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정암 조광조의 공부론 (A Study on Jung-am Cho Kwang-Jo's View on Self-cultivation)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2 최종저작일 2017.11
28P 미리보기
정암 조광조의 공부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철학사연구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철학논집 / 55호 / 69 ~ 96페이지
    · 저자명 : 강보승

    초록

    조선 유학이 독자적 사상 체계를 형성하고 주자학을 심화해가는 사상사의 흐름 한가운데서 정암은 실천성을 담보하여 도학파의 역사의식을 계승하고자 하였다. 이런 입장에서 정암은 ‘어떻게 실천성을 확보할 수 있는가’ 하는 문제의식을 가졌으며, 주자학의 실천성을 확보하기 위해 ‘도덕 주체 확립’을 강조하였다.
    정암은 공부의 가능성과 목적, 그리고 공부의 주체를 ‘리’에 입각하여 밝히고, 실제 공부의 실천은 ‘기’에 중점을 두는 방법을 통해 공부의 지향점과 실행 방안을 구조화함으로써 내성외왕(內聖外王)의 목표에 다가서고자 하였다. 공부의 실제에 있어 기(氣)에 주목하는 정암은 기질변화(氣質變化)의 맥락과 존천리알인욕(存天理遏人欲)의 맥락에서 각각 성(誠)과 경(敬)의 공부방법론을 제시하였다. 이어 성(誠)의 실천성을 경(敬)으로 더 구체화하면서, 마음을 지키는 방법으로 경 공부의 중요성을 제시하였다. 이어서 정암은 성(誠) 공부와 경 공부를 구체적으로 실천하는 방안들을 별도로 제시하는데, 물망물조장(勿忘勿助長), 신독(愼獨), 심강(心剛) 공부의 세 가지를 특히 강조하고 있다. 공부의 실제에 있어서 정암은 『소학』과 『근사록』을 중시하였고 특히 일용동정(日用動靜) 간에 『소학』에서 제시하는 심신의 검속을 철저히 실천하였다. 또한 정암 공부의 실제에서는 정좌(靜坐)가 두드러진다.
    지치(至治)로 대표되는 경세론이 정암 사상의 핵심이라고 여기기 쉽다. 그러나 정암을 정암이도록 하는 것은 이론이나 사상이 아니다. 끊임없는 성찰과 심신의 수양을 통해 순선한 본성을 자각하고 함양하고자 했던 노력, 그것이 정암 사상의 중핵(中核)이며 정암 지치론(至治論)의 근간이다. 조선 도학파의 역사의식과 실천정신이 여실히 투영된 정암 공부론의 이 같은 정신은 이후 조선 유학을 지탱하는 기둥이 되었으므로, 정암은 결코 실패하지 않았다.

    영어초록

    Jung-am had critical mind, ‘how can we secure the practice of Neo-Confucianism?’and put emphasis on ‘establishment of moral subject’to secure the practice of Neo-Confucianism. He paid attention to Li[理] for goal setting in self-discipline as well as Ki[氣] in actual self-discipline.
    When it comes to actual self-discipline, he focused on Ki and suggested self-discipline of each Sincerity[誠] and Refrain and reverence[敬] within the context of temperament change and Jon-chen-li-al-in-yok.
    Giving shape into practice of Sincerity as Refrain and reverence, he proposed the importance of self-discipline of Refrain and reverence as a way to protect the peace of mind. Moreover, he suggested additional ways to put Sincerity and Refrain and reverence into practice concretely; especially, he put emphasis on Mul-mang-mul-jo-jang, Shin-dok and Yong-sim-gang.
    In terms of actual self-discipline, he put stress on Sohak and Geunsalok and especially, set his body and mind right in conformity with the teaching of Sohak. Also, his actual self-discipline features sitting in meditation remarkably.
    Many researchers evaluate him as an immature, radical and failed politician but he exercised strict self-discipline and used better discretion than anyone else. Reflecting on the meaning of ‘little power of study’as Toegye said, it implies that his self-discipline was not completed but his group of like-minded persons were not grown enough at the same time.
    The meaning of Jung-am’s studies is not found in politics. The endless self-reflection and practice of right behavior to realize the human nature and expand it; that is the best part of his self-cultivation theory as well as basis of his political theory. His self-cultivation theory, as the reflection of historical consciousness and practical spirit in Confucianism in Joseon Dynasty, fully supported the Confucianism in Joseon Dynasty and thus he never fail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철학논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0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3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