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거대한 분절인가, 거대한 연결인가? ― 신유물론의 정치적 존재론 (A Great Fragmentation, or a Great Connection? : The Political Ontology of New Materialism)

3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2 최종저작일 2024.02
39P 미리보기
거대한 분절인가, 거대한 연결인가? ― 신유물론의 정치적 존재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인문학연구 / 67호 / 75 ~ 113페이지
    · 저자명 : 최진석

    초록

    최근 인문학의 가장 중요한 주제 중 하나는 신유물론이라는 새로운 사상적 조류이다. 근대의 유물론을 벗어나 물질에 대한 새로운 개념과 입장을 주장하는 이사상은 철학 뿐만 아니라 정치와 사회, 예술과 과학, 문화 등 다방면에서 새로운패러다임을 제시한다. 신유물론의 대표자 중 하나로 거명되는 하먼은 물질을 포착불가능한 객체로 정의하고, 인간의 인식으로는 파악할 수 없다고 주장한다. ‘거대한 분절’이라 부를 만한 이런 입장에 따르면, 우주 전체는 종합될 수 없는 낱낱의물질들로 이루어져 있다. 그와 반대로 물질을 ‘생성’의 관점에서 보려는 시도도 있다. 베넷과 버라드는 ‘거대한 연결’을 통해 물질의 연속성과 변화를 인식하며, 현실과의 관련 속에서 유물론을 정의한다. ‘분절’과 ‘연결’로 집약되는 신유물론의 두가지 이론적 태도는 물질을 인간중심주의로부터 분리시키며, 물질 자체의 존재론적 특성을 보는 점에서 공통적이다. 하지만 물질이 지금-여기의 현실과 어떻게 연관되며, 그 사건의 의미는 무엇인지를 둘러싸고 이견을 보인다. ‘물질은 어떻게 작동하는가?’와 관계된 이 논쟁은 결국 신유물론의 존재론이 정치적 해석과 결부되어 있음을 강력히 시사한다. 이 글의 목적은 신유물론의 주요한 패러다임을 ‘분절’과 ‘연결’의 두 방향에서 검토하고, 이로부터 신유물론의 존재론이 정치적 차원을노정하고 있음을 밝히려는 시도이다.

    영어초록

    One of the most important topics in the humanities in recent years is a new ideological current called “New Materialism.” This school of thought, which advocates new concepts and positions on matter outside of Modern Materialism, is presenting a new paradigm not only in philosophy, but also in politics and sociology, art and science. Harman, one of the most prominent representatives of New Materialism, defines matter as an object that cannot be grasped and argues that it is a “Being” that cannot be understood by human perception. According to him, the entire universe is made up of random substances that cannot be synthesized into a whole. In contrast, there are attempts to view matter in terms of “Becoming.” Bennett and Barard recognize the continuity and change of matter through the “Great connection” and define materialism in relation to reality. The two theoretical attitudes of New Materialism have in common the separation of matter from Modern Anthropocentrism and a view of matter’s own existential qualities. However, they disagree over how matter relates to reality in the here and now, and what the meaning of events is. This debate over “how does matter work?” strongly suggests that the ontology of New Materialism is ultimately tied to its political interpretation.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main paradigms of New Materialism from two directions: Fragmentation and Connection, in an attempt to reveal the political dimension of New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인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22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4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