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헤겔의 생성의 존재론이냐, 들뢰즈의 발생의 존재론이냐? (Hegel's becoming of ontology, Deleuze's genesis of ontology?)

1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2 최종저작일 2012.06
19P 미리보기
헤겔의 생성의 존재론이냐, 들뢰즈의 발생의 존재론이냐?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헤겔학회
    · 수록지 정보 : 헤겔연구 / 31호 / 75 ~ 93페이지
    · 저자명 : 연효숙

    초록

    우리 사회에서 근대와 탈근대 시대의 가치는 서로 대립하고 충돌하는가? 근대와 탈근대의 주요 가치는 무엇이고, 각 시대에서 우리가 배울 점과 한계로 가질 점은 무엇인가? 흔히 근대를 대표하는 헤겔 철학은 탈근대(포스트구조주의)의 들뢰즈가 일방적으로 비판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 글은 헤겔과 들뢰즈 간에 묶일 수 있는 공통적인 가치가 있다는 것을 전제하며서, 동시에 헤겔 철학이 안고 있는 문제점을 들뢰즈가 어떻게 비판하고 있는지를 살피고자 한다.
    일반적으로 헤겔 철학은 동일성의 철학, 재현의 철학으로 규정되고, 들뢰즈의 철학은 전복의 철학, 차이의 철학으로 평가되어 왔다. 그렇지만 두 철학자는 공통적으로 변화와 생성, 운동에 철저히 주목한 철학자이다. 그러나 헤겔 철학은 생성의 존재론으로 볼 수 있으나, 들뢰즈 철학은 발생의 존재론으로 보는 것이 더 적합하다. 헤겔은 존재, 무, 생성의 범주 그리고 부정성, 대립, 모순의 범주에서 보듯이, 이 세계의 본질은 생성, 변화하는 것이라고 보았다. 그러나 헤겔은 이러한 생생한 변화의 모습들을 ‘능동적 종합’으로, 개체를 보편과 통일로서의 개별자로, 생명을 유기체의 단위로 고정시킴으로써, 동일성의 지평으로 회귀하는 생성의 존재론에 머물고 말았다.
    들뢰즈는 헤겔과 달리, 동일성의 지반에 귀속되지 않는 차이 그 자체의 범주를 부각시킴으로써, 플라톤에서 헤겔에 이르기까지의 동일성의 존재론을 전복시키고 차이의 존재론을 주장하였다. 이러한 들뢰즈의 차이의 존재론에서 생성은, 동일성에서 기원하지 않는 질료적 차원에서 강도적으로 차이나는 ‘발생’의 차원이 강조된다. 이러한 발생은 헤겔의 절대적 주체의 능동적 종합과 달리, 무의식적 차원에서의 ‘수동적 종합’의 성격을 갖는다. 또한 들뢰즈의 개체는 전인칭적이거나 전개체적 차원에서 발생하는 성격을 갖기 때문에 헤겔의 유기체적인 단위의 개별자와는 구별된다. 따라서 헤겔과 들뢰즈는 둘 다 생성의 문제에 초점을 맞춘 점에서는 공통적인 문제의식을 갖고 있었지만, 들뢰즈의 발생의 존재론의 탈근대적 시각에서 볼 때 헤겔의 근대적인 생성의 존재론은 미완성에 그치고 말았다.

    영어초록

    Is value in modern times opposed to and conflicted with a value in post-modern times? What is the main value of modernity and post-modernity, and what can we get from it and can we criticize it? Generally, one says that the Hegel's philosophy in modern is criticized entirely by Deleuze as the post-structuralist. But I presuppose that there is common value in Hegel and in Deleuze, and at the same time I shall examine the problem in Hegel's philosophy, and also present how Deleuz criticizes it.
    In general, Hegel's philosophy is defined as philosophy of identity, philosophy of representation, and Deleuze's philosophy is estimated as philosophy of subversion, and philosophy of difference. But two philosophers in common pay completely attention to change, becoming and movement. Hegel's philosophy, however, is considered as ontology of becoming, while it is just proper that Deleuze's philosophy is seen as ontology of genesis. Hegel says that nature of the world is becoming and change, as a point of view from the categories of being, nothing and becoming, moreover, from the categories of negativity, opposition and contradiction. But this vivid change is fixed to active synthesis, and the singular is fixed to an individual as unity of the general and the particular in Hegel's philosophy, and then Hegel's philosophy returns to ontology of becoming as the horizon of identity.
    Emphasizing a category of difference in itself which is not attributed to the ground of identity, Deleuze subverts ontology of identity from Plato to Hegel, and insists ontology of difference. Becoming in Deleuze's ontology of difference, is a dimension of genesis which does not originate from identity, and is intensively differential to it in material dimension. Such a genesis, differently from active synthesis in Hegel's absolute subject, has trait of passive synthesis in dimension of the unconscious. Because an individual in Deleuze, in addtion, has a genetic property which is derived from an pre-personal or pre-indivdual dimension, it is different from the individual as an organic unit in Hegel. Therefore, though Hegel and Deleuze have a common critical attitude in the focus on the problem of becoming, Hegel's ontology of becoming in modern age can be estimated as the incomplete, from a point of view of Deleuze's ontology of genesis in post-moder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헤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4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