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공자의 인론(仁論)에 관한 소고 (A Study on the Theory of Benevolence of Confucius)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2 최종저작일 2011.09
21P 미리보기
공자의 인론(仁論)에 관한 소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동서철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서철학연구 / 61호 / 333 ~ 353페이지
    · 저자명 : 이강대

    초록

    공자 철학사상에서 인간의 본질에 대한 논의는 ‘인간은 도덕적인 존재이다’라는 전제 아래 전개되어 인간의 천부적 도덕성을 찾는 것에 맞추어져 있다. 이것은 우리가 공자의 인간학을 논할 때 그 출발점을 ‘공자가 인(仁)개념을 자신의 철학사상에 있어서 핵심 개념으로 사용하고 있는 까닭은 무엇인가?’하는 문제로부터 시작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그런데 여기에 대한 정확한 대답은 그의 정치철학과 관련하여 이해할 때 명확하게 찾아질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는 다만 우리가 공자의 인론(仁論)을 논할 때 가장 먼저 질문해 볼 필요가 있는 문제, 즉 공자가 모든 개별 덕목들의 토대이자 그 종합적 완성이라고 주장하면서 그의 철학 사상에 있어서 핵심 개념으로 사용하고 있는 인(仁)에만 한정하여 논함으로써 ‘무엇을 인(仁)이라고 하는가?’, ‘인(仁)이란 무엇인가?’하는 것을 쉽게 풀이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이 글은 인(仁) 자체의 특성을 가장 구체적으로 규정해 주고, 또한 그것의 이해에 가장 많은 도움이 되는 몇 가지 명제들, 즉 ‘극기복례(克己復禮)’, ‘애인(愛人)’, ‘효제(孝悌)’, ‘충서(忠恕)’ 등의 구절을 체계적으로 연결시켜 해석해 봄으로써 인(仁)의 총체적인 특징을 유도해내고자 한 것이다. 필자는 공자의 인(仁)에 대한 주장에 있어서는, 일관된 규정이 전제되어 있을 것이라 생각하며, 이 일관된 것이 어떠한 것인가를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 또한 본 논문의 목적이기도 하다.
    공자가 인(仁)자를 쓸 때, 두 가지 용법이 있는데, 하나는 넓은 의미로, 또 하나는 좁은 의미로 쓴 것이다. 넓은 의미의 인(仁)은 모든 덕의 총칭이고 좁은 의미의 인(仁)은 남을 사랑하는 것이다. 『논어』에 등장하는 다양한 인(仁)개념은 실상 애인(愛人)이라고 하는 기본적 의미를 모두 함축하고 있다. 이와 같이 볼 때 공자가 말하는 인(仁)은 내 마음을 미루어 진실하게 타인을 위해 주는 도덕적 원리였다. 공자가 말하는 인(仁)은 ‘인간에 의한 사랑’이라고 그 정의를 내려도 무방하다. 인(仁)은 인간의 본성이요, 사랑은 인간의 정감이다. 인(仁)이 그 숭고한 이상이라면 사랑은 그 구체적 표현이다. 예컨대 스승에 대한 경애, 친구에 대한 우애, 국가에 대한 충애(忠愛) 등이 그것이다. 공자가 말한 인(仁)은 그 핵심적인 의미로 말하면 곧 사랑이고, 그 구성요소로 말하면 모든 덕의 집합체이다.

    영어초록

    The discussion about the nature of human beings in Philosophy of Confucius evolves under the premise that 'humans are moral beings' and focuses on finding innate human morality. This is also the reason that we start the discussion on Confucius' anthropology from the question 'why does Confucius use the concept of benevolence(仁) as the core concept in his philosophy?' The accurate answer to this can be found clearly when understood in relation to his philosophy in politics. However, in this study, we try to find the way for easy understanding to the question, ‘what is benevolence(仁)?’, by limiting it only to benevolence(仁) that serves as the core concept in Confucius' philosophy that he asserted as the basis of each and every virtue as well as its overall completion, which should be the very first question to ask when discussing Confucius' Renxue(仁學). This paper is to elicit the overall characteristic of benevolence(仁) by systematically connecting some propositions that define benevolence(仁) most specifically and are most helpful in understanding it, such as the passages, ‘overcome selfishness and return to the rituals(克己復禮)’, ‘love of human(愛人)’, ‘filial and obedient(孝悌)’, ‘loyalty and forgiveness(忠恕)’, and interpreting them. I personally believe that, in Confucius' assertion about benevolence(仁), consistent rules are assumed, and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what are those consistent rules.
    When Confucius uses the word benevolence(仁), there are two usage for it; one for a broad sense, and the other for a narrow sense. Benevolence(仁) in a broad sense collectively denotes all virtues, and benevolence(仁) in a narrow sense means loving one another. All the various concepts of benevolence(仁) in 『Analects』 actually include the basic implication of love of human(愛人). According to such view, Confucius says benevolence(仁) as moral principle of giving my true heart to others. There is no problem to define Confucius' benevolence(仁) as ‘love by human’. Benevolence(仁) is human's nature, and love is human's warmth. If benevolence(仁) is the noble ideal, love is its specific expression. Respect for teachers, friendship for friends, and loyalty for the country are the examples. Benevolence(仁) that Confucius talks about is, in its core meaning, love and, as it's components, the collection of all virtu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5월 21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2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