얼리즘으로 치환될 수 있는 상황에서 ‘장르’에 대한 인식은 ‘체험’과 ‘관찰’을 매개하는 역할을 한다. 장르를 형성하는 형식은 장르의 외피만을 담당하는 것이 아니라 작가의 세계관 바탕으로 형성되는 것이었다. 시공간에 따라 유동하는 장르의 성격, 작가의 세계관이 창작방법으로 형상화된다는 로젠탈의 이론 등은 결과적으로 장르에 대한 인식이 ‘생활’의 인식과 다르지 않음을 보여준다. ‘체험’=‘관찰’의 관계를 증명해 나가는 과정을 통해 김남천의 리얼리즘론은 창작방법론이라는 기표를 수사적(修辭的)으로 활용하여 ‘조선적 리얼리즘’을 성취하고자 했던 응전(應戰)의 서사였음을 보여준다.

    영어초록

    This paper sheds new light on the meanings of Kim Nam-cheon’s creation methodology. Kim Nam-cheon’s study on creation methodology is considerable. Nevertheless, it has come down to the logic of conversion or the narration of failure. Here lies the viewpoint that the matter of the establishment of a subject claimed by the literary theory of accusation was converged to ‘observation’ (description) claimed by the literary theory of observation, and ended up failing in the establishment of a subject. In addition, it holds one axis of the viewpoint of regarding the development of creation methodology as a failure that creation corresponding to criticism slowed down at theory in the late colonial era.
    However, when the intention of the planning of creation methodology and its aspects in the developmental process were examined, it has been found out that the creation methodology is not the discussion that has failed in the establishment of a subject. Kim Nam-cheon sought for the way to achieve of an objective-reality description and writer's practical dialectic unification, keeping ‘observation’ (description) in view before development. He tried to transform socialist realism appropriately for the reality of Joseon while maintaining a socialist world view based on Marxism. Accordingly, he intended to broaden the understanding of realism which had been restricted by ideologies of finding simultaneously the grounds for the establishment of a subject based on the realism developed by Balzac, Gorky and others in the 18th and the 19th century. The creation methodology is also that it was not prepared just for the methodology of creation. Kim Nam-cheon highlighted the role of 'criticism' in a formal experiment combined of criticism and creation in the development of creation methodology. He found out to establish a subject with investigating writer's process of creation through an omniscient viewpoint. At this point the signifier of creation methodology ultimately has rhetorical characteristics in that making use of methodology to set up realism fitting for the reality of Joseon.
    Like this, the matter of ‘saenghwal’ reflections given priority to criticism is positioned the groundwork of creation methodology development. As ‘saenghwal’ was put in the place of a socialist ideology after dissolving KAPF, the writer's world view(subject) and the objective world reflecting this converged a matter of ‘saenghwal’. The recognition of 'genre' mediates 'experience' and 'observation' under the situations where ‘saenghwal’ reflections shifts into realism to him. The form that forms the genre is not a role of the crust of the genre but is formed from basing on writer’s world. The nature of the genre that flows according to time and space, Rosenthal's theory that the world view of the writer's is shaped by the creative method shows that the perception of genre is not different from the perception of 'saenghwal'. Through the process of proving the relationship between ‘Experience’=‘Observation’ the realism theory of Kim Nam-cheon shows that it was the signified of accepting a challenge that wanted to accomplish 'Joseon realism' by rhetorically using the signifier of creation methodolog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반교어문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4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