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경성제대 이명선의 탈경계적문학 연구와 중국 문예대중화론 수용 -이명선의 옌안문예론(延安文藝論)을 중심으로- (Lee Myung-sun's Transdisciplinary Literary Studies and Reception of Chinese Literary Popularization Theory - Focusing on Lee Myung-sun's Yan'an Literary Art Criticism)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2 최종저작일 2024.12
30P 미리보기
경성제대 이명선의 탈경계적문학 연구와 중국 문예대중화론 수용 -이명선의 옌안문예론(延安文藝論)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제어문학회
    · 수록지 정보 : 국제어문 / 103호 / 257 ~ 286페이지
    · 저자명 : 육령

    초록

    본고는 1930년대 경성제국대학 지나어문학과 출신의 이명선의 탈경계적 문학연구와 그의 중국 문예대중화론 수용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명선은 일찍이 경성제대 지나어문학과 시절부터 중국 문학을 소개하면서 중국 문학 연구, 자국(자민족) 문학 연구, 근대문학 연구와 고전문학 연구를 횡단하는 이른바 탈경계적문학 연구를 수행하였다. 기존 연구자들은 흔히 동아시아 루쉰론이라는 자장 속에서 이명선을 거론해 왔는데 그의 문학관 자체를 소홀한 면이 없지 않다. 따라서 필자는 이명선의 문학관과 결합하여 그의 탈경계적 문학 연구의 내재적 특징과 원인을 규명하고자 한다. 특히 전에 크게 주목받지 못했던 이명선의 중국 옌안문예(延安文藝)론에 대해 새로 밝히고자 한다. 이명선은 옌안문예 중에서도 특히 대중화란 특징이 두드러진 작품을 선호하였는데 이는 그의 고전 소설의 대중성 탐구와 같은 맥락이라고 볼 수 있다. 물론 당시 '대중화논쟁'은 범-동아시아적 현상이며 카프나 나프 내부에서도 논의된 바 있었으나 그의 저술에서 직접적으로 나타난 중국 문예대중화 논쟁에 대한 소개를 통해서 우리는 이명선이 사상적 자원으로서 중국 문예대중화론을 수용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또한, 필자는 이명선의 중국 문학 연구가 드러난 현대 지향과 대중성에 대한관심은 단지 개인적 성향이 아니라 당시 가라시마 다케시와 김태준 등이 소재하던 경성제국대학 지나어문학과란 지식장의 소산이라고 인식한다. 따라서 필자는우선 경성제대 지나어문학과 내부의 문학 연구의 현대 지향을 검토하였으며 이의 식민지시기 제국 일본의 지배적 아카데미즘을 이탈하려는 탈식민적 성격을밝혔다. 그 다음으로 이명선의 옌안문예론을 분석하면서 그의 문학 연구의 관건으로서 '대중성'이 그의 조선 고전 문학 연구와 중국 현대 문학 연구, 더 나아가새로운 조선 문학 건설 방안에 있어서의 위치를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작업을통해 중국인 한국학 연구자인 필자는 냉전 체제가 시작된 무렵 희생당한 한반도초대 중국 현대문학 연구자이자 조선 고전 문학 연구자인 이명선에 대한 기억을다시 환기하며 그의 연구 생애와 문학관, 그리고 사상적 맥락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자 한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mainly focuses on Lee Myung-sun's transdisciplinaryliterary studies and his embrace of the popularization theory of Chineseliterature in the 1930s at the Department of Chinese Language andLiterature in Keijo Imperial University. Lee Myung-sun introduced Chineseliterature as early as his tenure at the Department of Chinese Languageand Literature in Keijo Imperial University, where he conducted so-calledtransdisciplinary literary studies that transcended the boundaries amongChinese literary studies, national literary studies, contemporary literarystudies, and classical literary studies.
    Former researchers typically considered Lee Myung-sun under thecontext of East Asian studies on Lu Xun, whereas his literary viewshave been disregarded.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inherentfeatures and causes of Lee Myung-sun's transdisciplinary literaryresearch while considering his literary views. In particular, I discoveredhis interest in Chinese Yan'an literature, which had not received muchattention before. Among the Yan'an literature, Lee preferred works thatwere characterized by popularization, which can be regarded as thesame as his investigation of the popularity of classical novels. Notably, the “popularization debate“ was an East-Asian phenomenon at the timeand had been discussed within KARF or NARF, However the directintroduction of the debate regarding the popularization of Chineseliterature directly in his writings shows that Lee embraced ChineseYan'an literary theory as an intellectual resource.
    Furthermore, I recognize that the modern orientation of Lee Myung-sun'sresearch on Chinese literature and his interest in popularity were notmerely personal inclinations, but were influenced by the intellectualfield at the Department of Chinese Language and Literature in KeijoImperial University, where Takeshi Karashima and Kim Tae-joon usedto work at the time. Therefore, I first examine the modern orientationof literary research within the Department of Chinese Language andLiterature in Keijo Imperial University and reveal its postcolonialcharacter, which sought to depart from the academism dominated byimperial Japan during the colonial period. Next, I analyzed LeeMyung-sun's Yan'an literary criticism to identify the place of“popularity” as the key to his literary research in his study of classicalKorean literature and contemporary Chinese literatures, as well as tothe construction of future Korean literature.
    Through this work, as a Chinese researcher of Korean studies, I aimsto recall the memory of Lee Myung-sun,i.e., the early generation ofChinese literary researcher and classical Korean literary scholar inKorea who was victimized at the beginning of the Cold War, and tobroaden our understanding of his research life, literary views, andideological contex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국제어문”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20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5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