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인심도심의 일원론화-노수신 심론의 경험적 읽기- (Monistic Theory of Human Mind-Moral Mind: Experiential Reading of Noh Susin's Mind Theory)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2 최종저작일 2018.12
28P 미리보기
인심도심의 일원론화-노수신 심론의 경험적 읽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범한철학회
    · 수록지 정보 : 범한철학 / 91권 / 4호 / 75 ~ 102페이지
    · 저자명 : 서영이

    초록

    이 논문의 주된 목적은 노수신(盧守愼)의 인심도심론이 가지는 경험적 함의를 검토하고, 그것의 현재적 생명력을 드러내는 것이다. 1)노수신은 나흠순(羅欽順)의 논의에 따라 도심을 미발의 체(體)로, 인심을 이발의 용(用)으로 규정, 인심도심체용론(人心道心體用論)을 주장한다. 2)그의 심(心)은 ‘성(性)-정(情)’을 관통하여 ‘도심[性・體]-인심[情・用]’으로 구조화되며, 도심은 위태로운 인심에 대하여 도덕적 본질을 실현하는 ‘축’으로 이해된다. 이는 도심 중심의 ‘일원론화’를 지향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3)이러한 논의에는 심・성 불리(不離)의 절대적 강조가 내재되어 있다. 그러나 형이상・하가 혼융무간(混融無間)으로 존재한다는 노수신의 주장이 심・성을 하나로 보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그의 심・성은 ‘둘이지만 하나처럼’ 존재하기 때문이다. 이는 ‘심즉리(心卽理)’의 담론과 구분점을 갖는 지점이기도 하다. 노수신의 인심도심론은 성리학과 함께 인간에게만 적용되는 ‘인간다움’의 본질을 가정, 도심에 자연한 질서를 부여했다는 점에서 여전히 ‘관념적’으로 보인다. 노수신의 ‘범주화’는 과학적으로 해명된 마음의 본성과 일치하지 않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의 인심도심론은 본성과 대척점에 배치했던 몸을 ‘우리의 조건’으로 수용했다는 점에서 ‘관념적 성리학’을 ‘경험적 성리학’으로 전환시키는 데 중요한 계기를 제공했다. 그것은 ‘의식적으로 원하는 가치들’이 ‘우리의 몸’과 무관하지 않음을 주장, ‘지상적인 덕’을 제안한 것이다. 16세기 중엽, 조선은 ‘주자학의 시대’다. 주희의 마음에 대한 범주화를 뒤집는 일은 당시의 지적 전통 안에서 거북한 도전을 넘어 ‘사회적 타자’를 자처하는 일이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노수신의 급진적인 도전은 우리의 현실에 한층 다가서는 철학적 도약이었다.

    영어초록

    The major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review the experiential implications of Noh Susin's Human Mind-Moral Mind Theory and reveal its current vitality. 1) Noh defined Moral Mind as Ti of Wei-fa and Human Mind as Yong of Yi-fa according to the logic of Luo Jin Shun and argued the Ti-Yong Theory of Human Mind-Moral Mind. 2) His Mind penetrates ‘Nature-Emotion' and is structured into ’Moral Mind[性・體]-Human Mind[情・用].' Moral Mind is understood as ’Chuk' to practice moral essence for risky Human Mind. This means that he was oriented toward ‘Monistic Theory' centered around Moral Mind. 3) These discussions have an absolute emphasis on Mind-Nature Bulli inherent in them, but Noh's argument that they should exist as metaphysical and physical are not separated from each other does not mean that he regarded Mind and Nature as one because his Mind and Nature existed ’like one even though they were two.' It is at this point that his theory was distinguished from the discourse of 'Simjeukli.' Noh's Human Mind-Moral Mind Theory still seems ‘ideological' in that it assumed the essence of ‘being human' applied only to human beings and granted the order of nature to Moral Mind along with Neo-Confucianism. His ‘categorization' does not match the nature of the mind that has been explained scientifically, but his Human Mind-Moral Mind Theory offered an important opportunity to convert ’ideological Neo-Confucianism' to ‘experiential Neo-Confucianism' in that it accepted the body at the opposite end from nature as one of ’our conditions.' He maintained that the ’values that we want consciously' have something to do with ‘our body,' proposing ‘realistic virtue.’ In the middle 16th century, Joseon was in the ‘era of Chu Hsi studies.' Overturning his categorization of mind was to claim oneself as ’social other' beyond an uncomfortable challenge within the intellectual tradition those days. Noh's radical challenge was, however, a philosophical leap closer to our reali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범한철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2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0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