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마냐타 교회론: 마사이 선교를 위한 선교적 교회론의 모색 (Manyatta Ecclesiology: A Missional Ecclesiology for Maassai Mission)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2 최종저작일 2016.08
31P 미리보기
마냐타 교회론: 마사이 선교를 위한 선교적 교회론의 모색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선교신학회
    · 수록지 정보 : 선교신학 / 43호 / 265 ~ 295페이지
    · 저자명 : 최재룡

    초록

    선교적 교회의 수립을 위해서는 선교현장의 문화적 맥락으로부터 교회와 선교를 새롭게 이해하는 일이 중요하다. 특히 타문화권 선교에서 교회에 대한 이해와 그 조직을 선교현장의 문화적 자원으로부터 이룰 수 있다면 선교 초기부터 현지인들이 주도하는 선교적 교회의 수립이 훨씬 용이할 것이다. 이 논문은 마사이족 선교현장에서 전통문화 자원을 변용하여 선교적 교회의 수립에 활용하는 방안을 모색한다. 이를 위해 상황화의 방법을 사용하였다. 특히 상황화 선교 실천 사이클 중 상황분석과 신학적 성찰 및 선교 전략 모색의 단계에 집중하였다.
    필자가 마사이 전통 문화 가운데 선교 및 교회의 의미를 풍부하게 이끌어내고 새롭게 탑재할 수 있는 개념으로 선택한 것은 ‘마냐타’ 개념이다. 마냐타는 마사이 전사들의 연대체 혹은 그 병영을 지칭하며, 마사이 전통사회에서는 세 가지 역할을 수행했다. 첫째는 공동체 수호자의 역할, 둘째는 마사이적 인간을 길러내는 사회화 기관으로서의 역할이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그 건설과 해체에 이르는 예전적 과정을 통해 하나의 세대집단을 탄생시키고 공동체의 주도세력을 교체하는 공동체 직조의 역할을 수행해 왔다. 마냐타는 완전한 유무상통, 완전한 의사소통, 신의(神意)의 구현체로 여겨지기도 한다.
    마냐타는 ‘하나님의 마냐타’ 혹은 ‘하나님 백성들의 마냐타’ 같은 용법을 통해 교회를 소개하는 개념으로 변용이 가능하다. 이 경우 남녀노소 모두가 참여하는 마냐타라고 하는 새로운 개념이 형성되면서 전통 개념의 변화가 발생하게 될 것이다. 이를 통해 선교 공동체로서의 교회, 배움(교육) 공동체로서의 교회, 예배 공동체로서의 교회 등을 설명할 수 있다. 마냐타 개념을 지역교회 내의 기관과 소그룹들의 조직 단위로도 활용하면 교인들의 주도적 활동과 동질집단 원리를 통한 교회성장도 기대해 볼 수 있다. Missio Dei 선교 서사의 이식, Missio Dei 선교 서사와 기존 중심서사 간의 엮임을 통한 의미의 변화, 변화의 경험을 통한 새로운 서사의 창출 등을 통해 마냐타 시스템을 둘러싼 마사이 중심서사의 변화를 이루어낼 수 있다면 마냐타 교회론을 통한 선교적 교회의 수립은 좀 더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영어초록

    It is important to re-understand the church and mission in the sight of the cultural context when we want to build a missional church. If we can understand and organize a local church with the cultural resources, that will make it easy to build a missional church which is initiated by the indigenous congregation from its beginning. This essay tries transforming ‘manyatta’ a Maassai traditional concept into missional concept according to contextualization method. In particular it focuses on context analysis and theological reflection for strategies.
    manyatta was chosen to be transformed into a key word for Maassaian ecclesiastic term. manyatt’ means a large maassai warrior’s village which is self-governing. There are typically about four manyattas in each tribal section. Traditionally manyatta has three roles. The first is to defend a defined territory and protect the community. Secondly it is a socialization institute which forms maassaianistic human-being. Lastly it weaves the community by its ritual process. And it is managed according to the principles of sharing without exclusive ownership and unanimity in its democratic order.
    It seems possible to call the church as ‘the manyatta of God’ or ‘the manyatta of the people of God’ in maassai context. When we say ‘the manyatta of God’ for the church, a kind of transformation already occurs because it includes children and women not only male adults. We can explain the church as mission community, learning community and liturgic community with the concept of ‘manyatta of God’. We can use it for organizing small groups in a local church, or for church planting project because Maassai people understand that a manyatta can be built and has sub-sections in itself and it orients to be united with other manyattas. But manyatta ecclesiology should be complemented by the transformation of core narratives. The identity, world-view and the sense of value are generated from one’s or a community’s core narratives. If the core narratives around the concept of manyatta can be changed by the missio Dei narrative, manyatta ecclesiology will be more effective in its missional rol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선교신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6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0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