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토대론 대 정합론 논쟁과 직접적 정당화 (The Debate between Foundationalism vs Coherentism and Immediate Justification)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2 최종저작일 2014.03
25P 미리보기
토대론 대 정합론 논쟁과 직접적 정당화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동서철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서철학연구 / 71호 / 463 ~ 487페이지
    · 저자명 : 한상기

    초록

    현대 인식론에서 중요한 논쟁 중 하나는 토대론 대 정합론 논쟁이다. 그렇다면 토대론과 정합론 사이의 핵심 쟁점은 무엇인가? 그것은 직접적이거나, 기초적이거나, 토대적인 종류의 믿음이 있는가 하는 것이다.
    직접적 정당화가 있다고 주장하는 대표적 철학자로는 제임스 프라이어(J. Pryor)와 앨빈 골드맨(A. Goldman)을 들 수 있다. 그 중 프라이어는 최근에 기존의 논의를 뛰어넘어 직접적 정당화의 존재를 주장하는 논증을 적극적으로 제시하였다. 그는 보통 토대론을 옹호하는 논증으로 간주되어온 정당화 무한후퇴 논증(infinite regress argument)이 토대론을 옹호하는 최선의 논증이 될 수 없다고 보고, 두 가지 전략을 사용하여 직접적 정당화의 존재를 주장한다. 하나는 직접적 정당화의 사례를 예로 드는 긍정적 전략이고, 다른 하나는 정합론을 옹호하는 주 논증(master argument for coherentism)을 반박하는 부정적 전략이다. 이러한 두 가지 전략을 통해 프라이어는 직접적 정당화가 존재한다는 결론을 내리고 있다.
    이 논문은 우선 왜 무한후퇴 논증이 기존의 통념과 달리 토대론을 옹호하는 최선의 논증이 될 수 없는지 짚고 넘어가려 한다. 그런 다음 직접적 정당화의 존재를 주장하는 프라이어의 긍정적 전략과 부정적 전략을 소개하고, 이 전략을 통한 프라이어의 구체적 논증과 주장을 살필 것이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그의 견해가 함의하거나 언질을 주는 원리들을 검토함으로써 직접적 정당화의 존재를 주장하는 그의 논증을 비판적으로 검토할 것이다.

    영어초록

    One of the most important debates in contemporary epistemology is the debate between foundationalism vs coherentism. What is, then, the central issue between foundationalism and coherentism? It is whether a species of justification that is immediate, basic, or foundational.
    J. Pryor and A. Goldman, and others hold that there is immediate justification. Among others, J. Pryor have developed impressive arguments that there is immediate justification in recent times. According to him, the best argument in its support is not the infinite regress argument, according to which unacceptable alternatives lend support to the conclusion that there must be immediate justification. He uses two strategies to establish the conclusion that such justification exists. First, he argues that the best way to defend the existence of immediate justification is to cite examples of such beliefs, such as “I am tired” or “I have a headache.” Secondly, he provides support immediate justification by criticizing what he calls “Master Argument for Coherentism.” And he concludes that there is immediate justification.
    This paper first considers reasons why the infinite regress argument is not able to be best way to defend foundationalism. And then, I explain Pryor’s two strategies, positive and negative, to establish the view that there must be immediate justification. Finally, I examine principles to which a view like Pryor’s is committed. Each of these principles is, by itself, highly plausible, but they are inconsistent each othe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서철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0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