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송완순의 아동문학론 연구 (A Study on Children’s Literary Theory of Song Wansoon)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4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2 최종저작일 2016.06
47P 미리보기
송완순의 아동문학론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건국대학교 GLOCAL(글로컬)캠퍼스 동화와번역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동화와 번역 / 31호 / 35 ~ 81페이지
    · 저자명 : 류덕제

    초록

    송완순은 일제강점기와 해방기를 통틀어 지속적으로 작품과 비평 활동을 전개한 아동문학가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그에 대한 이렇다 할 연구가 없고 따라서 알려진 것도 많지 않다. 이 논문에서는 송완순과 그의 아동문학론을 살펴보기 위해 작가연보와 작품연보를 작성하였다. 작품을 확정하기 위해 여러 개의 필명을 확인하는 작업이 필요했다.
    송완순은 1920년대 중후반부터 해방 후 월북할 때까지 일관되게 계급문학적 입장을 유지하였다.
    일제강점기 송완순의 비평은 논쟁을 통한 아동문학 이론 정립, 소년운동과 프롤레타리아 아동문학론, 아동의 연령 논쟁, 동요와 동시 구분 논쟁 등으로 구분해 볼 수 있다. 아동문학의 형성기라 할 시기임에도 송완순은 당대 아동문학의 주요 논점을 파악하는 능력과 정확한 문장력을 바탕으로 한 논지 전개 등으로 아동문학 비평의 수준을 일정 부분 끌어올렸다는 평가를 받을 만했다. 일본 아동문학가들의 주장을 일방적으로 수용하기에 급급했던 당대 문단 수준에서 드물게 비판적으로 수용하고자 한 것도 이러한 평가를 하도록 하였다.
    해방기 송완순의 아동문학론은 ‘문건’과 ‘동맹’의 노선을 따랐다. 처음 ‘문맹’에 소속되었으나 단체의 분립과 아동문화 운동의 역량을 분산하는 것이 옳지 않다며 ‘문건’과 ‘동맹’의 노선을 따른 것이었다. 알다시피 ‘문건’과 ‘문맹’으로 갈라진 좌익 문학 단체가 ‘문건’ 중심으로 통합된 것은 조선공산당의 명령에 따른 것이었고 이념적 배경은 ‘8월 테제’에 있었다.
    해방기 아동문학이 해야 할 일은 새로운 나라의 건설과 맞물려 있었기 때문에 정치 이념과 분리되지 않는 것은 당연한 결과라 할 것이다. 송완순의 아동문학론도 정치이념과 같이 봉건 유제와 일제 잔재 청산 및 진보적 민주주의 노선에 초점을 맞추고 있었다. 이를 위해 일제강점기 아동문학을 반성적으로 돌아보고 향후의 방향을 모색하는데 주력했다. 일제강점기 아동문학을 사적으로 검토하면서 크게 천사적 아동문학과 진보적(계급적) 아동문학으로 나누었다. 천사적 아동문학은 방정환류의 감상적 천사주의와 윤석중류의 낙천적 천사주의로 다시 세분하였다. 현실을 아예 외면한 낙천적 천사주의가 더 나쁘다고 평가하였다.
    남은 문제는 아동문학 작품과 비평을 연결시켜 종합적인 송완순 연구를 하는 것이다. 덧붙여 일반 문학 활동도 적지 않은데 이것에 대한 검토도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대중예술, 농민예술, KAPF에 관한 글들을 면밀하게 분석하면 아동문학 연구에 도움이 될 부분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

    영어초록

    Song Wansoon was an author of children’s literature through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liberation period. He wrote lots of children’s songs, poems and children’s literary theories about theoretical criticism and practical criticism.
    Nevertheless, he have not been known till now as a writer of children’s literature. Thus, this paper intends to examine his literary theories of children’s literature. Chronology of his life and chronological listing of the works had been done in advance. Since he had used many pen names, verifying identifications of these various pen names was necessary. Most of these identification had been based on definite evidence, but some had to be relied on rational deduction.
    Song Wansoon consistently maintained his pursuit on proletarian literature from mid 1920s to until he defected to North Korea.
    This paper classifies literary criticisms of Song Wansoon in Japanese colonial period into following labels: establishment of theory of children’s literature by argument, Youth Movement and proletariat theory of children’s literature, argument on age of children, and dispute of classification of children’s song and children’s poem.
    Song Wansoon followed line of ‘Joseon munhak geonseol bonbu’(hereafter, ‘mungeon’) and ‘Joseon munhakga dongmaeng’ (hereafter, ‘dongmaeng’) in period of liberation. He was first engaged in ‘Joseon proletariat munhak dongmaeng’(hereafter, ‘munmaeng’), but moved to follow line of ‘mungeon’ and ‘dongmaeng’ after he decided himself against separation of organization. In this period, his ideological background is based on August These(Contemporary Situation and Our Duty) of Park Heonyeong.
    Due to the fact that goal of children’s literature in period of liberation is closely linked with establishment of new nation, it is natural for contemporary children’s literature to be not separated with political ideology. Song Wansoon’s literary theory on children’s literature also focuses on liquidation of feudality and vestiges of Japanese imperialism as in accordance with his political belief.
    When historically reviewing children’s literature in Japanese colonial era, he had broadly divided literatures in two classification: angelic children’s literature, and progressive(class- conscious) children’s literature. The classification then subdivides again as ‘sentimental angelicism’ which regards children as sentimental angels like those of Bang Jeonghwan, and as ‘optimistic angelicism’ which regards children as optimistic angels like those of Yoon Seokjoong. Song Wansoon estimates ‘optimistic angelicism’ to be worse.
    The remaining issue is to study Song Wansoon synthetically by linking work of children’s literature and its criticism. General literary activities are not inconsiderable, thus examination on these works is thought to be of necessity. It is expected to be of help in study on children’s literature, if his writings on the popular arts, the peasant arts, and on KAPF is closely examin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화와 번역”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4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4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