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주희 인심도심론의 윤리학적 성격에 대한 고찰 - 본체론 비판 및 ‘지각’론의 정립과 관련하여 - (Study of Ethical Characteristics of Zhu Xi's Theory about Human Mind and Moral Mind- In Relation to his Critique of Benti(本體) Theory and Establishment of Zhijue (知覺) Theory -)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2 최종저작일 2013.09
30P 미리보기
주희 인심도심론의 윤리학적 성격에 대한 고찰 - 본체론 비판 및 ‘지각’론의 정립과 관련하여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동서철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서철학연구 / 69호 / 158 ~ 187페이지
    · 저자명 : 김우형

    초록

    주희의 인심도심론은 중국철학의 전통적 본체론과 수양론에 대한 비판을 통해 체계적인 윤리학을 세우고자 했던 그의 기획에 따라 정립된 것이다. 주희는 중화논변과 인설논변 과정을 통해 당시 선종에 영향 받은 호남학파의 ‘성체심용설’과 ‘이발찰식법’을 비판하게 된다. 주희는 「관심설」에서 노불의 본체론과 전통유학의 결정적 차이는 인식론(‘지각’론)과 연결된 도덕철학에 놓여 있으며, 그 핵심은 인심도심론이라고 보았다. 이후 주희는 본체론을 ‘지각’에 관한 메타적 분석으로 대체함으로써 윤리학을 정립하려는 자신의 기획에 따라 「중용장구서」에서 인심도심론을 ‘지각’론적(知覺論的)으로 정립하게 된다. 즉, 인심과 도심은 ‘지각’된 내용에 따라 구분되는 것으로서, 인심은 감각지각을 가리키고 도심이란 도덕적 본성으로부터의 당위명령에 대한 자각을 의미한다. 모든 인간은 인심과 도심을 가지지 않을 수 없으며, 인심이 있어야만 당위준칙의 자각으로서의 도심도 성립 가능하다. 그러나 도덕의 관건은 인심과 도심의 갈등 상황에서 도심을 선택하는 의지의 문제에 놓여 있다. 이 논문에서는 이러한 의지의 문제를 ‘정일’의 수양과 모든 실천적 수양법을 수렴하는 경(敬)과 관련시켜 논의해보았다. 그리고 주희의 인심도심론의 특징으로서 의무론과 자율도덕적 성격, 그리고 덕 윤리학을 포함하는 포괄성과 보편성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결론적으로, 주희의 인심도심론은 공자와 맹자 등 고전유학의 도덕철학을 계승하고 포괄하되, 현재 우리에게 절실하게 필요한 보편적이고 체계적인 윤리학으로서 손색이 없다는 것이 필자의 논지이다.

    영어초록

    This paper intends to elucidate that Zhu Xi's theory of human mind and moral mind (renxin 人心 and daoxin 道心, HMMM hereafter) was established according to his project to set up systematical ethics by criticizing the benti 本體 theory (Chinese traditional ontology) and self-cultivation theory. Through the dispute with Hunan school, Zhu Xi realized that there is a critical difference between Buddhism-Taoism and Confucianism: Confucianism has moral philosophy connected with epistemology, the core of which is the theory of HMMM. After that, Zhu Xi established the theory of HMMM by switching from the benti theory to the meta-analysis of zhijue 知覺 (cognitive activity) from the epistemological point of view. According to his thought, while HM stands for the sense perception formed from body, MM means the awareness of moral imperative issued from human nature. All human beings have both of them, and MM can be manifested only in the middle of HM. The core of Zhu Xi's ethics of HMMM lies in the free will which has to choose between HM and MM. Zhu Xi's ethics shows the characteristics of deontology and moral autonomy which make internal motivation and imperative as moral criterion rejecting any external authority including virtue and ritual (li, 禮). This is a distinctive aspect differentiated from traditional Confucianism such as Confucius, Mencius, and Xunzi which centered on virtue and ritual. However, we need to regard Zhu Xi's theory of HMMM as the inclusive and universal ethics needed for the futu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서철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5월 22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5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