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창발적 이원론은 데카르트적 이원론을 극복하였는가? (Has the Emergent Dualism Overcome the Problems with Cartesian Dualism?)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2 최종저작일 2016.07
30P 미리보기
창발적 이원론은 데카르트적 이원론을 극복하였는가?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가톨릭대학교 인간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인간연구 / 32호 / 91 ~ 120페이지
    · 저자명 : 김남호

    초록

    Smart)와 플레이스(Place)의 심물 동일론(identity theory)의 쇠퇴 이후에 심리철학(Philosophy of Mind) 내에서는 다양한 이론 및 입장들이 등장하였다. 그런 흐름을 타고 데카르트의 후계자들이 새로운형태의 실체 이원론을 모색하기 시작했다. 데카르트의 실체 이원론(substance dualism)은 인간을 신체와 생각하는 것(thingking thing), 즉물질적 실체와 정신적 실체(mental substance)의 결합체로 봄으로써, 인간의 정신적 영역의 실재성을 이론적으로 옹호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20세기에 급속도로 발전한 신경과학은 영혼이나 정신적 실체를 가정하지 않고도, 인간의 정신적 능력 및 현상들의 많은 부분을 과학적으로 설명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그런 이유로 데카르트의 비물질적 실체가 자연 내에 들어설 자리를 점점 더 좁히고 있다. 뿐만아니라, 데카르트적 이원론(cartesian dualism)은 두 상이한 실체가 어떻게 서로 접촉하며, 인과적 영향을 주고받을 수 있는지에 대해 설득력있는 대답을 제시해주고 있지 못하고 있다. 윌리엄 해스커(William Hasker)는 데카르트적 이원론이 직면한 이러한 난국을 창발 이론을 통해 타개하고자 한다. 해스커는 물질적 토대 요소로부터 새로운 실재(entity)가 창발되며, 그 새로운 실재는 그것의 물질적 토대 요소들로환원되지 않는 새로운 형태의 인과력을 행사할 수 있다는 새로운 아이디어를 선보였다.
    본 논문은 해스커의 창발적 이원론(emergent dualism)이 과연 데카르트적 이원론의 난점들을 잘 극복하고 있는지를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논문에서 데카르트적 이원론이든 창발적 이원론이든, 실체 이원론은 해결될 수 없는 ‘인과적 상호작용의 문제’에 직면하게 되거나 아니면, ‘정체성의 위기’에 직면할 수밖에 없음이 드러날 것이다.

    영어초록

    After the decline of the identity theory of Smart and Place, various theories and positions emerged within the Philosophy of Mind. With such tide, the successors of Descartes began to seek a new type of substance dualism. The Cartesian substance dualism regards human as the combination of flesh and thinking thing, or the combination of physical substance and mental substance, to theoretically defend substantiality of mental domain of human. However, the neuroscience, which was rapidly developed in the 20th century, has indicated that many mental abilities and phenomena are explainable scientifically without introducing spirit or mental substance. Therefore, the Cartesian immaterial substance is losing its footing within the nature. Moreover, the Cartesian dualism may not suggest a convincing answer to how two different substances make contact and affect each other. William Hasker is willing to come up with a solution for such adversity of Cartesian dualism through the Emergent Dualism. Hasker brought this new idea that a new entity emerges from the physical foundational element, and this new substance may perform a causal power of new type that may not be returned back to a physical foundational element.
    This thesis is to review whether the Emergent Dualism by Hasker overcomes the adversity of Cartesian dualism. In the paper, the actual dualism, either Cartesian dualism or Emergent dualism, may have to face the problem of causal interaction or the crisis of identi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인간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19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1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