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원돈성불론』과 『간화결의론』에 나타난 지눌의 선교관 (The viewpoints on Seon(禪) and Gyo(敎) of Wondonsengbulron and Kanhwagyeoleuiron by Jinul)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2 최종저작일 2017.08
31P 미리보기
『원돈성불론』과 『간화결의론』에 나타난 지눌의 선교관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선학회
    · 수록지 정보 : 禪學(선학) / 47호 / 5 ~ 35페이지
    · 저자명 : 김방룡

    초록

    보조 지눌의 사상은 성적등지문(惺寂等持門)·원돈신해문(圓頓信解門)·간화경절문(看話徑截 門) 등 삼문(三門)의 종합적 체계로 설명할 수 있다. 따라서 그의 사상 속에는 돈오점수(頓 悟漸修)와 선교일치(禪敎一致) 및 간화선(看話禪)이 조화를 이루며 공존하고 있다.
    지눌은 선사(禪師)임에도 불구하고 선과 교가 일치하는 근거를 찾기 위해 대장경을 열람하였으며, 결국 이통현의 『신화엄론』을 통하여 화엄과 선의 일치점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다시 대혜 종고의 간화선을 들여와 실천적인 면에서 선의 우위성을 주장하였다.
    『원돈성불론』과 『간화결의론』은 지눌의 말년 저작으로 그의 화엄사상과 간화선사상이응축되어 있다. 특히 이 두 저서 속에는 지눌의 화엄과 선사상의 핵심내용 및 그의 종합적인 선교관의 특징이 잘 나타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두 저서의 저술 동기 및 핵심내용을 소개하고, 이어 각각의 저서에 나타난 선교관을 밝혔다. 끝으로 두 저서에 나타난 지눌 선교관의 특징을 제시하였다.
    『원돈성불론』이 선교일치의 측면을 중시하였다면, 『간화결의론』은 실천에 있어서 간화선의 우월성을 강조하고 있다. 본고에서는 화엄종이 주류를 차지하던 지눌 당시 불교계의 상황 속에서 이러한 지눌의 상반된 관점이 지니는 불교사적 의의를 드러내고자 하였다.

    영어초록

    Bojo Jinul(普照知訥)’s thought can be explained by the comprehensive system of Three gates(三門), Seongjeokdeungjimun(惺寂等持門), Wondonsinhae mun(圓頓信解門), Ganhwagyeongjeolmun(看話徑截門). In his thought Sudden enlightenment and gradual cultivation(頓悟漸修), the coincidence with Seon sect and Gyo sect(禪敎一致) and Ganhwaseon are coexistent in harmony.
    Eventhough Jinul him self was a Seon master, he had studied the complete collection of Buddhist scriptures to find the evidence of the coincidence with Seon sect and Gyo sect(禪敎一致), and finally he identified the correspondence of Huayan and Seon with Lǐtōngxuán(李通玄)’s Sinhw-aeomron(新華嚴論). After that, he had brought Dahui Zonggao(大慧宗杲)’s Ganhwaseon(看話禪), and insisted on the superiority of Seon in practical terms.
    Jinul’s latter year’s work, Wondonseongbulron(圓頓成佛論) and Ganhwagyeo leuiron(看話決疑論) are condensed with his Hwaeom(華嚴) thought and Ganhwaseon(看話禪) thought. Especially in those two works contain the key contents of Jinul’s Hwaeom thought and Seon thought, and also well characterized with comprehensive features of his viewpoint of Seon sect and Gyo sect. In this study, I introduced the motives and core contents of the two book, and disclosed the viewpoint of Seon sect and Gyo sect contained in each works. Finally I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his viewpoint of Seon sect and Gyo sect.
    In this article, we trying to reveal the buddhist historical significance of the Jiinul’s conflicting perspective in the situation of Goryeo buddhism, where Huayan school(華嚴宗) was mainstream.
    Wondonseongbulron(圓頓成佛論) put stressed on the aspect of the coinciden ce with Seon sect and Gyo sect(禪敎一致), while Ganhwagyeoleuiron(看話決疑論) emphasized the Ganhwa Seon’s superiority in practices. In this article, I tried to reveal the Buddhist historical significance of the Jiinul’s conflicting perspective in the situation of Koryeo Buddhism occupied by Huayan school(華嚴宗) as a mainstrea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禪學(선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6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4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