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힐링(healing)과 동양 수양론 (‘Healing’ and Oriental Self-Cultivation)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2 최종저작일 2013.03
20P 미리보기
힐링(healing)과 동양 수양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인문과학연구 / 36호 / 691 ~ 710페이지
    · 저자명 : 이연도

    초록

    최근 우리 사회에서 ‘힐링(healing)’에 대한 관심은 그 어느 때보다도 높다. 이는 한국 사회가 그만큼 심각한 정신적 긴장과 고통에 시달리고 있다는 반증이기도 하다. ‘힐링’에 대한 인문학적 관심이 높아지면서, 그 부작용 또한 심각하게 발생하고 있다. 학계의 이론적 논의가 충분히 진행되지 않은 상태에서 시작한 ‘힐링’ 열풍은, 인문학을 다른 사이비 치료와 비슷한 모습으로 만들고 있다. 철학이나 문학을 내세운 각종 치료들은 모처럼 대두된 인문학적 관심을 희화화(戱畵化)시킨다. 학문의 현실 참여에 대한 무관심이 초래한 인문학의 위기도 문제지만, 근본적 성찰 없이 ‘힐링’ 바람에 편승한 인문학 역시 반성해야 할 대상이다. 이 글은 ‘힐링’의 시대, 동양철학이 어떤 의미를 가지는가를 검토한 것이다.
    동양철학은 유학이나, 불교, 그리고 도가 철학 모두 인간을 주제로 삼고 있으며, 수양론이 중심인 만큼, 우리 사회의 정신적 위기를 치유하는 실마리를 제공할 수 있으리란 기대가 있다. 동양 수양론은 철학치료 영역 전반에 걸쳐 이론적 관계를 맺고 있으며, 구체적인 치료모형 개발에 있어서도 의미 있는 이론을 제공하고 있다. 특히 유학은 우리 전통문화의 주류 이론으로서, 한국인의 정서와 의식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도덕심’을 기반으로 인간의 존재 의미와 그 실천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주축으로 한 수양론이 치유모델 개발에 의미를 갖는 이유이다. 오늘날 우리 사회에서 ‘마음의 병’으로 인해 발생하는 여러 문제점들은 자신의 삶에 대한 의미 상실과 자기 조절 능력 부족에 그 원인이 있다. 동양의 의학 전통은 자신 안에 있는 치유 본능을 일깨우고, 질병에 대한 대증적 치료보다 인간과 자연에 대한 통합적 이해를 전면에 둔다. 이런 측면에서, 오늘날 우리 사회의 대안치료 개발에 의미있는 시사점을 주고 있다. 이 글에서 제시한 ‘수양치료 모형’은 동양 수양론을 기반으로, 우리 사회의 ‘마음의 병’을 치유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한 것이다.

    영어초록

    Recently in our society, the public interest in 'healing' is higher than ever before. It could be seen as a sign that Korean society is suffering from serious mental tension and pain to that extent. As the humanistic interest in 'healing' gets higher, its harmful side effects becomes even severer. The fever of 'healing', which was started without sufficient theoretical discussions in the academic circle, is making humanities into something like pseudo-therapy. Various kinds of treatments putting signs of philosophy and literature is making the long-awaited humanistic interest ridiculous. While the crisis of humanities caused from the indifference to academic engagement is a problem, humanities riding the 'healing' wave without fundamental introspection should be a target of reflection. This study will examine what the meaning of Oriental Philosophy is in the age of 'healing'.
    The Oriental Philosophies including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have investigated the human as the main subject, and the Oriental self-cultivation has been a core concern. Therefore, they are expected to supply with some clues which can cure the mental crisis of our society. The Oriental self-cultivation has theoretical relations with the whole fields of philosophical therapy, and provides meaningful theories for the development of the specific treatment models. Especially, Confucianism, the main theory of the our traditional culture, has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Koreans' emotions and consciousness. That is the reason the Oriental self-cultivation, which has the basis on morality and mainly search the meaning of the human existence and its ways to practice, is so meaningful in the development of the specific treatment models. The main causes of the any problems in our modern society, which originated from the 'disease of mind', are the loss of the meaning of the life and the scarcity of the autoregulation ability. Oriental medical tradition reminds people of the healing instinct in themselves, and gives priority to the synthetic understanding of both human and nature over the symptomatic treatment of diseases. This aspect offers an important clue to the development of the alternative therapy in our present society. 'The model of self-cultivation' in this study, is based on the theory of Oriental self-cultivation, and aims at searching for the ways to cure the 'disease of mind' of our socie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인문과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