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가족 유물론, 돌봄 공동체 (Family Materialism, Caring Community)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2 최종저작일 2019.12
36P 미리보기
가족 유물론, 돌봄 공동체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연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인문과학 / 117권 / 119 ~ 154페이지
    · 저자명 : 김현

    초록

    이 글은 다음과 같은 내용을 논의하고 있다. 첫째, 엥겔스의 『가족, 사유재산 그리고 국가의 기원』에 대한 분석을 토대로 맑스와 엥겔스의 가족폐지론을 오늘날 사회의 주요 의제로 부상한 ‘가족 해체’ 담론과 관련지어 재조명하고, 가족 폐지론의 현재적 의의를 밝힌다. 둘째, 맑스와 엥겔스의 가족론에 대한 사회주의 페미니즘의 비판을 통해, ‘가족을 넘어선 가족의 발명’을 촉구하는 사회주의 페미니즘의 가족담론을 소개한다. 셋째, 최근 페미니즘 진영에서 활발하게 논의되고 있는 돌봄 노동의 사회화 및 돌봄 공동체를 전통적 가족 모델을 넘어서기 위한 실천적 방안으로 지목함과 동시에 이를 다양한 가족 모델의 공존을 위한 현실적 대안 가운데 하나로 제안하는 것이다. 이상의 논의과정에서 이 글은 가족을 특정한 사회경제적 조건과의 관계 속에서 지속적으로 변화되어 온 사회적 산물로 이해한다. 때문에 가족에 대한 적확한 분석과 이해는 가족을 둘러싼 사회경제적 조건과의 관련 속에서만 적절하게 담보될 수 있다는 관점을 채택한다. ‘가족에 대한 유물론적 이해’라고 명명할 수 있는 이와 같은 관점을 전제로 이 글은 가족해체 또는 가족위기라는 사회적 징후의 원인을 파편화된 개인들의 욕망에 둠으로써 전통적 가족가치로의 회귀를 주장하는 일련의 보수적 흐름, 또는 가족이 놓여 있는 객관적 여건을 무시한 채, 가족 구성원 간의 정서적 유대의 회복을 주장하는 일련의 관념적 흐름과도 단절한다. 오히려 가족해체 또는 가족위기의 근원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오늘날 가족이 처해 있는 제반 사회 경제적인 구조적 불평등에 주목해야 하며, 이 구조적 불평등이 가족 구성원들에게 가하는 다양한 압력과 억압적 양상들을 이해해야 한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사랑과 친밀성의 정서적 유대의 장소라는 가족에 대한 통념은 가족기능의 사회화를 통해 현실화될 수 있으며, 가족기능의 사회화란 궁극적으로 돌봄 노동의 사회화 및 돌봄 공동체의 확산과 그 궤를 같이 한다는 것이 이 글의 핵심 테제다.

    영어초록

    This paper discusses the following. First, based on analysis of Engels’ ‘Origins of the Family, Private Property and the State’, the family abolitionism of Marx and Engels is reinvestigated in relation to the discourse on ‘family dissolution’ that has become a major theme in today’s society, while revealing the current significance of the family abolitionism. Second, through criticism on the socialist feminism on the ideas of family, it introduces the discourse on family of socialist feminism that urges for ‘invention of the family that goes beyond families’. Third, the socialization of caring labor and caring communities that are being actively discussed in the feminism sector was pointed out as a practical method to overcome the traditional family model, while simultaneously proposing it as a realistic alternative for the coexistence of family models. From such discussions, this paper understands the family as a social outcome that has continuously changed in the relationship within specific socioeconomic conditions. Therefore, it adopts the perspective that accurate analysis and understanding on family can be appropriately guaranteed only within the relationship with the socioeconomic conditions. Based on such perspective that can be called the ‘materialistic understanding of the family’, this paper positions the cause of social symptoms of family abolition and family crisis in the fragmented individual desires to break away from the series of conservative trends that claim to return to traditional family values, or the series of conceptual flows that claim for the recovery of emotional ties among family members while ignoring the objective conditions that the family is placed in. In fact, in order to understand the source of family abolition and family crisis,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the socioeconomic structural inequalities that today’s families are faced with, and because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at such structural inequalities have various pressures and suppressive modes that are applied on family members. The key thesis of this paper is that the common idea on families that it is a place of emotional ties of love and affection that can be realized through the socialization of family functions, and that the socialization of family functions is ultimately on the same orbit of socialization of caring labor and the spread of caring communiti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인문과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1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