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부정적 인간학으로서 유물론 : 벤야민과 아도르노의 유물론 논쟁을 중심으로 (Materialism as Negative Anthropology: Focusing on the Debate between W. Benjamin and Th. W. Adorno)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2 최종저작일 2017.03
27P 미리보기
부정적 인간학으로서 유물론 : 벤야민과 아도르노의 유물론 논쟁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범한철학회
    · 수록지 정보 : 범한철학 / 84권 / 1호 / 319 ~ 345페이지
    · 저자명 : 류도향

    초록

    이 논문은 벤야민과 아도르노의 1930년대 유물론 논쟁을 내재적 비판의 관점에서 전체적으로 조망하면서, 21세기 자본주의 사회에서 아도르노의 유물론이 지닌 현재성을 규명하는 것이다. 아도르노가 보기에 벤야민이 제시한 인간학적 유물론은 인간과 자연, 인간과 인간이 지배와 폭력 없이 공존할 수 있는 새로운 사회의 가능성을 담지하지만, 사회적 총체성과의 직접적인 대면을 회피함으로써 낭만적 추상으로 전락할 위험을 안고 있다. 아도르노의 유물론은 이러한 위험을 경계하면서 인간학적 유물론을 실현할 수 있는 가능조건을 탐색한 결과다. 필자는 아도르노가 벤야민에게 제기한 내재적 비판을 크게 4가지 테제로 정리할 것이다. 첫째, 인간학적 유물론이 “범속한 각성”(profane Erleuchtung)의 가능조건으로 본 “집단신체”(Kollektivleib)는 신체를 사물화시키는 문화산업 메커니즘에 대한 철저한 비판 없이는 소박한 낙관적 입장에 머무른다.(2절) 둘째, 인간학적 유물론에서 집단무의식의 회복은 개별주체성 및 객체성과의 짜임관계를 이루지 않고서는 현실화될 수 없다.(3절) 셋째, 인간학적 유물론의 고유한 사유 모델로서 “사유이미지”(Denkbilder)는 지배적 현실에서 소외된 계기들 속에 은밀하게 작동하고 있는 사회 구조법칙들을 해체하면서 동시에 그 계기들을 다시 새롭게 구성하는 활동, 즉 “해석”(Deutung) 없이는 설득력을 지닐 수 없다.(4절) 마지막으로 필자는 자본주의 사회의 부정적 총체성에 맞서 그것의 구조 법칙을 모방하면서 해체하는 비판적 동력을 견지하는 아도르노의 유물론을 ‘부정적 인간학(negative Anthropologie)으로서 유물론’이라고 특징짓는다. 부정적 인간학으로서 유물론은 인간을 한낱 부품으로 전락시키는 사회의 총체적 경향 속에서 인간의 본질에 대한 어떠한 긍정적 가정도 하지 않음으로써, 아직 존재하지 않는 인간존엄적 사회의 가능성을 지시한다.(5절)

    영어초록

    The aim of this paper is to clarify characteristics and actuality of Adorno’s philosophy,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of the debate of materialism between W. Benjamin and Th. W. Adorno in the 1930s. Adorno’s materialism was concretely shaped in the process of accepting Benjamin’s Anthropological Materialism critically. Benjamin’s Anthropological Materialism is justified in that it attempts to overcome the idealistic premise, which inherent in existing materialism. But it runs the risk of falling into romantic abstraction by avoiding direct confrontation with social totality. First, "Leibraum" as a place of "profane erleuchtung" claimed by anthropological materialism remains a simple optimistic position without thorough criticism of the mechanism of cultural industry. Second, the restoration of the collective unconsciousness in an anthropological materialism is impossible without establishing a Constellation between individual subjectivity and object performance. Third, an anthropological materialism can not have persuasive power without disassembling the laws of social structure which are operating in secret in the dominant reality, and simultaneously reconstructing the new phenomena, that is, interpreting work. Finally, I will argue that the inherent critique of anthropological materialism develop into Adorno's materialism, that is materialism as Negative Anthropologie, which maintains a critical power to intimate and dismantle the structural laws of the negative totality of capitalist socie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범한철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2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