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논쟁 전․후기 退溪 四七論의 변이 양상과 退溪學派 四七論의 전개 (A aspect of change of Toegye’s thought of Four Clues and Seven Emotion of the former part and the latter part of Debate and development in it of Toegye School)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2 최종저작일 2011.06
35P 미리보기
논쟁 전․후기 退溪 四七論의 변이 양상과 退溪學派 四七論의 전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영남퇴계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퇴계학논집 / 8호 / 103 ~ 137페이지
    · 저자명 : 이상호

    초록

    이 논문은 이황(李滉, 호는 退溪, 1501~1570)과 기대승(奇大升, 호는 高峯, 1527~1572) 간에 진행된 사단칠정(四端七情) 논쟁 과정에 나타난 이황의 초기 입장과 후기 입장의 변화를 분석하고, 이것이 이후 퇴계학인들을 통해 어떻게 전승되는지를 살펴보려는 것이다. 이를 통해 사단칠정론에 나타난 퇴계학의 특징과 그것이 가진 넓이를 확인하려 한다.
    이황은 사단칠정 논쟁 초기 자신만의 철학적 특징을 결정 짓는다. 선과 악을 대비시켜 바라보려하면서, 사단과 칠정을 대대관계로 설정하고, 이를 통해 리와 기의 관계 역시 불상잡을 중심으로 해석한다. 더불어 사단의 소종래를 리에 두기 위해 리의 적극적인 주재나 능동성을 확보하기 위해 ‘리발’을 제시했던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입장은 기대승의 반박에 봉착하게 되고, 이러한 과정에서 약간 수정된 입장을 제시하는데, 그것이 바로 이황의 후기 입장이다. 여기에서 이황은 칠정을 리와 기의 합으로 긍정하고, 그것이 가진 본래적 속성 역시 선함으로 인정함으로써, 사단과 칠정을 단순한 대대관계로 설정하지 못하게 된다. 더불어 리기의 관계 역시 불상리를 전제한 상태에서 불상잡을 강조하게 되고, 리발은 기에 의지해서 발하는 ‘리기호발’로 그 의미가 확정된다. 이렇게 되면서 기대승에 대한 비판도 불상리와 불상잡을 고르게 보지 않았다거나, 리발과 기발을 동시에 인정하지 않는다는 등의 입장으로 옮겨가게 된다.
    이처럼 전기와 후기에 미세하게 드러나는 이황 사칠론의 변화는 이후 이현일과 이상정에게 각기 다르게 받아들여진다. 이현일은 기호학파와의 정치적·이론적 대척과정에서 이황에 비해 더욱 강하게 사단과 칠정을 대대관계로 해석한다. 이것은 리기관계를 불상잡 중심으로 해석하는 이론 위에서 성립되며, ‘리발’ 역시 기의 작용 없는 리발까지 설정된다. 이것은 주자학 기본 이론으로부터 벗어난 퇴계학만의 특수성을 더욱 발전시켜 간 것으로, 사단칠정을 시작하고 있는 이황의 초기 입장을 더욱 강하게 해석한 결과이다. 이에 비해 이상정은 이현일이 너무 분개 중심으로 본다는 비판을 수용하면서, 이황 사단칠정론의 후기 입장을 이어간다. 칠정을 성의 발함으로 이해하는 과정이 동반되면서 단순한 대대관계로 설정하지는 않고 있으며, 리기관계 역시 불상리를 전제한 상태에서 불상잡을 언급하고 있는 이황의 후기설을 발전적으로 해석하고 있다. 분개와 혼륜을 균형있게 바라봐야 한다는 이상정의 입장은 어느 한쪽에 천착되거나 치우치는 경향에 대해 강한 비판적 시각을 띠게 만들고 있는 것이다. 이렇게 되면서 ‘리발’ 역시 리가 주재하고 통제함으로써 기가 실질적으로 활동하는 양상으로서의 의미를 가지며, 이것은 순수한 리의 운동성으로까지 해석할 수 있는 이현일의 리발과는 차별성을 갖는다. 말 그대로 ‘리기호발’에 충실한 이해이다. 이현일과 이상정이 ‘리기 불상잡’과 ‘리발’을 통해 리의 능동성을 강조하는 ‘퇴계학’으로서의 특징은 분명히 가지고 있다. 그러나 그 실질적 내용은 이처럼 다양한 프리즘으로 드러났다. 이러한 입장의 차이는 이황이 기대승과의 논쟁 과정에서 미세하게 드러났던 것이 표면화 된 것이라고 말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change of the early and the latter position of Yi Hwang in a process of Four Seven debate between Yi Hwang(pen name is Toegye, 1501~1570) and Gi Dae-seong(pen name is Gobong, 1527~1572) and, to investigate how this change is transmitted through follower of Toegye’s philosophy, and throuhg it, to identify characteristic of Toegye’s philosophy in Four Seven debate and the scale which it has.
