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금신보』의 금론 및 악론 연구 (A Study on Theories of Geomungo and Music in Hangeumshinbo(韓琴新譜))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2 최종저작일 2014.12
36P 미리보기
『한금신보』의 금론 및 악론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서울대학교 동양음악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동양음악(구 민족음악학) / 36권 / 91 ~ 126페이지
    · 저자명 : 최선아

    초록

    본 연구는 1724년 응천 후인(밀양 박씨 후손)에 의해서 한립의 악보를 토대로 편찬된 거문고 보인 『한금신보』를 대상으로 하여, 서문에 실린 중국의 고금과 우리나라의 거문고 및 악(樂)을 대상으로 한 금론(琴論) 및 악론(樂論)을 구체적으로 살펴서 그 내용과 출처를 조사한 후 그 특징을 밝힌 것이다. 『한금신보』의 서문은 고금ㆍ악ㆍ거문고를 대상으로 한 고금론ㆍ악론ㆍ현금론이 반복적 주제 배열에 따라 순환되고 있는데, 전체적으로 네 부분으로 구분된다. 『한금신보』의 금론 및 악론 중 일부 기록은 기존의 한국과 중국의 악서나 악보를 그대로 인용하기도 했지만 상당부분 응천 후인 에 의해서 신증(新增)된 것으로 보인다. 이것은 응천 후인의 음악에 대한 안목이 매우 높고, 음 악에 대한 정보력이 탁월했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특히 『한금신보』에 처음 등장한 현금론은 당시 한강 삼포를 중심으로 한 문인음악애호가들을 위한 거문고 교습 현장에서 활용되었던 거문고 연주법과 거문고보 기보법(해독법)으로 추정된다. 『한금신보』의 금론은 금도론(琴道論)․학금론(學琴論)․금기론(琴器論)의 유형별로 체계적 으로 기록되었고, 악론은 율(律)ㆍ성(聲)ㆍ음(音)ㆍ악(樂)에 대한 내용과 시(詩)ㆍ가(歌)ㆍ무(舞)에 대한 내용이 『악학궤범』과 유교 경전 등에서 인용되는 등 음악 이론에 관한 보다 다양하고 본질적인 접근이 이루어졌다. 결국 『한금신보』의 학금론은 응천 후인과 같은 문인음악애호가 의 거문고 실기를 도왔고, 금도론과 금기론은 거문고 음악의 정신과 거문고의 상징등 지식 함양에 이바지하였으며, 악론은 악(樂)의 본질을 파악할 수 있게 하였다. 그런데 『한금신보』편찬의 궁극적인 목적은 개인적 수신의 차원을 넘어서 국가의 음악 담당자 를 고려한 음악적 지식 함양을 돕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이것은 서문의 마지막에 국가의 악을 주관하였던 유생들 대부분이 음악을 이론적으로 알았을 뿐, 실제로 음악을 듣는 귀가 없음을 비 판한 ‘논유생부지악(論儒生不知樂)’을 통해서 확인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ories of Geomungo and music in depth in regard to Chinese Guqin(古琴), Korean Geomungo(玄琴) and music from a preface of Hangeumshinbo, which is Geomungo note, compiled in 1724 by Eungcheon(凝川) Huin(後人), a descendant of the family of Milyang(密陽) Park(朴), based on musical notes of Han lib(韓笠 or 韓立). In this study, contents and source of Hangeumshinbo were researched and its characteristics were clarified. In the preface of Hangeumshinbo, theories of Guqin, music and Geomungo were circulated according to repetitive theme arrangements, and they can be categorized into 4 parts. Although some records of the theories of Geomungo and music in Hangeumshinbo quoted original Korean and Chinese musical books and notes, a lot of records seemed to be supplemented by Eungcheon Huin. This was able to be achieved because Eungcheon Huin had discerning eyes and excellent information about music. Especially, the theory of Geomungo, which appeared for the first time in Hangeumshinbo is presumed to have been Geomungo technique and music notation that were used for Geomungo lesson with music lovers among literary people in Sampo(三浦: 西江ㆍ麻浦ㆍ龍山) near Han river. The theory of Geomungo in Hangeumshinbo was recorded systematically, categorized into theories of teaching and learning Geomungo and techniques. Rules, sound, tone, music, poetry, song and dance from the theories of music were quoted in Akhakguebum(樂學軌範) and Confucian scriptures, showing various and essential access to musical theory. After all, the theory of learning Geomungo in Hangeumshinbo helped music lovers among literary people including Eungcheon Huin to play Geomungo, and improved musical spirit and symbolization of Geomungo. In addition, the theory of music helped to understand the essential of music. However, it seemed that the ultimate purpose of Hangeumshinbo compilation was to cultivate musical knowledge of people in charge of music of the country, beyond personal training. This was confirmed by ‘Nonyusangbujiak(論儒生不知 樂)’ at the last part of the preface, which criticized that most Confucian scholars who were in charge of music of the country only understood music by theory and did not have discerning ears for music.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4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05 오후