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중봉(重峯) 조헌(趙憲)의 경세론(經世論) — 만언소(萬言疏)를 중심으로 — (Jo Hoen(趙憲)’s political thought for the people -Focusing on the Maneonso)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2 최종저작일 2019.08
26P 미리보기
중봉(重峯) 조헌(趙憲)의 경세론(經世論) — 만언소(萬言疏)를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철학사연구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철학논집 / 62호 / 155 ~ 180페이지
    · 저자명 : 김문준

    초록

    중봉(重峯) 조헌(趙憲: 1544-1592)의 만언소는 조선 선비들의 직언(直言) 정신과 위민(爲民) 정신, 그리고 율곡학파의 시무(時務) 상소를 통한 개혁 정신의 전통을 계승했다. 조헌의 만언소 가운데 시폐(時弊)를 가장 통렬하게 지적한 상소는 <변사무겸론학정소>와 <논시폐소>이다. 이에 조헌의 상소 정신과 조선 선비들의 학정일치(學政一致) 정신이 잘 드러나 있다. <변사무겸론학정소>는 학정(學政) 개혁과 인재 양성 대책을 제시하였고, <논시폐소>는 시폐(時弊) 개혁과 위민(爲民) 정신을 드러내었다. <변사무겸론학정소〉은 선인을 선양하고 당시대의 인물을 비판하는 포폄을 기술하였고, 당시 부패한 학정(學政)의 폐단을 개혁할 것을 주장했다. 그 대책으로 향교에서 교도(敎導)하는 인물의 확보, 학생을 격려하는 방책, 과거제 운영의 폐단을 없애고 엄격하게 관리하는 대책, 학생들의 육성을 돕는 방법, 교학에 보익(輔翼)하도록 하는 세부 방책 등을 건의했다. 조헌은 <논시폐소>에서 당시에 가혹하게 시행되고 있는 사민(徙民) 정책 등에 대한 대책을 진언했다. 그는 당시 지방관들에게 만연된 조선 사회의 고질인 뇌물과 가혹한 수탈을 고발했다. 조헌이 이 상소에서 백성의 고통과 연관하여 지적한 첫째 문제는 북쪽으로 이주시킨 사민(徙民)의 폐해이며, 둘째 문제는 남쪽 백성들의 곤궁함이다. 남쪽 백성들의 곤궁함은 공부(貢賦)의 가혹함, 역역(力役)의 번다함, 형옥(刑獄)의 번거롭고 원통함 등이며, 이 세 가지를 개혁할 대책을 제시했다. 또한, 조헌은 비도덕적인 당시의 중앙관리와 지방관들을 규탄하고 왕실의 절약을 요구했다. 이러한 조헌의 만언소는 이이의 개혁사상을 계승한 것이며, 그 후 이이와 조헌을 이어 송시열, 이유태 등으로 이어지는 율곡학파의 만언소 전통은 율곡학파의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영어초록

    Jo Hoen(趙憲; 1544-1592)’s Maneonso(萬言疏; an essay to the king in 10,000 words) contains the Joseon scholars' straight-talking spirit, the heart for the people, and the tradition of reform on state affairs at the time. Among Cho's Maneonso, the most acutely pointed out period absurdities are <Hakjeong-so>(學政疎; an essay to the king about the education policy) and <Nonsipe-so>(論時弊疏; an essay to the king about the absurdity of the times). This two Maneonso show the spirit of Cho's appeal to the king. <Hakjeong-so> presented measures for school policy reform and talent training, and <Nonsipe-so> revealed the spirit for the people and the absurd reform of the times. He argued that the absurdity of education policy at the time should be reformed. The measures included securing human resources taught in schools, encouraging students, strictly managing the civil service recruitment system operations, ways to help students development, and detailed measures to teach students. In <Nonsipe-so> he described measures against the then harshly enforced people's immigration policy. His statement revealed bribery and harsh extortion, a chronic disease of Joseon society at the time. The first problem, he pointed out in relation to the suffering of the people is the evils of the policy toward the people who have moved to the north. The second problem is the plight of the Southern Korean people. He argued that the plight of the people was due to the severity of taxes, the large number of military service and the absurdity of punishment, and suggested measures to cope with it. Also, he attacked unscrupulous then-high ranking officials and called for royal savings. Cho Hun succeeded the reform idea of Lee Yi, and the Maneonso of Yulgok School, which was followed by Lee Yi and Cho Heon, followed by Song Si-yeol and Lee Yoo-tae, is a characteristic of Yulgok School.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철학논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7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1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