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분황원효와 영호정호의 만남과 대화 (The science of reasoning (因明學, Skt. hetu-vidyā) as formal logic seen through Youngho Jongho's An anthology of east Asian commentaries on the Nyāyapraveśa (因明入正理論會釋) and the science of reasoning as wor)

5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2 최종저작일 2023.10
52P 미리보기
분황원효와 영호정호의 만남과 대화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국대학교 세계불교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불교철학 / 13권 / 127 ~ 178페이지
    · 저자명 : 이인석

    초록

    본 고는 분황원효(芬皇元曉)와 영호정호(映湖鼎鎬)의 인명학(因明學)의특성에 대하여 살펴본 글이다. 먼저 분황원효는 언어와 논리를 초월한깨달음의 입장인 일심이문(一心二門)의 원리 가운데 “있지 않지만 없지도 않다”는 수연(隨緣)의 입장에 인명학의 위치를 자리매김하고 있다.
    이는 그의 인명학의 논리가 속제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중도(中道) 가 현실에서 수연될 경우 중도를 여의지 않으면서도 매우 엄정하고 효율적인 논리가 성립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그는 논증식을 통해이를 증명한다.
    이러한 증명은 그의 저술인 『판비량론』을 통해 잘 드러나며 본고는제9절을 통하여 이를 살펴보았다. 제9절에 나타나는 원효 논증식의 결론은 소승도 제6식의 소의로서의 별도의 식체를 인정한다는 것, 그리고그러한 이유로 소승도 의미상의 별도의 식체인 제7식과 제8식의 존재를 인정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이를 소승경전인 『잡아함경(雜阿含經)� 과 『구사론(俱舍論)』을 통해 경증하고 있다.
    이와 같은 원효의 논증식의 특성은 다음과 같다. 먼저 중도의 수연의 입장을 여의지 않으면서도 논증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논점만을정확하게 지적하여 논증의 목적을 성취하고 있다. 그리고 부인할 수없는 경증을 제시하여 논파를 방지하고 있으며 상대의 논점을 정확히파악하는 까닭에 효율성의 극대화를 가져오고 있다.
    한편, 영호정호의 인명학은 속제적 논리학(論理學)의 특성을 가지고있다. 자신을 깨닫게 하는 방법인 현량(現量)과 비량(比量), 남을 깨닫게 하는 방법인 능립(能立)과 능파(能破)의 총합으로서 성립되는 속제적 논리학이 그의 인명론의 특성이다.
    그에게 있어서 현량은 전오식(前五識)에 기반한 직접적인 지각이며이는 오관(五官)에 의해 빨간 사물을 보고 “그 사물이 빨갛다”는 것을아는 것이다.
    한편 비량은 현량에 의해 형성된 지각에 기반하여 제6의식이 사물의상태를 요별(了別)하고 추론(推論)하는 것이다. 현량과 비량이라는 방법에 의해 스스로를 위한 바른 인식이 성립되면 이어 남을 깨닫게 할수 있는 방법인 능립과 능파가 더해져 바른 지식인 논리학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경로를 통해 형성되는 영호정호의 인명학은 깨달음의 증득을 위한 방법으로서의 인명학이 아닌 속제적 지식으로서의 논리학의 형태를 띠고 있다. 그러나 근본적으로 속제와 진제는 불일불이(不 一不二)의 관계라는 것은 부인할 수 없는 불교의 기본교의이다. 그러므로 속제적 지식을 위한 논리학으로서의 인명학도 깨달음의 증득을위한 방법으로서의 인명학과 동등한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고 할수 있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science of reasoning (因明學, Skt. hetu-vidyā) by Bunhwang Wonhyo and Youngho Jungho. First, Bunhwang Wonhyo assigns the position of the science of reasoning to the position of the natural working of the principle of dependent arising (隨緣), which means that “it is not there, but it is not nonexistent.” among the principles of one mind and two aspects — the two positions of enlightenment that transcend language and logic.
    This implies that Wonhyo’s logic of reasoning science (Skt. hetu-vidyā) is not limited to conventional truth (世俗諦, Skt. saṃvṛti-satya). In other words, if the middle way acts according to the reality of dependent arising, this logic is established without any effort from the phenomenon realm.
    This logic is clear and efficient. For this reason, Wonhyo’s science of reasoning is considered to be logic that originates out of enlightenment.
    The conclusion of Wonhyo’s argument, expressed in Chapter 9 of Treatise on the Critique of Inference, is that, even in the case of Hinayana, a separate consciousness is recognized as what the sixth consciousness relies upon.
    For this reason, Hinayana acknowledges the existence of separate conscious bodies such as the seventh and eighth consciousness in meaning, and is proven through the Theravada sutras — such as Āgama of Combined Discourses and Abhidharmakośa-bhāṣya.
    This characteristic of Wonhyo's logic is that he achieves the purpose of the argument by accurately pointing out the points absolutely necessary for the argument, preventing refutation by presenting undeniable evidence, and by understanding the opponent’s argument accurately. This leads to efficiency maximization.
    Meanwhile, Youngho Jungho's science of reasoning has the characteristics of formal logic for conventional truth (世俗諦, Skt. saṃvṛti satya). His logic is established when direct perception (現量, Skt.
    pratyakṣa-pramāṇa) and inference (比量, Skt. anumāna) — which are methods of helping oneself realize the correct truth — and inferential proof (能立, Skt. sādhana) and valid refutation(能破, Skt. dūṣana) — which are methods of helping others realize the truth — are combined. This logic is characteristic of his science of reasoning (因明學, Skt. hetu-vidyā).
    For him, direct perception concerned the gaining of information based on the five sensory organs, without any concepts involved. This means that, when somebody sees a red object, and knows “that object is red” through direct perception of the five senses, the concept of “red” is not yet involved.
    Meanwhile, inference (比量, Skt. anumāna) means developing knowledge regarding the state of an object allowing the involvement of concept, recognition, and inference based on perception formed by direct perception.
    If correct knowledge for oneself is provided through methods of direct perception and inference, inferential proof, and valid refutation — methods for enlightening others — are also added and logic is formed.
    Youngho Jungho's science of reasoning, formed through this path, takes the form of logic as knowledge of conventional truth rather than as a method for gaining enlightenment. Fundamentally, however, the conventional and ultimate truths are neither identical nor different.
    Therefore, the science of reasoning, as logic for conventional truth, also has an equally important meaning as the ultimate truth.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불교철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1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4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