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부바르와 페퀴셰』와 19세기 프랑스 철학의 유심론-유물론 논쟁 (Bouvard et Pécuchet et le débat spiritualisme-matérialisme dans la philosophie française du XIXe siècle)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2 최종저작일 2024.06
33P 미리보기
『부바르와 페퀴셰』와 19세기 프랑스 철학의 유심론-유물론 논쟁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불어불문학회
    · 수록지 정보 : 불어불문학연구 / 138호 / 139 ~ 171페이지
    · 저자명 : 정지운

    초록

    플로베르의 유작 『부바르와 페퀴셰』는 수없이 많은 상호텍스트를 중첩하여 쓰인 작품으로, 19세기의 지성사적 맥락에 대한 이해 없이는 온전히 이해될 수 없다. 본 연구는 철학을 주제로 한 소설의 8장을 연구 대상으로 19세기 프랑스 철학의 중요한 논쟁거리였던 유심론-유물론의 대립이 소설 속에서 재현되는 양상을 분석하고자 한다. 19세기 초, 빅토르 쿠쟁을 기수로 하는 절충주의 유심론은 명백한 도덕주의적 지향 아래에 유물론에 의해 위기에 처한 ‘영혼’의 실체성을 변호하며 국가 공식 철학에 준하는 지위를 차지하고 있었다. 반면 이 시기 유물론은 생리학의 성과들을 흡수하여 영혼과 정신을 육체와 물질의 작용으로 환원하며 유심론에 맞서고 있었다. 8장에서 지속해서 이루어지는 부바르와 페퀴셰 간의 설전은 다양한 상호텍스트들을 압축하여 양 진영의 논거를 병치-대립시키는 방식으로 제시된다. 두 사람의 논의가 진행될수록 둘 모두는 정신과 물질이라는 관념에 대한 회의에 다다르는데, 이는 1850년대를 기점으로 실증주의적 사유로 전회한 플로베르가 유심론과 유물론 모두를 불모의 형이상학으로 간주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정신과 물질의 이분법을 거부하고 현상을 유일한 현실로 간주했던 플로베르의 철학적 사유가 그의 친우였던 이폴리트 텐느의 실증주의적 지각 이론과 맞닿아 있다는 사실은 이를 확인해 준다.

    영어초록

    Cette étude vise à examiner comment Bouvard et Pécuchet de Flaubert, notamment dans le chapitre VIII, représente l'opposition entre spiritualisme et matérialisme qui a marqué la philosophie française du XIXe siècle. Au début du siècle, l'éclectisme spiritualiste dirigé par Victor Cousin occupait une place prépondérante en défendant l’immortalité de l’âme et la moralité contre le matérialisme jugé ‘dangereux’ pour l’ordre social. En revanche, le matérialisme, appuyé par le développement de la physiologie, s'insurgeait contre l'école spiritualiste en réduisant les phénomènes moraux aux actions du corps. À travers les débats incessants entre Bouvard et Pécuchet, Flaubert expose les arguments de ces deux camps de manière concise et représente ainsi l’atmosphère philosophique de l’époque. Au fur et à mesure de leur discussion, les deux personnages tombent dans le doute quant aux notions d'âme-esprit et de corps-matière. Ce développement du récit est lié au fait que Flaubert, s'approchant de la pensée positiviste depuis les années 1850, considère à la fois le spiritualisme et le matérialisme comme des métaphysiques stériles. La similitude entre la pensée flaubertienne de l'illusion et la théorie positiviste de la perception d'Hippolyte Taine met en lumière ce poin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불어불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4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