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전통 도덕교육론과 현대 도덕교육론의 구도 비교 (A Comparative Study on the Structures of Traditional Moral Education Theory and Contemporary Moral Education Theory)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2 최종저작일 2007.09
27P 미리보기
전통 도덕교육론과 현대 도덕교육론의 구도 비교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윤리학회
    · 수록지 정보 : 倫理硏究 / 1권 / 66호 / 291 ~ 317페이지
    · 저자명 : 김철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전통 도덕교육론과 현대 도덕교육론의 구도를 비교하여 양자 간의 소통가능성을 탐색하는데 있다. 탐구 대상으로는 전통 도덕교육론에서는 율곡과 다산을, 현대 도덕교육론에서는 특정 인물의 이론이 아니라 7차 도덕과 교육과정(2007년 개정 도덕과 교육과정 포함)을 선정하였다. 이론들 간의 비교 기준은 ‘현실에 대한 문제의식’, ‘선악의 근원’, ‘선악의 의미’, ‘이상적 인간의 모습’, ‘이상적 인간으로 향하게 하는 방법론’이라는 다섯 가지 요소로 설정하였다. 이러한 요소들을 따라 개별 이론들을 탐구하여 율곡의 도덕교육론은 ‘회귀(回歸)의 구도’로, 다산의 도덕교육론은 ‘확충(擴充)의 구도’로, 7차 도덕과 교육과정은 ‘작위(作爲)의 구도’로 그 성격을 규정하였다. 결론 부분에서는 이처럼 각각 성격을 달리하는 구도들을 비교하여 소통가능성에 대해 다음과 같은 의견을 제시하였다. (1) 세 가지 구도 모두를 일관하는 공통점은 비도덕적인 현실을 도덕교육을 통해 교화할 필요가 있다는 실존적 문제의식과 악에 대한 비실체론적 관념이 보일 뿐이다. 이러한 결론은 도덕교육론이란 시대적 상황과 결부된 특수성을 지닐 뿐이기에 전통과 현대의 소통가능성은 기대할 수 없는 것처럼 보이게 한다. (2) 그렇지만 개별적인 두 가지 구도들 사이에서 다음과 같은 부분적 유사성을 발견할 수 있었는데, 이는 구도들 간의 소통가능성을 열어주는 단초들이 될 수 있다. 율곡의 형이상학적 리와 다산의 신학적 상제 개념은 매우 대조적이지만, 보다 큰 관점에서 보면 모두 도덕교육의 정당성을 확보해야 한다는 문제의식에서 비롯된 것이다. 다산이 성리학의 본연지성 대신 성기호설을 제시한 것이나 현대 도덕과 교육과정이 본성을 적극적으로 정의하지 않는 것은 모두 도덕교육이 내면의 공허한 관념에 매몰되지 말고 실질적인 행동으로 나타나야 한다는 문제의식에서 비롯된 것이다. 2007년 개정 도덕과 교육과정에서 자연과의 관계를 별도의 영역으로 설정하여 율곡의 일태극(一太極)의 세계관과 유사성이 드러나게 된 것은 도덕교육의 영역을 인간을 넘어서는 영역으로 확대하여 환경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의식에서 비롯된 것이다. 이처럼 도덕교육론들은 그 구도나 부분적인 요소들에 있어 차이점이 많지만 공통적인 문제의식을 공유할 때에는 유사한 해결 방안을 보이고 있다. (3) 이처럼 현대와 전통의 소통가능성은 우리가 어떤 문제의식을 지니고 있는가에 달려있다. 그런 점에서 개정 교육과정이 인간과 자연과의 관계에 대한 관점을 재정립할 필요성을 제기한 것은 현대 도덕교육론이 이 문제에 대해 깊은 통찰과 경험을 지닌 전통 도덕교육론과 소통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는 것이다.

    영어초록

    A Comparative Study on the Structures of Traditional Moral Education Theory and Contemporary Moral Education Theory

    In this study I investigated the communicability between traditional moral education theory and modern moral education theory through the comparison of Yulgok, Tasan and the 7th moral education curriculum. First of all, I categorized five elements of each moral education theory, which are (1) the problem consciousness of the real, (2) the origins of good and evil, (3) the meaning of good and evil, (4) the ideal type of human being, and (5) the method of moral education in leading an immoral man to become the ideal.
    On the basis of these investigations, I suggested (A) Yulgok`s moral education theory as having the structure of recurrence, (B) Tasan`s moral education theory as having the structure of enlargement, and (C) 7th moral education curriculum as having the structure of making.
    These three structures have both commensurability and incommensurability. They have commensurability in that they start from universal and existential problem consciousness inevitable to human beings. The three structures also have incommensurability in that they are given on the basis of different world views and concepts. But the incommensurability is alleviated between each individual theory. There is a new similarity between A and C that wasn`t seen between A and B, B and C. Therefore we might say that the structure of A, B and C are not incommensurable paradigms, but games having a family resemblance existing among diverse games played by common rules. Then we need to adapt each structures’ merits to contemporary society by way of re-comprehending and coordinati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1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4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