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구사논주 세친의 극미(paramāṇu) 실체론 비판과 그 인식론적 함의 (Vasubandhu’s Critique of the Substantial View of Atoms(paramāṇu) and its Epistemological Implications)

7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2 최종저작일 2010.12
72P 미리보기
구사논주 세친의 극미(paramāṇu) 실체론 비판과 그 인식론적 함의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금강대학교 불교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불교학리뷰 / 8호 / 221 ~ 292페이지
    · 저자명 : 박창환

    초록

    옥스포드의 저명한 인도철학자 마티랄(Matilal)은 세친의 감각지각론에있어서 색깔(rūpa) 등의 다르마는 하나의 현상일 뿐이고 감각자료를 산출하는 원자(paramāṇu)가 궁극적 실재(paramārthasat)라고 말한다. 본고는이러한 주장에 대한 비판적 검토이며 세친 감각지각론의 재구성을 위한 시론적 작업이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세친의 감각지각론에서 궁극적 실재로간주되는 것은 마티랄이 주장하는 것과 거의 반대라고 생각하면 된다. 세친에 있어서 궁극적인 실재는 실체로서의 극미(dravyaparamāṇu)가 아니고, 복합극미(saṃghātaparamāṇu)들의 집적에 의해 산출된 경험인식의 기본범주인 다르마(dharma)들이다. 따라서 색깔 등의 다르마(속성)들이 실재이며극미들은 별도의 실체로서가 아니라 다르마 형성에 집단적으로 원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만 조건적으로 그 존재 가치가 인정된다.
    세친이 실체극미를 궁극적 실재로 보지 않았다는 점은 그의 극미에 대한정의가 바이세시카 학파나 설일체유부의 실체 극미설과 다르다는 점에서분명히 드러난다. 세친은 『구사론』 II‐22ab에서 물질의 적취(rūpasaṃghāta) 중 지각 가능한 가장 미세한 것을 극미(paramāṇu)라고 정의한다. 이는 더이상 쪼갤 수 없는 저항을 가진 물질의 최소 단위(bhedaparyanta)를 극미로 규정하는 설일체유부나 바이쉐이카식 극미 이해와는 구분되는 것이다.
    세친이 극미를 이런 식으로 규정한 것은 결국 자성(svabhāva)을 가진 다르마(dharma)를 궁극적 실재(paramārthasat)로 보는 <구사론> VI‐4 입장의도출을 위한 사전 정지작업으로 볼 수 있다. 즉 다르마(속성)의 형성에 기여하는 형태의 극미 개념을 구상한 것이다. 세친은 <구사론> I‐43d의 극미관련 논의에서 부분이 없는(niravayava) 실체로서의 극미는 그 개념적 모순 때문에 결코 부피를 가진 세계의 형성을 설명할 수 없다고 보았다. 그결과 야쇼미트라가 언급한 것처럼 콩무더기(māṣarāśi)를 형성하는 개개의콩과 같이 부분을 가진 극미 개념을 지지하게 된다. <구사론>II‐22ab에서 미세한 물질의 적취, 즉 일종의 복합극미(saṃghātaparamāṇu)를 극미로 정의한 것은 바로 이러한 실체극미(dravyaparamāṇu)에 대한 세친의 근원적의구심에서 나온 것이다. 복합극미의 축적에 의해서만이 경험인식(다르마) 세계의 형성을 설명할 수 있다고 본 것이다.
    이런 관점에서 본다면 복합극미를 구성하는 八事俱生하는 여덟개의 극미(실체)는 오직 이것들이 복합극미를 구성하는 하나의 속성이나 성질이라는 점에서만 의미가 있는 것이지 그것 하나하나가 독자적인 실체(극미)라는의미는 아니다. <구사론> III‐100ab에 보이듯이 세친은 팔사구생하는 사대소조색인 색깔, 냄새, 맛, 촉감의 속성과 별도로 존재하는 실체로서의 지, 수, 화, 풍의 극미는 인정하지 않는다. 색깔 등도 극미로서가 아니고 지각가능한 다르마라는 의미에서 그 실재성을 인정받는다. 여기서 실체(dharmin) 를 부정하고 속성(dharma)만을 인정하는 불교현상학의 특징이 잘 드러난다.
    세친의 감각지각론에서 극미는 더 이상 물질의 가장 미세한 존재단위로서 이로부터 모든 존재의 형성이 시작되는 기체가 아니다. 세친의 감각지각론은 여전히 초기불교 이래의 12處의 경험주의적 전제 위에 서 있으며, 이경험인식의 기본틀을 훼손하지 않는 한에 있어서 극미설을 재규정하여 다르마론에 통합시키려 한 것이다. 이 과정에서 실체로서의 극미 개념은 포기되며 다르마의 형성에 집단적으로 기여하는 속성의 최소단위로서의 복합극미 개념만이 남게 된다.

