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7세기 동북아시아 『장자』 주석의 현실 대응론 - 왕부지와 박세당의 「제물론」 ‘명(明)’ 해석과 현실 대응론을 중심으로 (A study of Meaning of Politicai Commentary on Zhuang Zi's Qi Wu Lun in Far East 17 Century)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2 최종저작일 2016.05
34P 미리보기
17세기 동북아시아 『장자』 주석의 현실 대응론 - 왕부지와 박세당의 「제물론」 ‘명(明)’ 해석과 현실 대응론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철학사연구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철학논집 / 49호 / 39 ~ 72페이지
    · 저자명 : 조한석

    초록

    『장자』 「제물론』 해석 과정에서 왕부지와 박세당은 각기 다른 방향으로 ‘명(明)’ 해석을 진행하고 있다. 왕부지는 「제물론」에 세 번 등장하는 ‘명’ 가운데 앞의 첫째와 둘째 ‘명’을 ‘일곡지명’으로 규정하여 시비대립의 주체들의 편견으로 지적하여였다. 그리고 세 번째 ‘명’을 ‘편조지명’・‘진지지명’으로 규정하고 그 작용적 특징을 ‘활의지요’로 설정하였다. 반면 박세당은 세 차례 등장하는 ‘명’을 동일한 개념으로 이해하고 그 특징을 ‘천리지명’・‘천리지공’으로 규정하는 한편 왕부지가 강조했던 ‘활의지요’는 ‘명에 의한 교화 대상’으로 그 의미를 제한하였다. 또한 「제물론」 본문 ‘이시기소비이비기소시(以是其所非而非其所是)’ 부분에서 보이는 왕부지의 해석은 『장자』 「제물론」 원문의 의미 변형을 동반하고 있다. 비록 단편적 사례이기는 하지만 이러한 부분들을 통해서 「제물론」 해석의 다양한 측면을 엿볼 수 있다. 또한 왕부지와 박세당의 ‘명’ 해석은 그들의 현실 대응론으로 연결되어 양자 간 사상적 차이를 가늠해 볼 수 있는 시금석 역할을 한다. 곧 ‘「제물론」 명 해석이 왕부지와 박세당의 현실 대응론에 응용되고 있다’는 것이 이 글의 중심 가설이다.
    왕부지와 박세당은 17세기 동북아시아의 격변기를 삶의 무대로 활동한 사상가로서, ‘이 두 사람의 「제물론」 독특한 명(明) 해석이 각자의 현실 대응론에 응용되고 있다’는 것이 이 글의 중심 가설이다. 명의 유신을 자처하며 평생 반청의식을 고수하면서 ‘명 멸망의 원인’에 대한 역사적 회고에 전념했던 왕부지는 국내 정치에 대해서 강경한 원칙적 대응을 자제하고 현실의 유동성과 상황의 가변성에 입각한 대응, 곧 상황에 따라 고안되는 임시 원칙의 활용’을 강조하였다. 그리고 그의 이러한 현실 대응론은 『장자』 「제물론」 해석 과정에서 ‘편조지명’과 ‘활의지요’로 그 특징이 압축된다.
    한편 17세기 조선 정계에서 서인 소론으로 활동했고, 정계 은퇴 이후에도 줄곧 서인 노론과의 정쟁을 이어갔던 박세당의 경우는 ‘활의지요’를 강조했던 왕부지와는 판이한 양상을 보인다. 우선 『장자』 「제물론」 해석 과정에서 박세당은 ‘활의지요’에 제1의적 지위를 부여하지 않고 ‘명에 의한 교화의 대상’으로 그 의미를 강등하여 해석했다. 또한 박세당은 ‘명’을 ‘천리지명’・‘천리지공’으로 해석하여 ‘공명성에 의거한 원칙적 현실 대응론’을 주장하였으며, 이는 그의 ‘대청외교론’에도 적용되었다는 점을 지적할 수 있을 것이다. 결국 「제물론」 ‘명’ 해석과 ‘시비 대응론’을 기준으로 왕부지와 박세당의 현실 대응론을 정리하면, 왕부지는 ‘현실의 유동성에 입각한 탄력적 대응’을 강조하였고, 박세당은 ‘공익에 우선적 가치를 두는 원칙적 대응’을 중시하였다는 점을 지적할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The theme of this disquisition is the analysis of Zhuang Zi Qi Wu Lun's Ming of Wang Fu Zhi who China in the late Ming Dynasty and Park Sae Dang who Korea in the late Chosun Dynasty. Wang Fu Zhi and Park Sae Dang of the interpretation has each feature. There are three Ming in Zhuang Zi Qi Wu Lun. At first Wang Fu Zhi was only truly recognized third of three Mings. Ironically, he was truly one interpret Ming is Ming, not Ming(滑疑之耀). This means that he is flexible in response to the political events of reality. In order to establish this interpretation, he modified the original sentence(以是其所非而非其所是) of Zhuang Zi Qi Wu Lun. This interpretation is a very special case in the History of Zhuang Zi commentary.
    In contrast, Park Sae Dang was interpreted to mean all of the three Mings in Zhuang Zi Qi Wu Lun. Unlike Wang Fu Zhi, Park Sae Dang interpreted Ming based on objective truth and that Ming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affair. Park Sae Dang claimed that as a rule do not respond flexibly respond to the political events of reality. Based claims Park Sae Dang can do this is because he interpreted MIng by the public principle. And Wang Fu Zhi highlighted Ming, not Ming(滑疑之耀) was interpreted by her as the object of edification. He eventually Ming in Zhuang Zi Qi Wu Lun was interpreted as Principles of the political incident response(天理之公). Wang Fu Zhi(王夫之) and Park Sae Dang lived a different life in 17 Century Far East. Wang Fu Zhi devoted his life to academic research without political experience. However, Park Sae Dang was involved in the academic and political sides. Different lives of Wang Fu Zhi(王夫之) and Park Sae Dang is evident in the interpretation of Ming in Zhuang Zi Qi Wu Lu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철학논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1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