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다산 수양론에서 인심도심론의 위상 (The Status of Human Mind and Moral Mind Theory in Tasan’s Theory of Cultivation)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2 최종저작일 2024.03
35P 미리보기
다산 수양론에서 인심도심론의 위상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국학진흥원
    · 수록지 정보 : 국학연구 / 53호 / 485 ~ 519페이지
    · 저자명 : 박병만

    초록

    이 논문은 다산 정약용의 인심도심론이 그의 수양론 전반에서 어떠한 위상을 지니는가를 검토한 것이다. 다산은 심의 작용으로 다양하게 일어나는 모든 마음을 인심·도심으로 이분화하였다. 이 두 마음을 예비 악과 예비 선이라는 가치적으로 대립하는 관계로 파악하여 선·악과 공·사가 모두 이 두 마음으로부터 비롯한다고 규정하였다. 또한, 악의 발생 원인을 양심의 함닉과 인심의 문제로 인식함으로써 인심·도심은 수양 공부의 기본축을 이루었다. 이로써 도심의 배양을 뜻하는 ‘솔성率性’과 인심의 제재를 뜻하는 ‘치심治心’이 다산수양론의 기본 구조를 이루게 된다. 그러므로 다산의 인심도심론은 신독·집중과 같은 단지 하나의 공부론이 아니라 그의 수양론 전반을 아우르는 총체적인 성격으로서의 위상을 지닌다고 할 수 있다.
    다산이 새로운 해석을 통해 제시한 신독·충서·극기·집중 공부와 대체소체론 등은 모두 인심·도심을 어떻게 할 것인가의 문제로 귀결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서경 「대우모」의 “人心惟危, 道心惟微, 惟精惟⼀, 允執厥中”에 대한 주자의 해석을 비판하며 ‘인심유위, 도심유미’와 ‘유정유일’, ‘윤집궐중’은 서로 연결성이 없다고 주장하였다. 하지만, 인심·도심에 대한 이러한 진술의 요지는 수양의 요체라고 극찬하며 존숭하는 태도를 보였다. 이는 인심·도심에 대한 다산의 수양론적 인식이 주자와 매우 다르며, 다산이 인심·도심의 문제에 대해 매우 중요한 가치를 두고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이러한 점들을 통해 다산의 인심도심론이 「대우모」의 16자를 기반으로 한 하나의 공부론이 아니라 그의 수양론 전반을 구성하는 총체적인 성격을 띤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영어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status of Tasan (茶⼭) Jeong Yak-yong (丁若鏞)’s Human mind and Moral mind theory in his overall theory of cultivation. Tasan divides all minds, which occurs in various ways due to the action of heart-mind, into Human mind (人心) and Moral mind (道心). He regarded the two parts of minds as the value-contradictory relationship between pre-good and pre-evil, and defined that good and evil and public and private originate from these two parts of minds. Also, by understanding the cause of evil as the problem of Human mind and losing conscience, the Human mind and Moral mind became the basic axis of his cultivation study (⼯夫). Accordingly, ‘Solseong (率性)’ which means the cultivation of Moral mind and ‘Chisim (治心)’ which means the control of Human mind form the basic structure of Tasan’s cultivation theory. Therefore, Tasan’s theory of the Human mind and Moral mind is not just a theory for cultivation, but it has a status as a general character that encompasses the whole of his cultivation theory.
    It reveals that Sindok (愼獨), Chungseo (忠恕), Geukgi (克己), Jibjung (執中), and Daeche-Soche theory (大體小體論), which Tasan suggested through his new interpretation, bring to a conclusion about what to do with Human mind and Moral mind. Also, he criticized Zhu Xi’s interpretation of “人心惟危, 道心惟微, 惟精惟⼀, 允執厥中 (Human mind is dangerous, Moral mind is subtle. Only when you should observe it and keep it constantly, you could truly seize the mean)” in 「Daewoomo (大禹謨)」 of the Documents (書經), and claimed that ‘人心惟危, 道心惟微’ and ‘惟精惟⼀’, ‘允執厥中’ is not interrelated. However, he put the high value on the statement regarding the Human mind and Moral mind as the essence of cultivation. This suggests that Tasan’s understanding of cultivation is different from that of Zhu-xi and that he puts great importance and value on the matter of the Human mind and Moral mind. Through these points, it may be confirmed that Tasan’s Human mind and Moral mind theory is not just a theory based on the sixteen characters of 「Daewoomo」, but it has a comprehensive characteristic that consists of the overall part of his cultivation theor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국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2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1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