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一圓相眞理」의 本體論과 現象論 小考 (A Study on Essentialism and Phenomenalism of the Truth of Il-won-sang)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2 최종저작일 2019.03
32P 미리보기
「一圓相眞理」의 本體論과 現象論 小考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 수록지 정보 :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 79호 / 49 ~ 80페이지
    · 저자명 : 허종희

    초록

    이 글은 원불교학의 과제를 제언하고 원불교학(圓佛敎學)의 심화·확장을 위한 단서를 모색하기 위한 출발이다. 그동안 원불교학은 본체와 현상이 일원론적(一元論的)으로 상즉하다는 측면에서 진리를 해석해왔다. 하지만, 염오(染汚) 의 현상에 대한 문제를 설명하지 못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원불교의 진리관및 신행관 등의 확장이 멈춰있다.
    원불교학의 바탕인 소태산의 「일원상진리」에 관한 사상은 이미 보편론적기반을 지니고 있다. 왜냐하면, 소태산이 불법(佛法)을 주체로 하겠다고 선언하면서 원시불교 이래 대승불교에 이르기까지 불교교리 발달사와 신앙 발전사를 통해 확립되어온 법신불(法身佛) 사상을 받아들였기 때문이다. 그러나 아직 원불교는 길지 않은 역사 속에서 「일원상진리」에 관한 본체론과 현상론 및신행론 등의 문제에 있어서 정치한 해석학의 체계가 완비되지 못한 점이 있다.
    한편, 대승불교사상사의 총괄적 통합서라 볼 수 있는 『대승기신론』에서는불일불이(不一不二)의 진리관을 펼치고 있다. 즉 진여(眞如)의 본체를 바탕으로하여 생멸의 현상세계가 전개된다고 하는 여래장(如來藏)연기설을 강조하면서, 이에 근거하여 생멸현상의 중생으로 하여금 진여본체의 세계로 향하는 신행의 길을 제시한다. 즉 진여와 생멸이 하나로 통합하되 결국 진여로의 귀결을강조하는 이일이(二而一)의 여래장사상을 전개하고 있다. 이는 초기불교의 무아론 및 대승불교의 공사상이 비어있음에 멈추지 않고, 불성·여래장사상을거쳐 천태의 성구(性具)사상과 화엄의 성기(性起)사상, 나아가서는 밀교의 대일여래(大日如來)사상으로까지 확장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사상의 흐름은원불교학의 보편화를 위한 단서를 제공해주고 있다. 「일원상진리」의 구조적해석에 영감을 제공할 뿐 아니라, 「일원상진리」의 본체론과 현상론의 기반을구축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이처럼, 2세기 원불교학의 미래를 열어가기 위해보편론적 논의를 바탕으로 해서 원불교의 종교적 정체성을 세워나가는 과제를 제언(提言)하고자 한다.

    영어초록

    The starting point of this paper was an attempt to present challenges to be resolved the Won-Buddhist studies and to find a way to deepen and expand the influence of this religion. The Won-Buddhism studies have interpreted the truth, relying on the idea of mutualism that assumes the essence of existence is revealed on phenomena as it is. However, since this view does not fully highlight the problem of phenomena, the explanation of Won-Buddhism remains at the level of Apologeticum centering on truth and faith and practice.
    Sotaesan’s idea on the truth of Il-won-sang, which forms the basis of WonBuddhism, already embraces the foundation of universalism. It is because Sotaesan declared to focus on the Buddha-dharma and the most importantly, accepted the idea of dharma-kaya Buddha, which had been established in the history of Buddhist doctrines and faith from ancient Buddhism to Mahayana Buddhism, as the essence of the Won-Buddhist faith. However, in the short history of the religion, the hermeneutic system of Won-Buddhism is not fully stabled yet related to the problems of the truth of Il-won-sang, including the understandings in terms of essentialism, phenomenalism, and faith and practice.
    The idea of Buddhism has been historically developed to focus on its view of truth, called ‘neither sameness nor disparity’, utilizing the idea of Tathagatagarbha to show living beings a direction to move toward from the world of phenomena with arising and ceasing to the essence of Tathata.
    This flow of ideas provides us with clues how the Won-Buddhist studies could be universalized. It will provide not only inspiration on the structural interpretation but also the foundation to understand the truth of Il-won-sang related to the essence of existence and phenomena. Won Buddhism, which has entered into the second century, should establish a religious identity based on this universal argument and open a path toward the futu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5월 15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