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진화론과 사건적 존재론: 화이트헤드의 다중위치적 존재론의 관점으로 조명하는 진화이론들의 포스트휴매니즘적 함의 (Theory of Evolution and the Ontology of Event: Post-Humanist Implications of Evolutionary Theories from the Perspective of A.N. Whitehead’s Multi-location Ontology)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2 최종저작일 2014.06
35P 미리보기
진화론과 사건적 존재론: 화이트헤드의 다중위치적 존재론의 관점으로 조명하는 진화이론들의 포스트휴매니즘적 함의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화이트헤드학회
    · 수록지 정보 : 화이트헤드 연구 / 28호 / 67 ~ 101페이지
    · 저자명 : 박일준

    초록

    본고는 화이트헤드의 사건적 존재론을 통해 화이트헤드가 실제로 무엇을 구성했는지 즉 그의 철학이 실현한 것이 무엇인지 보다는 오히려 그의 철학이 사실상 무엇을 해체하고 있는지를 주목하면서, 다윈 진화론과의 대화를 모색해 보고자 한다. 화이트헤드와 진화론 간의 공통분모를 그들이 ‘해체한 것’에서 찾아보자는 말이다. 그것은 바로 ‘인간’이라는 현상의 문제이다. 인간이 문제시 되는 시대, 때로는 ‘인간-횡단주의’(trans-humanism) 혹은 ‘탈-인간주의’(post-humanism)이라는 용어들이 난무하지만, 정작 무엇이 ‘인간-이후’(post-human)인지는 불확실한 시대. 존재를 실체(substance)나 존재(being)가 아니라 과정(process)이라는 관점에서 조망하면서도, 끝까지 플라톤주의자이기를 자처하면서, 서양철학 전체를 플라톤의 각주에 불과하다고 평가한 철학자, 화이트헤드. 그의 철학은 적어도 세속화 시대를 살아가는 우리들에게 매우 불온하다. 왜냐하면 우리 시대 금기어로 간주되는 ‘신’과 ‘진리’ 그리고 ‘조화’를 철학적 핵심어로 삼으면서도, ‘인간 이후’를 위한 상상력을 발휘하기 때문이다. 진화론과 과정 철학은 여기서 만난다. 즉 양자 모두 인간의 소멸과 탄생을 가리키고 있다는 것이다. 단순정위의 해체는 단지 근대적 실체론에 대한 이론적 거절을 넘어서서, 그에 기반한 우리의 통념적 인간 이해를 전복하고 있다. 그리고 이점에서 진화론은 종의 기원이 머나먼 과거나 혹은 유전자 혹은 환경이 아니라, 바로 우리와 가장 가까이 있는 ‘개체와 개체 사이’로부터 비롯됨을 알려준다. 즉 인간이라는 종은 지금도 끊임없이 기존 종의 경계를 이탈해 가면서, 새로운 경계를 창출해 나아가고 있는 중이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focuses upon what Whitehead really deconstructs rather than what Whitehead actually constructs, attempting to make dialogue with Darwin’s theory of evolution. The common denominator between Whitehead and Darwin, if any, can be found in what both of them tried to deconstruct. That is the issue of human being. In an age, in which the phenomena of human being itself has become problematic, one can find new terminologies like ‘trans-humanism’ or ‘post-humanism,’ but no one can define what they exactly mean. This article will try to explain the terms from the eyes of A.N. Whitehead, who saw ‘entity’ not as substance or ‘being’ but rather as process, and who proclaimed himself as a Platonist, evaluating the entire history of the Western philosophy as footnotes of Plato. Whitehead’s philosophy is not harmonious with this secular age, because his philosophy talked of God, truth and harmony, which are banned in public area and because it also delivered an imagination after human being, that is, the imagination of the post-humanism. Evolutionary theory and process philosophy encounter right at this point. For both of them point to the extinction and birth of being-human. Whitehead’s deconstruction of the frame of simple location goes beyond a theoretical refusal to the modern substantialism and subverts our common-sense-based understanding of being-human. At this point, Darwin’s theory of evolution makes us know that the origin of species does not from a remote ages or genes or environment but from just an in-between of individuals, that is, ‘between an individual and an individual, where ordinary differences emerge. Based upon this ordinary difference, the human species deviates from the existing boundary of the species and creates a new boundary of speci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화이트헤드 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03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2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