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문학미디어와 현대문학 연구-본질론으로부터 현실론과 응용론으로- (Literature media and contemporary literature study : from essentialism to practical and applied issues)

4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2 최종저작일 2017.02
41P 미리보기
문학미디어와 현대문학 연구-본질론으로부터 현실론과 응용론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문학연구학회
    · 수록지 정보 : 현대문학의 연구 / 61호 / 7 ~ 47페이지
    · 저자명 : 임형택

    초록

    이 글의 중심 생각은 매클루언이나 플루서가 말했던 근본적인 의미에서의 미디어 연구가 문학연구 —예술・문화를 포함하는 광의의 문학— 에 최적합하다는 것이다. 그들은 하나의 미디어에 대한 분석이 아닌, 둘 이상의 미디어 간에서 그 변환의 효과를 구하는 것을 미디어 연구라고 하였거니와, 그러한 문제에 대한 관심은 신문방송학(사회학)에서보다는 문학연구에서 더욱 크다고 여겨지기 때문이다. 그 견지에서 돌아볼 때 현대문학의 연구 대상이 작품 또는 텍스트 자체에만 머물지 않고 신문・잡지와 같은 근대 문자 매체 그리고 영화・방송 등의 미디어‒테크놀로지로 확장돼온 흐름은 온당했다고 생각되며, 그 중에는 ‘검열’과 같이 문학연구가 주도하여 근본적인 미디어 문제에까지 파고든 성과들도 있었다.
    하지만 미디어에 입각한 문학연구의 가능성은 여전히 많이 남아있다고 생각된다. 그동안 현대문학 연구 대상의 확장으로서 미디어 고찰은 주로 개별적 차원에서 역사적 사실을 고증하는 방식으로 이뤄져 왔으며, 미디어 작동 중 ‘사용’ 문제에 편중돼왔던 까닭이다. 이는 전체적인 이론적 조망과 연구 설계 그리고 미디어 자체의 특성에서 연유하는 ‘작용’의 문제들과 통합적으로 고구될 때 더욱 효과적이고 근본적인 문학연구가 될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지금까지 활발하게 전개돼왔던 다양한 미디어에 대한 선행 문학연구들은 이론적 통합을 가능케 하며, 그것은 나아가 문학연구에 현실론과 응용론으로 나아갈 수 있는 여지를 제공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 글에서 제시하는 ‘문학미디어’는 두 개 이상의 미디어 간에서 그 변환의 연속적 양상을 고구하는 개념이자 방법론으로서, 문학연구로 하여금 현실과 응용의 문제들에 더욱 면밀하게 대응케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때 문학연구는 필히 예술・문화 연구와 혼융되게 마련인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미디어‒테크놀로지 영역에 대한 미디어‒인간 영역에서는 문학이 그 기준으로서 연구적 변별과 체계화를 가능케 한다. 따라서 이 글은 날로 심화되는 미디어‒테크놀로지 환경에서 문학 및 예술・문화의 존재 양상과 그 연구에 대하여 ‘포스트 문학중심주의’를 제의하게 되었다.

    영어초록

    The central idea of ​​this article is that media study in the fundamental sense of what McLuhan and Flusser have said is optimal for literature study - a broader literature including arts and culture. They consider media research to seek the effects of the transformation between two or more media, rather than to analyze one media, because interest in such issues is considered to be greater in literature study than in journalism(sociology). From that point of view, it is thought appropriately that the subject of contemporary literature is not limited to works or text itself, but the flow of modern letter media such as newspapers and magazines, and media-technology such as movies and broadcasting, And the results of research on literary studies led to fundamental media problems such as ‘censorship’.
    However, the possibility of study on literature based on media still remains. As an extension of contemporary literary study subjects, media review has mainly consisted of checking historical facts on an individual level, and has been focused on the problem of 'use' during media operation. It is expected that this will be a more effective and fundamental literature study when integrated with the whole theoretical perspective, study design, and the problems of 'action' caused by the characteristics of the media itself during media operation.
    Preceding literary studies on various media, which have been actively developed so far, will enable theoretical integration, and it is expected that it will provide room for further advancement into practical and applied literature in literary studies. ‘Literature media’ proposed in this article is a concept and methodology that considers the continuous aspects of the transformation between two or more media, and it is expected that literature research can more closely respond to the problems of reality and application do. At this time, literature study must be mixed with study on art and culture. Nevertheless, in the media-human domain of media-technology, literature can be used as a standard for study discrimination and systematization. Therefore, this article proposes 'post literary centrism' about the existence aspect of literature, arts and culture in the ever deepening media‒ technology environment and its stud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현대문학의 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6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5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