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신실재론 미학의 쟁점. 그레이엄 하먼의 형식주의 미술론 고찰 (Issues in New Realist Aesthetics. A Study on Graham Harman's Formalistic Art Theory)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2 최종저작일 2022.06
33P 미리보기
신실재론 미학의 쟁점. 그레이엄 하먼의 형식주의 미술론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미학회
    · 수록지 정보 : 美學(미학) / 88권 / 2호 / 75 ~ 107페이지
    · 저자명 : 김남시

    초록

    본 논문은 그레이엄 하먼의 객체지향존재론(OOO)에 입각한 형식주의 미술론을 비판적으로 고찰한다. 하먼의 객체지향존재론은 과거의 철학을 지배해왔던 상관주의에서 벗어나는 탈인간중심주의적 존재론을 지향한다. 그에 따르면 인간은 무수한 객체들 중 한 객체에 다름 아니고 인간의 지각이나 인식 역시 객체들 사이에서 일어나는 일반적인 접촉의 한 양상일 뿐이다. 여기에서 미적경험은 실재객체와 감각성질 사이의 긴장으로 설명된다. 그 출발점은 한 객체에 대한 지각자의 진솔한 몰입으로 생겨난 실재객체와 감각객체 사이의 직접적 접촉이며, 거기에서 지각자는 감각적 성질에서 탈각된 물러난 실재객체 주변에 감각성질을 공전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2000년 출간한 『예술과 객체』를 통해 하먼은 이러한 OOO에 기반한 형식주의 미술론을 제시한다. 그린버그와 마이클 프리드의 형식주의가 인간과 세계의 이항대립이라는 상관주의에 기반해, 예술로부터 감상자 인간을 배제함으로써 예술의 자율성을 확보하려 했다면, 하먼은 작품-감상자 혼성체를 미학의 기본단위로 받아들이는 새로운 형식주의를 제안한다. 하지만 그의 형식주의 미술론은 모든 관계로부터 분리되어 있는 객체 개념으로 인해 첫째, 예술작품에서 유의미한 감상대상 – 객체 –을 규정하기 어렵게 만들고, 둘째, 반-직서주의로 인해 예술작품이 연루되어 있는 실재적 의미층들을 함께 고려하는 걸 금지시키는 등의 문제점을 갖는다.

    영어초록

    This paper critically examines the formalist art theory based on Graham Harman's object-oriented Ontology (OOO). Harman's object-oriented ontology aims for a post-anthropocentric ontology that breaks away from the correlationism that dominated philosophy in the past. According to him, human beings are nothing but one object among countless objects, and human perception or perception is only one aspect of the general contact that occurs between objects. The aesthetic experience is explained as the tension between the real object and the sensual quality. The starting point is the direct contact between the real object and the sensual object, which is created through the sincere absoption of the perceiver into an object, and the perceiver plays the role of revolving the sensual qualities around the real object withdrawn from the sensaul object. In 『Art and Object』 published in 2000, Harman presents a formalist art theory based on OOO. While the formalism of Greenberg and Michael Fried tried to secure the autonomy of art by excluding the viewer and human from art based on the correlationism of the binary opposition between man and the world, Harman accepted the work-viewer hybrid as a basic unit of aesthetics. However, his formalist art theory, first, makes it difficult to define meaningful objects of appreciation in works of art because of the concept of objects separated from all relations, and second, because of anti-literalism, the actual meaning layers in which the works of art are involv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2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4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