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주쳰즈의 문화학적 지역단위론 고찰- 탈오리엔탈리즘: 세계단위론적 접근 - (A Discussion of Culturological Area Unit Theory of Zhu Qianzhi Post-Orientalism: Global Unit Approach)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2 최종저작일 2018.09
36P 미리보기
주쳰즈의 문화학적 지역단위론 고찰- 탈오리엔탈리즘: 세계단위론적 접근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동서철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서철학연구 / 89호 / 129 ~ 164페이지
    · 저자명 : 전홍석

    초록

    ‘지역학(Area Studies, 지역연구)’은 지금껏 지성적이고 도덕적인 정의와 의미를 부여하는 부단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순수한 세계인식의 한 부분이자 순수 아카데미즘의 범주에 자리집기에는 여전히 많은 난제들을 안고 있다. 그 주된 장애요인 중의 하나가 지역연구의 제국주의적인 추악성, 다시 말해 구미 패권적 국익에 봉사해온 정책과학이라는 혐의일 것이다. 이런 점에서 본고는 세계단위론의 연속선상에서 근현대 구미로 대변되는 강한 공간의 세계분할론적인 발상에 대항하는 동아시아적 지역관과 그 이론모델을 안출하기 위해 기획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20세기 전반기 중국의 대표적인 문화학자 주쳰즈(朱謙之, 1899~1972)의 문화유형학, 즉 세계문화유형과 그 지리분포 논의에서 모색해보고자 했다. 주쳰즈가 구도한 ‘대문명권 — 세계단위’로서의 ‘세계문화의 지리적 3원론’은 지속가능한 공존을 위한 지역인식의 새로운 방법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다. 특히 그것이 종래 구미형이나 이를 복사한 일본형의 제국주의적 지역구획 개념에서 탈피된 동아시아 시각의 ‘탈오리엔탈리즘적 세계단위’라는 점에서 의미심장하다. 주쳰즈는 당시 서구제국주의의 지역구도와 이를 모방한 일제의 굴절된 전쟁주의적 지역인식을 목도하면서 그에 맞서 문화주의적 세계단위와 그런 ‘세계’성을 규명하는 학문적 노력을 경주했다. 그것은 다원주의적 ‘세계문화 3원론’, 이를테면 ‘종교적 문화구역 — 인도’, ‘철학적 문화구역 — 중국’, ‘과학적 문화구역 — 서양’으로 압축된다. 이 세 문화지역은 인구조밀지역에서의 ‘공간=지역단위’ 인식이자 ‘시간=역사’ 인식이다. 뿐더러 세계단위로서의 공통적인 세계관이나 가치관을 가진 인간 집단이 거주하는 지리적 범위에 해당한다. 이 일련의 ‘문화학적 단위성’의 착상은 오늘날 인류사회의 장기지속적인 평화공존을 위한 새로운 지역연구의 방향설정에 귀중한 지적 영감과 좌표를 제공해준다.

    영어초록

    Despite the constant efforts to create intellectual and ethical definitions and meanings, ‘area studies’ still have many conundrums to settle down as a pure academic category with global awareness. One of the primary obstacles is probably the ugly imperialistic nature of area studies, namely the suspicion of policy science that has been serving the hegemonic national interests of Europe and America. In this sense, this paper was planned to contrive the East Asian area view and its theoretical model, resisting the idea of the global division theory in the strong space represented by modern and contemporary Europe and America on the continuum of the global unit theory. In specific, it was attempted by examining the cultural typology of Zhu Qianzhi (1899~1972), a representative Chinese culturologist in the early 20th century, namely global culture type and geographical distribution. the ‘theory of three world cultures’ as the ‘great civilization – global unit’ composed by Zhu Qianzhi can settle down as a new method of area recognition for sustainable coexistence. Especially, this has significance as a ‘global unit of post-orientalism’ from the East Asian perspective that breaks away from the concept of imperialistic area division by the Western world or its imitation by Japan. Zhu Qianzhi put academic efforts to inquire the culturalistic global unit and ‘globality’ while witnessing and confronting the area composition of the Western imperialism and the biased pro-war area recognition of the Japanese imperialism. This boils down to the pluralist ‘theory of three world cultures’ including ‘religious cultural area – India’, ‘philosophical cultural area – China’ and ‘scientific cultural area – West.’ These three cultural areas are recognized as ‘space = area unit’ and ‘time = history’ in areas of dense population. In addition, they correspond to the geographical ranges in which groups of people sharing a common view of the world and value system reside. This series of ideas for ‘culturological unit’ offers valuable intellectual inspirations and coordinates to set the directivity of new area studies for long-term, peaceful coexistence of the human socie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서철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4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3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