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근대 시학을 향한 김억의 모색과 도정* ―1930년 전후 문예론과 시형론(詩形論)을 중심으로 (Kim Eok's Search and Journey Towards Modern Poetics - Focusing on literary theory and poetic form theory around 1930s)

4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2 최종저작일 2024.08
44P 미리보기
근대 시학을 향한 김억의 모색과 도정* ―1930년 전후 문예론과 시형론(詩形論)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시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시학연구 / 79호 / 197 ~ 240페이지
    · 저자명 : 김진희

    초록

    한국시문학사에서 서구 상징주의 문학 번역과 창작을 통해 자유시를 선도하던 김억의 문학은 1925년 전후 조선적이고, 전통적인 방향으로 선회하는 것으로 평가되어 왔으며, 이런 변화의 결과로서 「격조시형론 소고」는 대표적으로 논의되어 왔다. 본 연구는 1930년 전후 조선-민족-전통과 관련지어 연구되면서 제한적으로 평가되어 온, 예술과 시의 본질적인 가치와 상징주의 시에 대한 탐구를 중심으로 근대시학의 정립을 향해 나간 김억의 문학의식 및 모색의 과정을 고찰했다. 이런 논의를 위해 1920년대 중반에서 30년까지 집필된 김억의 주요 평문들을 목록화하고 그 내용을 간략히 밝힘으로써 조선적 이념으로 국한되지 않는 문학적 특성들을 제시했다. 김억은 예술의 본질적 가치와 하위 장르인 시가(詩歌)의 독립적 가치를 주장했는데, 이러한 인식은 공리적 주제를 내세우는 카프나 특히 주요한, 이광수 등의 국민문학파와 차별화되었다. 김억은 ‘조선’ 문학이란 전통이나 민족의 복원이 아니라 현대, 즉 오늘날 조선의 현실, 사상, 감정이 담긴, 동시대성을 강조하는 문학임을 주장함으로써 국민문학파와 차별화되었고 실천성을 담보한다. 그리고 시론, 작가론, 작품론 등에서 상징주의와의 관련성이 당시 문학의식에 중요한 근거가 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특히 격조시형론의 집필 동기로 제시하는 음률, 음악성, 정조 등의 탐구는 김억이 참조했던 도이 고우찌[土居光知]의 『文學序說』 ‘시형론’에서도 드러난 바, 상징주의에 기반한, 두 문인의 유사한 의식을 읽을 수 있었다. 그리고 김억은 조선의 감정을 표현할, 현대 민요의 가능성을 서구 상징주의 시인들의 창작에서 영감을 얻었으며, 자유시형에서 정형시형으로의 변화가 조선만이 아니라 서구 상징주의에서도 동일하게 나타나는 세계 문화적 현상이었음을 빠르게 인식하고 있었다. 이런 사실은 한국 상징주의 수용에서 의미 있는 또 하나의 문학사적 지점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김억은 1920년대 중반이후 서구-상징주의와 전통-민요 등의 시가를 넘나들면서 조선의 감정을 표현하기 위한 공동의 시형을 고민했고, 이런 과정은 그가 1910년대부터 서구 상징주의를 통해 조선의 근대시를 선도해왔던, 근대시학 정립을 향한 모색과 노력의 과정이었다.

    영어초록

    In the history of Korean poetry, Kim Eok's literature, which pioneered free verse through translations and creations of Western symbolist literature, has been evaluated as turning toward a Joseon-style and traditional direction around 1925, and "A Brief Study of the Forms of Classical Poetry" has been discussed as a representative example of this change. This study examines Kim Eok's literary consciousness and the process of his exploration of the essential value of art and poetry and symbolist poetry, which have been evaluated in a limited way while being studied in relation to Joseon-nation-tradition around 1930, and has moved toward the establishment of modern poetics. For this discussion, I have listed Kim Eok's major critical writings written from the mid-1920s to 1930 and briefly explained their contents, thereby presenting literary characteristics that are not limited to Joseon-style ideology. Kim Eok asserted the essential value of art and the independent value of its subgenre, poetry, and this perception differentiated him from the national literature school, such as KAPF and especially Joo Yo-han and Lee Gwang-su, who advocated utilitarian themes. Kim Eok ensured practicality by asserting that ‘Joseon’ literature is not a restoration of tradition or the nation, but rather a literature that emphasizes the contemporary nature of Joseon today, containing its reality, thoughts, and emotions. In addition, the connection with symbolism is also widely shown in critical writings such as theories on poetry, theories on writers, and theories on works, showing that symbolism was still an important factor influencing Kim Eok’s literary consciousness. In particular, the exploration of rhythm, musicality, and sentiment, which he presented as the motivation for writing the theory of formal poetry, was also revealed in the ‘Theory of Poetry’ of Doi Kouchi’s ‘Preface to Literature’, which Kim Eok referred to, and we can read the similar consciousness of the two writers based on symbolism. And Kim Eok was inspired by the creations of Western symbolist poets to find the possibility of modern folk songs expressing Joseon’s emotions, and he quickly recognized that the change from free verse to formal verse was a global cultural phenomenon that appeared equally in Western symbolism as well as in Joseon. This fact is another significant literary historical point in the acceptance of Korean symbolism. As described above, Kim Eok pondered over a common poetic form to express Joseon’s emotions while moving between Western symbolism and traditional folk songs since the mid-1920s, and this process was the process of his search and efforts toward establishing modern poetics, leading Joseon’s modern poetry through Western symbolism since the 1910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시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0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3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