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자이나교의 성적 금욕론 (1):‘성 긍정론’에 대한 비판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Jain's Sexual Asceticism (1):Regarding the critique of the affirmations on sexual activity)

2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2 최종저작일 2020.12
23P 미리보기
자이나교의 성적 금욕론 (1):‘성 긍정론’에 대한 비판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인도철학회
    · 수록지 정보 : 인도철학 / 60호 / 35 ~ 57페이지
    · 저자명 : 양영순

    초록

    인도 종교의 브라흐마나 전통에서는 카마(kāma) 즉, 성적 욕망을 인간이 누릴 당연한 목적으로 긍정하지만, 출가 수행자들의 슈라마나 전통에서 카마는 윤회와 속박의 종자이다. 특히, 자이나교는 성스러운 행위 일반을 뜻하는 브라흐마차리야(brahmacarya, 梵行)를 성적 금욕으로 강조하여, 이를 5 대서약에 새롭게 추가할 정도로 중요한 수행 항목으로 부각시켰다.
    본 논문의 목적은 성적 금욕을 중시하는 자이나교가 당대의 ‘성 긍정론’을 어떻게 경계하고 비판했는지 그 내용을 고찰하는 것이다. 성 긍정론은 크게 현세적 쾌락론과 종교적인 성적 수행론에서 나타나는데, 종교 내의 성 긍정론은 자이나교 내부에서도 나타나므로 각각 Ⅱ장, Ⅲ장, Ⅳ장에서 고찰한다.
    성 긍정론에 관한 자이나교의 비판은 여러 문헌, 그중에서 하리바드라의 저작들에서 나타나며 유기적인 내용을 보여준다. 현세적 쾌락론은 당대 『카마수트라(KāS)』등의 각종 성애서에 노골적으로 드러나지만, 하리바드라의 『담마상가하니(DhS)』에서 5가지 논점으로 구성된 ‘성교 긍정론’의 주장과 비판이 나타난다. 카마, 특히 성교의 이점을 노골적으로 피력하는 가운데 마지막 다섯 번째 논점은 심지어 이렇게 유익한 성교를 출가자에게도 허용하라는 주장에까지 이른다.
    이와 관련하여 출가자의 성욕에 대처 13종의 방법이 이미 기원후 1-2세기의 계율집 『비야바하라브하샤(VyB)』에서 6단계로서 나타나는데, 이는 이미 당대에 통용되던 카마의 10단계설을 전제한 내용으로 보인다. 하리바드라는 자이나 내부에서 논란이 되었을 출가자의 성교 허용론을 단호하게 배격한다. 이는 본고 Ⅲ장에서 다룬 그의 다른 저작 『요가드리슈티사무짜야(YDS)』에 드러난 당대 탄트리즘에서 거행한 성교 의례(maithuna)를 신랄하게 비판했던 관점과 논조를 유지한 것이다.

    영어초록

    In the Brāhmaṇa tradition of the Indian religion, the kāma, or sexual desire, is recognized as a natural purpose for human beings(puruṣārtha). But it was wickedness that must be overcome and cut off for the Śramaṇa tradition. Jainism emphasized the brahmacarya as sexual abstinence, highlighted it as an essential practice, and newly added to the Five Great Vow. Brahmacarya, who cuts off sexual desire, was regarded as a core value that should be kept like Śramaṇa, who was trying to cut off reincarnation(saṃsāra).
    This thesis aims to examine the criticisms of Jainism on contemporary sexual hedonism and sexual practice theory. The discussion of affirmation of sex appears mostly in hedonism and sexual practice of Tantrism. But the view of sexual affirmation in religion also appears in Jainism. So these are discussed in Chapters Ⅱ, Ⅲ, and Ⅳ, respectively.
    The criticism of hedonism is divided into the criticism of the temporal hedonism and the hedonism allowed by religion. Most of them can be studied through texts of Haribhadra, in the 8th and 9th centuries. Temporal hedonism is explicitly revealed in various sexual books (Kāmaśāstra) such as Kāmasūtra. But a refutation on sexual hedonism consisting of five points in the Jaina literature, Dammasaṅghaṇi. In this text, the benefits of sexual intercourse are explicitly expressed, and the final fifth point is that even the monks are argued to allow intercourse with various advantages. Prior to the above literature, the theory of sexual permissiveness of monks already appeared in the six-stage view in Vyavahārabhāṣya, which can be said to be a monk's version of the ten-stage development theory of Kāma, which is already common at the time. Haribhadra firmly rejects this theory that monk also can be permitted sexual intercourse. And in another text Yogadṛṣṭisamuccaya, he criticizes the ritual of sexual intercourse (maithuna) practised in Kaula tantric tradition. In addition, there are some interesting arguments that sexual intercourse should be prohibited in order to comply with Jain's first principle, the vow of Ahiṃsa. This will be considered with Jain's Brahmacarya-vrata in a later thesi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인도철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5월 18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0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