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홍산문화론 - 牛河梁 유적과 중국 초기 문명론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Hongshan Culture)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5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2 최종저작일 2014.12
50P 미리보기
홍산문화론 - 牛河梁 유적과 중국 초기 문명론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고대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고대사연구 / 76호 / 5 ~ 54페이지
    · 저자명 : 김정열

    초록

    기원전 5000년기에 요하 일대에서 성립하여 발달하기 시작한 신석기문화의 한 유형, 紅山文化는 중국은 물론 우리 학계도 커다란 관심을 가지는 주제이다. 그것은 이 문화에서 형성된 거대한 규모의 유적과 독특한 형태의 유물이 세인의 주목을 끌기에 충분했을 뿐만 아니라, 이 문화에서 나타난 갖가지 문화 현상이 매우 흥미로우면서도 논쟁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지금 홍산문화에 대한 지견은 매우 부족한 형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중국학계에서, 특히 牛河梁 유적에서 발견된 대형 적석총, 여신묘 등의 대형 유구를 바탕으로 홍산문화가 이미 문명의 단계에 도달했다고 견해가 만연하고 있다. 게다가 일부 연구자는 이 문화가 황제와 그 부족이 창조한 것이며, 따라서 홍산문화는 ‘황제’로부터 시작되는 중국 문명의 원류가 된다고 주장하기도 한다. 한편 국내에서는 특히 유사역사학자를 중심으로 홍산문화는 황제가 아닌 고조선과 관련을 지니고 있으며, 따라서 홍산문화는 오히려 우리 민족사의 원류로 간주되어야 한다는 주장도 제기되어 있다.
    홍산문화의 유적과 유물에서 관찰되는 일련의 현상이 과학적으로 정의된 문명의 그것에 부합되는지에 대해서는 의문의 여지가 있다. 그것은 홍산문화의 유적과 유물을 통해서 문명의 출현을 입증할 만한 증거를 구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홍산문화에서 제사장을 정점으로 하여 형성된 사회구성원의 계층화가 진전되었을 뿐만 아니라, 취락 사이에서도 일정한 상호관계와 서열화가 진행되고 있었다는 사실을 인정한다 해도, 그 정도가 아직 문명의 탄생, 즉 국가의 출현을 의미하는 단계까지 도달했다고 볼 수 없다. 게다가 황제는 신화 속의 인물로서, 漢代 이후에야 중국인의 조상으로서 인격화되는 존재이며, 따라서 홍산문화와 황제와의 관계를 상정하는 것 역시 일종의 넌센스에 불과하다.
    현재 중국학계에서 유행하는 홍산문화의 성격에 대한 주장은 사회적, 정치적 요구에 의해 선험적으로 정의되었으며 과도하게 포장된 혐의가 짙다. 그러므로 홍산문화에서 중국 최초의 문명과 황제의 흔적을 찾으려는 시도는 사실에 부합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학술적인 엄정성을 담보하고 있지도 않다. 홍산문화를 고조선과 연관시키려는 시도 역시 그와 같은 불합리성을 타산지석으로 삼아야 할 것이다.

    영어초록

    The Hongshan Culture紅山文化 is the main subject of academic circles of Korea, as well as of China, which is a type of neolith culture developed on the Liaoheriver遼河 about 4000 B.C.. This is because not only dose the large scale of ruinsbuilt in this culture attracts public attention, but the variety of cultural phenomena in this culture has the character of interesting and disputatious.
    The knowledge of Hongshan Culture is today insufficient. Nevertheless, at the part of Chinese academic circles, it is widely accepted that the Hongshan Culturereached already at the level of civilization, on the ground of the Stone moundtomb and Goddess temple excavated in the ruins of Niuheliang site牛河梁遺址.
    Moreover, while some of scholars claimed that this culture was created by Yellow Emperor king黃帝 and his tribe, thereby that Chinese civilization originated in the Hongshan Culture, in Korea particularly around Pseudogistorian, it was argued that the Hongshan culture related with Gojoseon state古朝鮮, not Yellow Emperorking, so that the culture was rather regarded as the origin of Korean nation.
    However, it is doubtable whether the series of phenomena presented in remainsand relics of Hongshan Culture would be accorded with the those of that civilizationdefined with scientific conceptions. Because through the remains and relics ofHongshan Culture it is difficult to collect the evidence enough to demonstrate riseof civilization. Although we admit the fact that in the Hongshan Culture the mutualrelation and ranking among the Settlement was progressing, as well as the socialstratification was advancing with the chief priest as the peak, it could not be seenat the level of the birth of civilization, that is, the emergence of state.
    Given the Huangdi King was the character in myth, and only after the Han漢 dynasty he could be personification as the ancestor of Chinese, to postulate the relation the Hongshan Culture with Yellow Emperor king do not make sense. The claims of current trends in Chinese academic circles of the character of Hongshan Culture are defined and exaggerated intuitively by the social and political needs. Therefore, the attempts to find the first civilization of China in the Hongshan Culture did not meet with the historical fact, as well as damaging the historical exactness. The claim also that could find the evidence of Gojoseon in the Hongshan Culture pay particular attention to prevent from repeating that irrationalis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고대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9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1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