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경세론에서 본 실학 (Silhak(實學) and King Jeongjo(正祖) as seen in the national governing theory)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4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2 최종저작일 2013.12
44P 미리보기
경세론에서 본 실학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실학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실학연구 / 26호 / 169 ~ 212페이지
    · 저자명 : 김성윤

    초록

    이 논문은 조선후기 실학의 경세론을 정치의 개념과 방법, 군주론, 왕정론, 윤리론으로 나누어 그 추이를 정리한 것이다. 이 글에서 필자가 새롭게 제기한 주요 논점은 다음의 몇 가지로 압축된다.
    첫째, 조선후기의 실학은 서구에 비견하자면 르네상스 및 종교개혁에서 절대왕정에 이르는 시기의 사회구성과 유사한 조선의 상황을 배경으로 나타난 유교적 인문주의의 색채를 띤 근대지향적 정치․사상운동이었다.
    둘째, 실학 경세론의 발전 과정을 그 내용과 성격, 그리고 그것이 주로 영향을 받거나 준거(準據)로 삼은 경전이나 학술사조를 중심으로 대별하면 대체로 ① 『맹자』의 평균주의(平均主義)와 선부후교론(先富後敎論)에 주목한 단계(이이), ② 『주례』를 국가체제 재건을 위한 이론적 준거로 삼은 단계(유형원․이현일), ③ 제자백가나 탈성리학적인 견해들을 실질적으로 참용(參用)하면서 주자학의 경세론을 비판하고 새로운 정치이론을 구축해가는 단계(성호․강화학파), ④ 서구 과학이나 철학 및 청대 고증학 등을 활용하는 한편 정치적 적용을 거치면서 새로운 정치이론을 심화하는 단계(후기실학자)로 나눌 수 있다.
    셋째, 실학의 연원은 공리적 사고를 기반으로 안민(安民)과 부국강병을 지향하던 두 갈래의 물길, 즉 정전제(井田制) 복구를 중심으로 하는 평균주의(平均主義) 사고와 북인계열의 국가중심의 정치적 사고에서 찾을 수 있다. 이 두 갈래가 한백겸(韓百謙) 등의 평양 기전(箕田) 연구를 기폭제로 하여 하나로 합쳐지면서 실학은 주자학과 구분되는 조선 나름의 개성있는 경세학으로 등장했다.
    넷째, 경세론의 맥락에서 볼 때 실학의 가장 큰 특색이자 장점은 평균주의와 국가주의의 강고한 결합에 있다. 실학이 갖는 평균주의 전통은 국가주의가 갖는 전제성(專制性)을 현격히 완화킴으로써 민본적(民本的) 성향이 강한 조선의 왕정이 전제주의로 흐르지 않고 차후 국민국가로 나아갈 수 있게 할 동력으로 잠재해 있었다. 이것은 조선의 근대화가 서구와 다른 길을 걸을 수 있는 가능성을 암시하는 것으로, 국가 주도의 근대화를 거친 현재의 상황에 대해서도 새로운 성찰을 부여한다는 점에서 실학 연구의 시의성을 높일 수 있는 요소가 될 수 있다.
    다섯째, 실학은 성리학이 주장하는 도덕정치론의 한계를 비판하면서 민생 복리를 실질적으로 증진시키는 것을 정치로 이해하였다. 성리학의 도덕적 보편주의에 대비되는 이러한 실학의 현실주의․공리주의 정치 개념은 먼저 ‘선부후교론’(先富後敎論)의 형식으로 제기되었고, 이후 정치의 개념에 대한 주희의 명제를 비판하면서 정치와 도덕을 분리해 나갔다.
    여섯째, 실학은 정치의 방법에서도 예교(禮敎)를 통한 도덕적 감화를 우선하는 성리학의 입장을 비판하고, 법과 제도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도기일체론’(道器一體論)을 표방한 것을 대표적으로 들 수 있다. 왕도와 패도를 절충하려는 이러한 실학의 정치방법론은 왕패병용(王覇竝用)․왕패일도론(王覇一途論)․관맹상제론(寬猛相濟論)․교법일치(敎法一致)․교법상보(敎法相補)의 형식을 통해 확산되었다.
    일곱째, 조선후기에 통치체제에 대한 새로운 모색 과정에서 군주권은 그 핵심적 요소로 부각되었고, 존군론(尊君論)은 실학의 공리적 정치관이 발달함에 따라 강화되어 갔다. 존왕론에 의해 새롭게 조명된 ‘신(新)군주’의 상은 군사(君師)라는 형태로 먼저 나타났으며, 곧이어 군주가 도학의 정통을 계승했다는 ‘군주도통론’(君主道統論)이 출현하였다. 이러한 존군의 논리는 이후 군주를 태극 및 상제(上帝)에 비유하는 과정을 거치면서 절대군주론으로 발전했다.
    여덟째, 실학의 왕정론은 다원적 권력을 중앙의 국왕에게 일원화하고 정치적 정통성 또한 국왕이 독점함으로써 이른바 중개세력을 해소하고 국왕의 지배에 복종하는 동질적이고 균등한 국민을 만들어 낼 것을 지향했다는 점에서 국민국가에 선행하는 절대주의 왕정론의 성격을 띠고 있었다.
    아홉째, 신분제를 부정했던 실학은 사회적 불평등 질서를 옹호하던 오륜의 윤리에 대신하여 『맹자』에 나타난 삼달존(三達尊)을 대안으로 제시했으나, 곧 이어 모든 신민에게 적용되는 통일된 평등 윤리로서 효제(孝悌)를 제시했다. 효제 윤리는 윤휴 등에 의해 이미 제시되었으나 이것을 정치차원에까지 확대하여 크게 선양했던 인물은 영조와 정조였다. 정조의 명덕본심설(明德本心說)을 계승한 정약용은 명덕이 효․제․자(孝悌慈)임을 논증함으로써 그 인간론적 근거를 완성했다. 이 때의 효제는 신분적․계급적 지배의 규율로서가 아니라 평등한 개인 상호간에 호혜성 수수의 관계로 재조명된 것이므로 그것이 갖는 사회실천적 의미는 이전과 크게 달랐다.

