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불교 존재론, 인식론, 진리론이 가지는 불교심리치료적 함의 - 연기, 세계, 인간을 중심으로 - (Buddhist Psychotherapeutic Implications of Buddhist Ontology, Epistemology, and Theory of Truth - Focusing on Dependent Origination, World, and Human Being -)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2 최종저작일 2023.05
31P 미리보기
불교 존재론, 인식론, 진리론이 가지는 불교심리치료적 함의 - 연기, 세계, 인간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불교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불교학 / 106호 / 241 ~ 271페이지
    · 저자명 : 윤희조

    초록

    불교심리치료는 불교심리학에 기반하고, 불교심리학의 주제가 되는 마음은 존재론, 인식론, 진리론이라는 불교철학의 영역에 의해서 영향을 받는다.
    서양철학의 전통적인 존재론이 실체론적 존재론이라면, 불교철학의 존재론은 생멸론적 법론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법론(法論) 또는 담마로지(dha mmalogy)는 비실체성을 특징으로 하며 치유의 가능성, 치유의 가능근거, 치유의 지향점을 제시하고 있다. 인식론은 감각기능과 감각대상인 십이처를토대로 인식주체의 보편적이고 고유한 인식론으로 성립하게 된다. 매순간감각이라는 인식을 통해서 새로운 세계가 생멸적으로 열리게 되고, 어떤 세계를 개현할지는 인식주체의 선택에 놓이게 된다.
    인식주체가 인간으로 확정되면 사성제가 진리론으로 등장한다. 고성제의유위법과 멸성제의 무위법은 대응적 진리의 특징을 가지고, 집성제와 도성제는 원인론과 방법론으로 정합적 진리의 특징을 가지고, 사성제 전체는 멸성제의 실현이라는 실현적 진리의 특징을 가진다. 그리고 사성제 각각은 현상론, 원인론, 목적론, 방법론으로 볼 수 있고, 이는 포괄적 진리의 특징을가진다고 할 수 있다. 사성제는 대응적 진리, 정합적 진리, 실현적 진리, 포괄적 진리의 특징을 가진다. 사성제에서 ‘성’은 ‘고귀한’, ‘성자의’라는 의미와 함께 ‘고귀함으로’, ‘성자로’로 해석할 수 있다. 전자의 두 해석은 전통적해석인 반면, 세 번째 해석은 고를 고귀함으로 또는 성자로 나아가는 촉발자의 역할로 해석하는 지향적 해석이다.

    영어초록

    Buddhist psychotherapy is based on Buddhist psychology, and the mind, which is the subject of Buddhist psychology, is influenced by the areas of Buddhist philosophy: ontology, epistemology, and theory of truth. While the traditional ontology of Western philosophy is a substantial ontology, the ontology of Buddhist philosophy is dhammalogy. The biggest feature of dhammalogy can be said to be no-self, that is, non-substance. In the dhammalogy, the possibility of therapy, the basis for the possibility of therapy, and the direction of therapy are presented. Dhammalogy is equal in extension to theory of dependent origination. Epistemology is established as a universal and unique epistemology of the subject of cognition. Every moment, through the perception of the senses, a new world is born and destroyed. It is the responsibility of the perceiving subject to decide which world to open.
    The Four Noble Truths represent the theory of truth. The Noble Truth of Suffering and the Noble Truth of the Cessation of Suffering have the characteristics of corresponding Truth, the Noble Truth of the Cause of Suffering and the Noble Truth of the Path have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herent Truth, and the entire Four Noble Truth has the characteristic of the realization of the Noble Truth of the Cessation of Suffering. And each of the Four Noble Truths can be seen as phenomenology, aitiology, teleology and methodology. The Four Noble Truths can be viewed in terms of correspondence theory of truth, coherence theory of truth, realization theory of truth, and inclusiveness theory of truth. In the Four Noble Truths, 'ariya' can be interpreted as 'to nobility' and 'to the saint' along with the meanings of 'noble' and 'saint'. The last two interpretations are traditional interpretations, while the first interpretation interprets suffering as acting as a trigger to nobleness or sainthoo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불교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5월 21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0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