    영어초록

    Bimal Krishna Matilal (1986:242), a renowned Indian philosopher, once maintained thus: “Even the color‐expanse is only a phenomenon, for that is not the ‘ultimately real’ entity. The ‘ultimately’ reals (also called the ‘substantially’ reals) are the atomic constitutes of these phenomena or sensibilia. Our familiar chair has, therefore, first to be resolved into (or ‘dissolved’ into) a set of familiar sensibilia, and then the gross sensibilia are in turn resolved into a cluster of atomic sensibilia.” This article is designed to critically review this claim and set a foundation for the reconstruction of Vasubandhu’s (i.e., Kośakāra) view of sense‐perception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role of the notion of ‘atom’ (paramāṇu) therein. For this purpose this article will examine a few of paramāṇurelated passages throughout AKBh.
    In short, the kind of ultimate reality (paramārthasat) that Vasubandhu conceived of is in effect opposite to what Matilal claims; the ultimate real for him are not substance‐atoms (dravyaparamāṇu) but individual dharmas constituted of assembled atoms (saṃghātaparamāṇu). In other words, for Vasubandhu ultimately real are dharmas which are the basic categories or constituents of our sense‐experiences such color (rūpa), sound (śabda).
    Vasubandhu does not accept the Vaiśeṣika view of substance‐atoms (dravyaparamāṇu). He only acknowledges assembled atoms (saṃghāta paramāṇu) in so far as they are able to collectively constitute dharmas (the objects of our sense‐perception). This entails that Vasubandhu understands atoms only as the smallest but still visible units of properties like dharmas.
    That is, Vasubandhu drastically reinterprets the notion of an atom in a way in which it can be suited to his view of dharma (property)‐centered phenomenalism.
    The kind of interpretation put forth above can be buttressed throughout paramāṇu‐related discussions in the AKBh. In the AKBh II‐22ab Vasubandhu defines a paramāṇu as the smallest unit of material‐complex (saṃghātarūpa), which is still recognizable by our sense‐perception. This definition is in stark contrast to the Vaiśeṣika or Vaibhāṣika view of a paramāṇu as an indivisible infinitesimal unit (bhedaparyanta) of material (rūpa) which is beyond our sense‐perception (atīndriya). The peculiar characteristics of Vasubandhu’s presentation of paramāṇu as above lie in the fact that he rejects the notion of an atom as an indivisible smallest entity of material, which is only theoretically assumed, defining a paramāṇu as an actually visible particle which can constitute our empirical world of sense‐objects(dharmas).
    This is in line with Vasubandhu’s understanding of ‘ultimate real’ (paramārthasat) in the AKBh VI‐4, in which he explicitly declares that dharmas with their own characteristics (svabhāva) are ultimate real, but not atoms themselves.
    In the AKBh I‐43d Vasubandhu criticizes the Vaibhāṣika notion of paramāṇu as an irreducible but still resistant smallest unit of material as nonsensical in that one cannot explain the arising of the world by accumulating such partless (niravayava) atoms. With reference to Vasubandhu’s critique of the Vaibhāṣika notion of paramāṇu, Yaśomitra says in AKVy: “The master (ācārya) [critically] examines this [issue] with the intention of arguing that [the notion of] an atom cannot be established” (paramāṇvapariniṣpattiṃ vaktukāmaḥ ācāryo vicārayati). Yaśomitra further says that the kind of paramāṇu that Vasubandhu thought of is like a bean as observed in a pile of beans (māṣarāśi). This example also shows that the kind of paramāṇu that Vasubandhu supports is like a small particle with parts (sāvayava) from which the gross world can arise. In the AKBh III‐100ab Vasubandhu says that he does not acknowledge the existence of the atoms of four fundamental material elements (mahābhūta) separate from dharmas such as color, smell, taste, touch when they arise together in the realm of desire (kāmadhātu). This clearly shows that Vasubandhu only accepts dharmas, i.e., properties, but not dharmins, i.e., substrata to which properties belong.
    This corroborates our view that Vasubandhu defines assembled atoms (saṃghātaparamāṇu) as a paramāṇu with a view to explaining the arising of the world of sense‐objects (dharmas) from these quality/property‐atoms and thereby rejects the Vaiśeṣika or Vaibhāṣika notion of a substanceatom (dravyaparamāṇu). Vasubandhu’s rejection of the substantial notion of paramāṇu indicates that at the stage of the AKBh he already held a phenomenalistic view of the world, which admits only dharmas or properties, a position which is to be condemned by non‐Buddhist sides as characteristically Buddhist later 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불교학리뷰”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1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2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