    영어초록

    The main points of this thesis can be centered on several points as follows.
    First, Silhak of the post-Joseon Dynasty, if compare with Western history, was the modern-oriented political and ideological movement float a color of Confucianistic humanism. It came onto the scene in the same situation with the time of the Renaissance and absolutism.
    Second, Silhak's progress can be separated as four steps: pay attention to equilibriumism of Mengtzu, make Chou li to standard referred for reconstruction of national structure, criticize orthodox Neo-Confucianism and construct new political theory, deepen new political theory with application of western science and bibliographical study of Chinese classics.
    Third, Silhak's origin can be finded out two waterway pointes to wealth and military strength of a nation with utilitarian thoughts : equilibriumism and nationalism. These two waterway put together, Silhak came on stage as the individualistic governing theory.
    Fourth, The most important distinction and merit of Silhak shall be the steady union between equilibriumism and nationalism. The driving force alive in Silhak's tradition of equilibriumism behind Korean absolutism not let run away into despotism and will develop to the nation-state later.
    Fifth, Silhak criticized the bounds of Sung Confucianism's Moral politics, asserted that politics is the seeking to increase the populace's wealth. These new political notions evolved the 'separation of politics and morality'.
    Sixth, In reference to the method of politics, Silhak criticized Confucianism's political theory and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law and institutions.
    Seventh, The insistence of respect monarch strengthened with Silhak's utilitarian thoughts. These insistence of respect monarch took an absolute sovereignty theory.
    Eighth, Silhak's royal regime theory had gradually taken on a character of the absolute monarchy theory. King Youngjo(英祖) and Jeongjo(正祖) presented Hyoje(孝悌) as the moral foundation for the absolute monarchy.
    Ninth, In the beginning Silhak presented Maengja's Samdaljon(三達尊) instead of Oryun, soon afterwards presented Hyoje(孝悌) as the unified equality ethics. Who enhanced Hyoje(孝悌) ethics was King Youngjo(英祖) and Jeongjo(正祖). The Social practice meanning of Hyoje ethics was different from former times because it was recounted thing not the social standing domination discipline as the mutual benefits relationship between equal person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실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0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