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惡’에 대한 다산의 인식과 도덕실천론:인성론 해석을 중심으로 (The Understanding of Wrongdoing(惡) and Moral Practice in Da-San(茶山)'s Thought)

4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2 최종저작일 2009.07
42P 미리보기
‘惡’에 대한 다산의 인식과 도덕실천론:인성론 해석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실학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실학연구 / 17호 / 133 ~ 174페이지
    · 저자명 : 전성건

    초록

    본 논문은, 다산의 심성론이 실천적 도덕이론의 재정립이라는 측면에서 다루어져야 하며, 실천적 도덕이론의 재정립을 위한 그의 심성론에 대한 이해는 그의 ‘악’에 관한 인식으로부터 시작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판단을 기반으로 그의 도덕적 실천이 전개되고 있다는 점을 밝혀보려는 시도이다. 理一分殊를 기본명제로 채택하고 있는 성리학적 세계관에서의 인간의 도덕적 가능성은 본연지성의 완전한 형태로 인간에게 구비되어있다. 그러나 그 가능성의 실현여부는 기질의 청탁수박과 기질로 인한 인욕에 의하여 결정된다. 즉 완전하게 구비되어 있는 도덕적 본성의 발현에 균열을 일으키는 것이 기질과 기질로 인한 인욕이기에, 악의 근거로 기질을 제기할 수밖에 없게 된다는 것이다.
    다산은 이러한 본연지성과 기질지성간의 문제를 제기하는 성리학적 이해를, 모든 악을 기질로 돌리는 것으로 판단하고, 이에 대한 반론을 제기하며, 악의 가능적 근거를 기질로 형성되는 형기의 사욕뿐만 아니라, 기질과 무관한 영지 자체에도 내재해 있음을 제기한다. 즉 ‘食色’과 ‘安逸’로 대표되는 형기의 사욕뿐만 아니라, ‘自尊’과 ‘驕傲’로 대표되는 인간의 명예욕 등은 이 보다 더 큰 악의 근거가 됨을 제시하려는 것이다. 악의 근거를 기질로만 돌린다면, 기질의 청탁수박에 따른 인간의 도덕적 행위는 결정론적으로 정해지게 되고, 이는 인간의 자주적 판단능력과 주체적 실천능력의 약화를 가져오게 하는 이론이 된다는 것이 다산의 판단이었던 것이다.
    才ㆍ勢ㆍ性은 그러한 다산의 판단을 이해하는 데에 도움을 주는 개념들이다. 특히 ‘세’개념은 ‘形氣之私慾’과 ‘行事’라는 용어의 발전적 개념으로서 ‘자존’과 ‘교오’로 대표되는 악의 가능성을 설명해주는 데에 유의미한 역할을 하게 된다. 다산은 기본적으로 ‘악’을 ‘過不及’으로 설명하여 실체적 의미를 탈각시키고 行事 이후에 결정되는 것으로 파악한다. 이는 仁義禮智를 인간의 마음에 선재하고 있다고 판단하는 성리학자들의 생각에 대한 반론으로, 인의예지는 이미 ‘구비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앞으로 ‘획득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하고 있는 다산의 사유방식과 무관한 것이 아니다.
    이와 같은 ‘악’에 대한 인식으로 인해, 다산은 도덕실천을 위한 방법으로 ‘신독’의 자세와 ‘예’의 실천을 제시한다. 항상 임감하여 감시하는 상제를 의식하여 공경하고 신중한 태도를 지니게 하고, 사회적 인간[관계적 인간]으로서의 교제를 ‘예’를 통해 온전히 실현해내는 것이 선을 실천하고 악을 제거하는 올바른 방식이라는 것이 다산의 생각이었던 것이다. 그리고 이것이 바로 그의 실존적 불안에 따른 윤리적 긴장이 제기되는 곳이기도 하다.

    영어초록

    This paper attempts to examine that Da-san's mind-theory should be understood in the point of a practical moral-theory and this perspective be related to his comprehension of wrongdoing. Through this viewpoint, we can infer his practical mind-theory from down to earth real world. In other words, While Sheonglihak(性理學) says that though the human nature is perfectly good and pure[性善], the human disposition is partially good and pure, unlike this he consumes that a wrongdoing has a relation not only to the human disposition[氣質], but also to the spiritual body[靈體]. Besides, the fundamental problem is that the wrongdoings are concerned with the spiritual body itself.
    The values of confucianism could be founded not in the sophisticated moral theory, but in the practical moral theory through sincere acting of human being in fact. Therefore, this paper dealing with such a theory focuses on the concepts which are Talent[才], Condition[勢], Appetite[性] and so on. The main concept is the Condition among them. As the concept experiences conceptual change courses in Da-san's context, it is very important that we traces the meanings of change concretely. As a result, the condition should be comprehended in the spiritual body itself and it is concerned with the human disposition as a actus[a possibility of actualization].
    Da-san explains wrongdoing as a excess and/or deficiency. It implicates that The evil is not anything substantial as a pre-being, but is something decisive as a post-acting. This Da-san's epistemological endeavor is connected with his methods which are cautiousness being alone, rites and so forth. Shindok[愼獨] means having the attitude of cautiousness like when being God in front of myself and rites[禮] means method keeping the relationships among the human beings and expanding the good deeds. In addition to this, his life story should not be overlooked in Da-san's practical mind-theory, because he always needed a ethical tension through his uncertain existential life during the place of exil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실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4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