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도재(陶齋) 윤흔(尹昕)의 도통론(道統論) 고찰 (A Study on Dojae Yoon Heun's System of Tao)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2 최종저작일 2022.08
25P 미리보기
도재(陶齋) 윤흔(尹昕)의 도통론(道統論)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유학연구 / 60권 / 1 ~ 25페이지
    · 저자명 : 황교은

    초록

    본고는 주로 17세기 전반기에 문인 관료로 활약한 도재(陶齋) 윤흔(尹昕, 1564~1638)의 도통의식(道統意識)에 관해 고찰하였다. 윤흔은 오음(梧陰) 윤두수(尹斗壽)의 아들이며 월정(月汀) 윤근수(尹根壽)의 조카이자 우계(牛溪) 성혼(成渾) 의 제자로, 서인(西人)을 대표하는 가문의 자제였다. 광해군 대에 칠서(七庶)의 옥(獄)으로 벼슬에서 물러났다가 인정반정 이후 다시 정계에 진출하여 예조 참판까지올랐다.
    그는 우리나라 도학(道學)의 전통에 관심을 갖고 ≪도동편(道東編)≫을 저술했는데, 이 책은 기자(箕子)로부터 이이(李珥)에 이르기까지 22명을 선별 정리해서 우리나라 도통(道統)의 계보를 밝힌 것이다. ≪도동편≫을 집필할 당시에는 정몽주(鄭 夢周) ― 길재(吉再) ― 김숙자(金叔滋) ― 김종직(金宗直) ―김굉필(金宏弼) ― 정여창(鄭汝昌) ― 조광조(趙光祖) ― 이언적(李彦迪) ― 이황(李滉)으로 도통의 계보를 잇는 것이 일반적인 견해였다. 이러한 견해는 대체로 영남학파의 주장이고 이이(李珥) 및 율곡학파의 입장과는 다소 차이를 보이는데, ≪도동편≫은 영남학파의 주장에 가까우면서도 독자적으로 내세운 인물이 여럿이다. 대표적인 예가 최충(崔沖), 우탁(禹倬), 김정(金淨), 김안국(金安國), 김정국(金正國), 서경덕(徐敬德), 이황(李 滉), 김인후(金麟厚), 유희춘(柳希春), 노수신(盧守愼), 기대승(奇大升)이다.
    ≪도동편≫이 현전하지 않지만 그의 문집에 남아 있는 「도동편발(道東編跋」과22명의 「찬(贊)」을 통해 전체적인 면모를 파악할 수 있는데, 그 특징으로는 학문과실천을 중심으로 선발한 것을 알 수 있다. 학문은 성리학(性理學)과 유학(儒學)에 관한 학문적 성과와 이를 바탕으로 얼마나 실천을 했는지를 다루면서, 修己와 治人, 內聖과 外王의 측면을 똑같이 중시하였다. 일반적인 도통의 계보보다 폭넓게, 그리고 당파나 학파를 초월하여 인물을 선발한 특징도 가지고 있다.

    영어초록

    This paper discusses the consciousness for the system of Tao of Dojae Yoon Heun (1564-1638), a civil official in the 17th century. He was a representative scholar of Western faction, as a son of Oum Yoon Doo-soo, a nephew of Woljung Yoon Geun-soo, and a pupil of Woogye Sung Hon. He temporarily left the government following the Incident of Seven Bastards during Gwanghaegun’s reign, but returned after the coup of 1623 and served as Deputy Minister of Yejo (Ministry of Rites).
    Yoon Heun wrote Dodongpyeon (道東編) based on his deep interest in the tradition of Korea’s studies of Tao. In this book, a total of 22 scholars from Kija to Yi I were selected as the key elements that consist of the genealogy and history of the Tao system in Korea.
    In those days when Yoon Heun was writing Dodongpyeon, the majority opinion, supported by mainly Yeongnam School, was that the tradition of Tao system was passed down from Jeong Mong-ju to Gil Jae, Kim Sook-ja, Kim Jong-jik, Kim Goeng-pil, Jeong Yeo-chang, Jo Gwang-jo, Yi Eon-jeok, and Yi Hwang. Yoon Heun’s argument, while being differentiated from Yi I and Yulgok School, was similar to that of Yeongnam School with some distinguishable scholars added. They were Choe Chung, Woo Tak, Kim Jeong, Kim Ahn-kook, Kim Jeong-kook, Seo Gyeong-deok, Yi Hwang, Kim In-hu, Yoo Hee-chun, No Su-sin, and Ki Dae-seung.
    Although no copy of the book Dodongpyeon exists at present, it is implied from his anthology, especially Dodongpyeonbal (道東編跋)and Chan (贊), that the 22 scholars were selected based on their academic excellence and translation into practice. Yoon Heun focused on the academic performance in Confucianism and Neo-confucianism, with emphasis on the balance between self-cultivation and societal governance, and inner sage and outer king. He approached to the genealogy from a broader perspective than Tao system in general, selecting scholars regardless of their faction or school.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유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23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0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