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불성론(佛性論)의 변용으로 본 조사선(祖師禪)의 전개 (Development of Patriarchal Seon (祖師禪) seen as a Transformation of Buddha-nature Theory)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2 최종저작일 2023.12
33P 미리보기
불성론(佛性論)의 변용으로 본 조사선(祖師禪)의 전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선학회
    · 수록지 정보 : 禪學(선학) / 66호 / 5 ~ 37페이지
    · 저자명 : 김명호

    초록

    본 논문에서는 불교가 중국에 전래한 이후 출현한 불성론(佛性論)과 돈오론(頓悟論)을 고찰하였고, 중국선이 정학(定學)과 달마선(達摩禪)의 대립으로부터 후대에 『육조단경』에서 명심견성(明心見性)의 불성론이 출현하는 과정을 고찰하였다. 그리고 안사(安史)의 난과 회창법난(會昌法難) 이후에 출현한 후기 조사선에서 ‘무정불성(無情佛性)’이 주류를 이루는 과정을 고찰하였다.
    중국불교에서 본격적인 불성론과 돈오를 제창한 것은 바로 도생(道生)에 의한 것이다. 도생은 당시 남방의 혜원(慧遠)의 법성론(法性論)과 북방의 구마라집(鳩摩羅什)의 실상무상(實相 無相)의 반야학을 지양(止揚)하여 불성론과 돈오론을 제창하였다. 그러나 중국선은 남북조 시기에 선정(禪定)을 중심으로 하는 정학(定學)이 주류를 이루었다. 그렇지만 북조 후대에 달마(達摩)의 불성과 반야를 중심으로 하는 선사상(禪思想)이 전래하여 대립의 양상을보였다. 당대(唐代)에 이르러 도신(道信)-홍인(弘忍)의 동산법문(東山法門)으로부터 ‘심(心)’을중심으로 하는 선사상이 본격적으로 대두하였고, 그를 계승한 『육조단경』이 출현하여‘돈오’를 핵심으로 하는 ‘명심견성’의 불성론이 출현하였다. 그러나 ‘안사(安史)의 난’을거치며 사상의 융합을 위해 불교에서 무정불성을 수용하게 되었으며, 특히 ‘회창법난(會昌法難)’ 이후에는 오히려 ‘무정불성’이 후기 조사선의 주류를 이루게 되었다. 이러한무정불성의 수용과 전개는 불교가 중국의 전통 사상과 완전한 융합을 실현한 것이라고평가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paper examines Buddha-nature theory and the theory of sudden enlightenment that emerged after Buddhism was introduced to China. And we examine the process by which Chinese Zen emerged from the conflict between Dìngxué(定學) and Bodhidharma Zen(達摩禪), and later the emergence of the Buddha-nature theory of Míngxīnjiànxìng(明心見性) in the Platform Sutra of the Sixth Patriarch. In addition, we examine the process in which ‘non emotional Buddha nature(無情佛性)’ became the mainstream in the later Patriarchal Seon period that emerged after the Ānshǐ(安史) Rebellion and the Huìchāng((會昌) persecution.
    In Chinese Buddhism, it was Tao Sheng(道生) who advocated the full fledged Buddha-nature Theory and sudden enlightenment. At the time, Tao Sheng subdued the theory of dharma nature of Huìyuǎn(慧遠) in the south and the prajna doctrine of reality and impermanence of Kumarajiva in the north, and developed Buddha-nature theory and the theory of sudden enlightenment.
    However, in Chinese Zen, Dìngxué(定學) centered on Zen was the mainstream during the Northern and Southern Dynasties. However, in the later period of the Northern Dynasty, Zen theory centered on Buddha-nature and Prajna of Bodhidharma(達摩) was introduced, showing an aspect of conflict. In the Tang Dynasty, Zen theory centering on 'mind' emerged in earnest from Dàoxìn(道 信)-Hóngrěn(弘忍)'s Dōngshānfǎmén(東山法門), and the Platform Sutra of the Sixth Patriarch, which succeeded it, emerged in earnest. With this, the Buddha-nature theory of Míngxīnjiànxìng(明心見性)’, with ‘sudden enlightenment’ as its core, emerged. However, after going through the ‘Ānshǐ( 安史) Rebellion’, Buddhism came to accept the non-emotional Buddha nature( 無情佛性) in order to integrate ideas, and especially after the ‘Huìchāng(會昌) persecution’, the ‘non-emotional Buddha nature’ became the mainstream of the later Patriarchal Seon period. This acceptance and development of non emotional Buddha nature can be evaluated as the realization of Buddhism's complete fusion with traditional Chinese though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禪學(선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03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1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