    Yi Hwang determines a philosophical characteristic in his own way in the early of Four Seven debate(四端七情 論爭). He opposes good to evil, and so sets up Four Clues(四端) and Seven Emotions(七情) as complementary relation(待對關係), through it, he interprets relation between Li and Ki as Not being mixed(不相雜). In addition to, he presented ‘Li issues’ to put origin(所從來) of Four Clues on Li, and to secure active superintendence or activity of Li. Howeve, this standpoint faces with refutation of Gi Dae-seong, Yi hwang presents amended position in this process, which is latter philosophy of Yi Hwang. He does not make set up Four Clues and Seven Emotions as a simple complementary relation, by affirming Seven Emotions as the sum of Li and Ki, and by admitting original attribute which it has is good. Moreover, for relation of Li and Ki, he emphasize Not being mixed in condition which assumes Not being separated(不相離), and ‘Li issues’ is confirmed as ‘mutual occurrence of Li and Ki(理氣互發)’ whcih it depends on Ki and issues. Refutation of Gi Dae-seong moves to standpoint that Yi Hwang doesn’t defines Not being separated and Not being mixed right, or Yi Hwang doesn’t admit Li issues and Ki issues(氣發) at the same time.
    Thus, the change of Yi Hwang’s theory of Four Clues and Seven Emotions which comes out minutely in the former part and the latter part, is adopted in different way each Yi Hyeon-Il and Yi Sang-Jeong. Yi Hyeon-Il, strongly, interprets Four Clues and Seven Eomotion as complementary relation, as compared with Yi Hwang in the political and theoretical process of Kiho School diametrically. It is approved on theory which interprets relation of Li and Ki as Not being mixed, and ‘Li issues’ is set up ‘Li issue’ Ki doesn’t act. It is result which strongly interprets early thought of Yi Hwang who start Four Clues and Seven Emotions as developing particularity of only Toegye’s Philosophy which departs from fundamental theory of Zhuxi`s Philosophy. In comparison, Yi Sang-Jeong admits critique of Yi Hyeon-Il that he see focused on indignation, and keeps the latter thought of Yi Hwang’s theory of Four Clues and Seven Emotions. Process which understands Seven Emotion as issues of nature is accompanied, Yi Sang-Jeong doesn’t set up simply Seven Emotion as complementary relation, and interprets expansively relation of Li and Ki as the latter theory of Yi Hwang who refers to Not being mixed in the condition which assumes Not being separated. Thought of Yi Sang-Jeong who should see adequately indignation and Honryun(渾淪) comes out with critical viewpoint for tendency which inclines and is perverse and disorderly to one side. ‘Li issue’ has meaning as aspect which Ki acts in quality as Li presides over and controls. It differs from Yi Hyeon-Il’s ‘Li Issues’ that may interpret as pure Li’s motility; understanding which adequates for ‘mutual occurrence of Li and Ki’. Apparently, Yi Hyeon-Il and Yi Sang-Jeong has characteristic as Toegye’s philosophy which emphasize activity of Li through ‘Li and Ki Not being mixed’ and ‘Li issues’. But the substantial contents were come out as a diverse prism. This the gap between their positions is that which comes out minutely in debate process between Yi Hwang and Gi Dae-Seong become to the surfac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0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4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